View : 6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경덕-
dc.creator허경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19-
dc.description.abstract세계는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교통·통신의 발달로 국제 사회가 지구촌화 되면서 국가간 협력증대의 중요성과 개방화에 따른 무한경쟁도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세계환경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선진국에서도 교육에 대한 절대가치를 인식하고, 교육의 질은 교원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생각에 공감을 하고 있다. 또한 실제 교육의 장은 학교로서 학교조직구조의 특성들 역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학교조직구조는 주로 위계적인 수직구조의 관료제, 전문직 종사자들의 공동체라는 관점에서의 수평적인 조직구조로 논의되어 왔으나 사실 어느 한 관점으로만 파악하기 어려운 복잡한 조직으로서 다양한 이론적 관점들이 제시되어 왔는데, 조직화된 무질서, 또는 이완결합조직, 공동체 등이 그것이다. 결국 교육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는 학교조직은 조직 구성원들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주체인 교사가 자신이 현재 소속된 학교조직의 구조유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도와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의 직무만족도 제고에 도움이 되는 바람직한 학교조직 구조유형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통해 학교조직구조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학교조직구조로는 관료제 개념의 위계적 구조와 전문적 구조인 수평적 구조, 이완결합 형태의 복합적 구조, 공동체 개념으로의 학교공동체, 네 부분으로 나누어 비교 고찰하였으며,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이론으로는 동기이론으로 직무만족 내용이론과 과정이론을 비교 고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조직구조유형을 Hoy와 Miskel의 네가지 유형인 베버형, 전문형, 혼돈형, 권위형으로 구분하였고, 교사의 직무만족 요인으로는 동료애, 보상, 업무부담, 혁신성, 교직의식, 발전성, 자율성 7가지를 하위요인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학교조직구조의 유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사의 이러한 인식도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힌다. 2.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하위요인별로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힌다. 3. 학교조직 구조 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밝히며,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별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방법은 조사연구로,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대상자는 편의표집 된 경기도 북부지역 중등교사 425명이었으며, 통계분석이 가능한 질문지는 총 422부였다 조사도구로는 강영삼(1998)의 학교조직 구조유형 측정 질문지 와 노종희(2001)의 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 질문지(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JSQ) 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으로는, 1. 교사들이 인식한 학교조직 구조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등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다. 2.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하위요인별로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등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다. 3. 배경변인인 직위별, 성별, 학교규모별, 학교급별, 교직경력별에 따라 교사들이 인식한 4가지 학교조직 구조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유 의도 1%와 5% 수준에서 x²검정을 실시하였다. 4.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유의도 1%와 5% 수준에서 t 검정과 F 검정을 실시하였다. 통계 처리에는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조직 구조유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조직구조를 전문형으로 인식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권위형으로 인식하는 교사가 가장 적었다. 배경변인별로 보면 부장교사는 전문형으로 평교사는 혼돈형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고, 남교사는 베버형으로 여교사는 권위형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소규모학급은 혼돈형으로, 대규모학급은 권위형으로, 그 외는 전문형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교사는 베버형으로 고등학교 교사는 혼돈형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10년 미만의 경력을 지닌 교사들은 혼돈형으로, 30년 이상 경력을 지닌 교사들은 베버형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 배경변인별로 학교조직구조유형 인식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부장교사, 남교사, 소규모학급, 중학교, 3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교사들일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결과로는, 동료애와 교직의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고 다음으로 자율성, 발전성, 혁신성, 업무부담의 순으로 만족하였으며 보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만족의 결과를 보면, 부장교사일수록 평교사보다 혁신성은 높게, 보상은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이었다. 남교사일수록 혁신성은 높게 보상은 낮게 나타났고 소규모 학급으로 갈수록 혁신성과 보상의 만족도가 높게 인식되어졌다. 중학교 교사가 고등학교 교사보다 혁신성과 교직의식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30년 이상의 경력이 많은 교사들의 경우 보상, 혁신성, 교직의식, 자율성요인에서 저경력 교사들 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셋째, 학교조직 구조유형에 따른 전반적인 직무만족은 베버형에서 가장 높게 인식되어졌고, 전문형, 권위형, 혼돈형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교조직 구조유형별에 따른 하위요인별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살펴보면 4가지 학교조직유형에 따라 직무만족 7개의 하위요인별과는 모든 요인이 다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베버형과 권위형, 베버형과 혼돈형 사이에서 특히 유의미한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문형과 권위형, 전문형과 혼돈형 사이에서도 매우 유의미한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얻었다. 요컨대, 학교조직 구조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며,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육의 질과 효과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학교조직 구조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은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한걸음 더 나아가 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미래의 학교조직구조가 종래의 권위주의적이며 관료적인 중앙집권적 교육구조에서 탈피하여 단위학교 중심의 전문형이나 베버형으로 발전되어갈 때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육의 효과성이 높아질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perceived by the teachers or actors of education an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reby, explore some desirable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useful to improvement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eachers job satisfaction level was surveyed first in relation with the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perceived by them, and then, the difference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analyzed comparatively depending on teachers variables and those of the schools.