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현대발레 작품에 나타난 패러디 양상에 관한 연구 : [하드넛]과 [지젤]을 중심으로

Title
현대발레 작품에 나타난 패러디 양상에 관한 연구 : [하드넛]과 [지젤]을 중심으로
Authors
현주미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패러디(parody)는 절대이념의 해체, 중심의 와해 및 변두리적인 것으로의 귀환, 불확정 보편 내재성의 경향을 보이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더욱 집중적으로 논의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패러디는 “선행텍스트에 대한 최소한의 변형”이나 “차이를 내포한 반복”이라는 넓은 개념에서부터 “조롱조의 풍자를 위한 희극적 모방인용”이라는 좁은 개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패러디는 이전 작품인 원텍스트가 필수적이며, 원텍스트에 대한 비평적 거리를 지닌 모방인용이라 할 수 있다. 발레에 있어서도 20세기 초 유명한 발레제작자인 세르게이 디아길레프(Sergei Diaghilev)와 혁신적 안무가인 미셀 포킨(Michel Fokine)에 의해 이끌어졌던 발레루스(Ballet Russes) 의 활동은 현대발레의 시발점을 제공했다. 그리고 이러한 현대발레 내에서 패러디 양상을 보이는 현대발레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는 패러디 양상을 보이는 현대발레 작품 가운데 마크 모리스(Mark Morris)의 「하드넛(Hard Nut)」과 마츠 에크(Mats EK)의 「지젤(Giselle)」에 나타난 패러디 양상을 분석하여 새로운 발레 창작으로 패러디발레를 연구, 즉 발레 창작의 다양한 안무적 접근을 위한 방법으로 패러디발레의 양상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발레인 마크 모리스의「하드넛」과 마츠 에크의「지젤」은 고전발레인「호두까기 인형」과「지젤」을 원텍스트로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원텍스트를 패러디 했음을 작품내에 명시하고 있어 패러디적 요소를 갖추고 있다. 그 결과 이들 현대발레에 나타난 패러디 양상은, 첫째 작품형식적 측면에서 기존형식에 대한 부정과 풍자의 양상으로, 둘째 작품성격적 측면에서 현실반영의 양상으로, 셋째 작품인물적 측면에서 캐릭터의 변질로 드러난다. 이상과 같은 패러디발레는 무엇보다 우리에게 예술의 근본목표라 할 수 있는 메시지 전달의 기능을 강하게 발휘하는 예술적 성과를 보여준다. 또한 패러디라는 형식을 통해 과거 원전을 새롭게 재창조함으로써 비평과 창작의 의미가 패러디발레 내에 함축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Parody is a phenomenon revealing the trend of the dissolution of absolute idea, the collapse of the center, and the intrinsic character of indefinite universality, which is discussed more often in the age of postmodernism. This parody is variously defined from the broad concept of "minimal transformation of pretext" or "repetition including difference" to the narrow concept of "comic mimicry". Parody should have original text in essence, and it is a mimicking quotation having a critical distance from the original text. In ballet, the activities of Ballet Russes led by the early 20th century s prominent ballet producer, Sergei Diaghilev and an innovative choreographer, Michel Fokine, provided modern ballet s starting point. And Within this modern ballet, modern ballet works with the aspect of parody started to appear. Hereb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suggest an aspect of parody ballet as a means of the various choreographic approaches for ballet creation by analyzing parody aspects in Mark Morris [Hard Nut] and Mats Ek s [Giselle] among modern ballet works with the aspect of parody. Mark Morris [Hard Nut] and Mats Ek s [Giselle] has a classic ballet, [Nut cracker] and [Giselle] original text, and they have parodic factors in that they manifest the fact of parody within the works. As a result, parody aspects in these modern ballet works are revealed as first, those of denial and satire toward the existing form in terms of work form, second, those of reality reflection in terms of work character, third, the transformation of character in terms of work characters. Parody ballets as written above show the artistic achievement of strongly displaying the basic goal of any art-the function of delivering message. Also, by recreating the past original text through parody, the meaning of criticism and creation is connotated in parody balle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