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ived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For this study, a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the random sampled 425 teachers working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s in nothern Kyonggi area. A total 422 questionnaire forms answered could be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other hand, Kang Young-sam s (1998) "Scale of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 Types" and Roh Jong-Hee s (2001) "Teachers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for Window for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per variable, chi square 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s of 1% and 5%, T-test, F-test,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could be classified into professional, authoritative, ideal and confused ones. To be more specific, head teachers tended to perceive their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 as professional, while ordinary teachers tended to perceive it as confused. Male teachers tended to perceive it as ideal, and female teachers tended to perceive it as authoritative. On the other hand, the small-scale classrooms were perceived as confused, while the large-scale classroom were perceived as authoritative. Middle school teachers tended to perceive their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as ideal, while high school teachers tended to perceive them as confused. Those teachers with career of 10 years or shorter tended to perceive their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as confused, and in contrast, those teachers with career of 30 years or longer tended to perceive their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as ideal. Second, head teachers, male teachers, those teachers in charge of small-scale classrooms,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ose teachers with career of 30 years or longer tende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The sub-variable of job satisfaction which scored highest was solidarity among colleagues, followed by sense of mission as teachers, autonomy, self-development, innovation and reward in their order. On the other hand, head teachers tended to perceive innovation higher and reward lower, and male teachers tended to perceive innovation and reward in the way similar to head teachers. In contrast, those teachers in charge of small-scale classrooms tended to perceive both innovation and reward higher. Middle school teachers tende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in terms of innovation and sense of mission, while those teachers with career of 30 years or longer tende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in terms of reward, innovation, sense of mission and autonomy. Third,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highest for the teachers perceiving their organization ideal, followed by those perceiving professional, authoritative and confused in their order. Summing up,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ived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was ver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ideal and confused types, between professional and authoritative types, and between professional and confused types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their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re exis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ived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Since teachers job satisfaction may greatly affect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changing the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 may be a method to improv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other words, it is conceived that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will be improved if the future school organization structures need to depart from the authoritative, bureaucratic and centralized educational structure to develop into a school-centered professional and ideal o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4 C. 용어의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6 A. 학교조직구조 = 6 1. 학교의 위계적 수직구조 = 6 2. 학교의 수평적 구조 = 11 3. 복합적인 학교구조 = 16 4. 공동체로서의 학교구조 = 22 B. 학교조직구조의 유형 = 30 1. Hoy 와 Miskel의 학교조직구조 = 30 2. Morgon의 학교조직구조 = 32 3. Mintzberg의 학교조직구조 = 33 C. 교사의 직무만족 이론 = 37 1. 직무만족의 정의 = 37 2. 직무만족과 동기와의 관계 = 39 3. 직무만족의 연구모형 = 45 4. 직무만족 결정요인 = 47 5. 교사의 직무만족 연구 = 49 III. 연구방법 = 52 A. 조사대상 = 52 B. 조사도구 = 53 1. 학교조직구조 유형 측정 질문지 = 53 2. 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 질문지 = 54 C. 자료의 처리 = 56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58 A. 교사의 학교조직 구조유형 인식 = 58 1. 교사들의 학교조직구조 유형에 대한 인식 = 58 2.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들의 학교조직 구조유형 인식 = 59 B. 교사의 직무만족도 = 64 1. 교사의 직무만족도 = 64 2.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별 분석 = 65 C. 교사의 학교조직 구조유형 인식에 따른 직무만족과의 관계 = 76 1. 학교조직 구조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 = 77 2. 학교조직 구조유형과 하위요인별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계 = 78 V. 결론 및 제언 = 82 A. 요약 및 결론 = 82 1.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조직 구조유형 = 82 2.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만족도 = 84 3. 학교조직 구조유형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 관계 = 86 B. 논의 및 제언 = 89 C. 연구의 제한점 = 92 참고문헌 = 93 부록 = 96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73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교조직 구조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