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은주-
dc.creator오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9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66-
dc.description.abstract자연은 예로부터 인간의 관심 대상이었고 생활의 터전이었으며 그 신비로움과 아름다움과 장엄함은 인간으로 하여금 늘 표현하고자 하는 충동유발의 대상이 되었다. 자연은 모든 형상의 기초이며 조화와 균형의 척도이고 형태와 색채의 무한한 보고이며, 질서정연한 원칙에 따라 움직이는 리듬을 창조함과 동시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이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형태는 조형적인 적응성에 의하여 새로운 의미를 가지기도 하고 형태로서 발전되며 유효성을 확대시키기도 한다. 무척추동물은 지구상의 모든 장소, 깊은 바다에서 공중에까지 어떤 곳에서도 서식하고 있다. 생명이 바다에서 발생했다는 것은 거의 틀림없는 사실이며, 사실 주요한 무척추동물문은 거의 전부가 바다에서 서식하고 있다. 생명의 근원인 바다는 신비감과 다양성, 그리고 내재된 질서를 담고 있는 좋은 소재로서 창조적 동기를 부여해 준다. 본 논문에선 다수의 수생무척추동물사이에서 볼 수 있는 외견상의 외부 형태의 유사성으로 해면(海綿), 자포(刺胞), 태형(笞形), 추형(추形), 편형(扁形), 유형(紐形), 연체(軟體), 극피(棘皮), 척색(脊索)동물문의 범위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생무척추동물(水生無脊椎動物)의 구조적 형태의 특성에 나타나는 기능과 형태와의 관계, 형태의 생성과 소멸과 같이 형태변화의 미적 특성을 파악하며 실재 형태를 기본으로 발상을 확대하는 과정으로 새로운 형태의 조형적 표현을 목적으로 한다. 수생무척추동물을 조형적 관점에서 형태의 특색이나 법칙성에 관하여 탐색한다. 다양한 형태 변화와 구조의 질서성은 독특한 균형유지에서 이루어지며 전환과정, 변형과정, 성장과정을 관찰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론적 배경으로 자연의 형태를 조형예술로 형성하는 가운데 생기는 생명력 있는 역동성에 대한 조형원리를 연구하고, 일반적 의미로서 수생무척추동물의 특성과 습성과 함께 외부·내부구조와 같은 형태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작품의 디자인 과정에서는 형태 재현을 기본으로 발상을 확대하여 새로운 형태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형태의 부각, 확대, 축소, 재배치, 재결합등의 방법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수생무척추동물의 새로운 인상을 창조해 본다. 수생무척추동물의 고착성, 유영성, 군체성등의 특성표현을 위해 Assemblag (조합하기), Collage (붙이기), Grattage (긁기), Frottage (찍기)등의 기법으로 특성을 점토 조형 표현의 이미지로 확대하였다. 이 기법에서 무의식적으로 표출되는 환상적이며 기묘한 형태는 수생무척추동물의 생명감을 느끼게 해 주며, 인간을 포함한 생물체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태토는 성형시 형태가 변형되는 것과 소성시 변화와 균열이 적은 석기질 점토와 유약의 발색 효과를 위해 백토를 사용하는데, 석기질 점토와 백토를 4 : 6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유약은 주로 광택유, 무광택유를 사용했고 결정유, 균열유등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담금법과 분무시유를 위주로 하였다. 제작기법은 자유로운 표현을 위해 압축성형, 핀칭을 주된 기법으로 그밖에 코일링, 물레성형, 모델링, 판성형 등의 여러 기법을 작품에 맞게 다양하게 사용하였다. 소성은 1.5㎥도염식 가스가마에서 900℃를 마침 온도로 8시간 1차 소성한 후, 2차소성은 산화염으로 최고온도 1250℃룰 마침 온도로 10시간 소성 하였고, 소성 결과에 따라 여러 차례 반복 소성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도자 조형은 자연에서 발견하거나 일상적인 주변환경에서 선택한 것에서 출발하여 새롭게 재해석되는 변천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선택됨으로써 신비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선택과정을 통해 새롭게 변형되고 그 형태의 새로운 면을 보여줌으로 새로운 것에 대한 우리의 주위를 환기시키고 있다. 내·외형적 형태 , 의미, 구성요소, 부수적 조건 등에 있어 그것을 선택하고 다른 이미지로 탈바꿈 할 수 있다. 새로운 관점아래 그가 갖고 있던 의미는 없어지고 새로운 개념이 창출된다. 이는 체험을 통하여 받아들여진 주관적 감동과 심상적 이미지를 접목하여 흙에 의한 조형적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이미지를 재현하여 조형성과 미의식을 갖게 하는 무한한 조형성은 진실된 감정의 표현이고 삶의 표현임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인간과 대상과의 감정관계를 유입시켜서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자연과 자신과의 관계에서 새롭게 인식되는 자연을 알 수 있었다. 자연의 형태를 통한 조형성 연구는 발전적인 도자 표현의 계기로 많은 연구의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 Nature has long been the object of our interest and supplied the basis for our existence. For ages, we have instinctively tried to express its mystical and majestic beauty. Nature shows all shapes as an inexhaustible mine of form and color. It also creates lively rhythm according to its orderly principles and offers plenty of space in which all the creatures can be accommodated. The forms and shapes in nature are all the results of the evolution process. Invertebrates inhibit every corner of the world from the air to the deep oceans. It is without doubt that the origin of life is from the ocean and most invertebrates are found in the ocean as the primitive forms of life. The ocean, the womb of life, is full of its mystical charm, diversity and inner order, and also gives us the strong desire to create. In this thesis, the forms of several aquatic invertebrates, mainly poriferas, cnidarias, bryozoas, phoronidas, platyhelminthes, molluscas, echinodermatas and chordatas were studi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reate new forms and shapes pondered by analyzing and expanding the relationships of the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quatic invertebrates and to understand the beauty of the physical changes of aquatic invertebrates. Firstly, Analysis of the aquatic invertebrate s form was carried out. Its morphologic diversity and systematic structure result from its unique evolutionary process. In this sense, observation of the conversion process, transformation process, and growth process holds a significant meaning. Transforming the living invertebrates into art pieces means creating vitality from mere clay. The study of this process was a major topic of this thesis. In the design process, an attempt to create a new impression of aquatic invertebrates was made in light of expanding the basic principle of invertebrates constructing their forms. Also, reducing, rearranging and reattaching invertebrates shapes were tried. To express the adherent floating and colonial physiques of the aquatic invertebrates, assemblage, collage, grattage and frottage techniques were used. These technics enable us to feel the liveliness of the invertebrates through fantastic and exquisite forms whil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new forms of life. As the base clay, two materials were mixed and used. One was the stoneware inhibiting deformation during the forming process and preventing cracks during the sintering process. The other was the whiteware for the color glaze effect. The mixing ratio of stoneware and whiteware was 4 to 6. The mainly used glaze types were glossy glaze and matte glaze. Also, crystal glaze and crack glaze were partly used. And they were applied by dipping and spraying methods. To allow for free expression, numerous methods such as coiling, spinning wheel formation, pinching, modelling, slab building method, pressing method, and etc. were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piece. Works were firstly burnt at 900℃ of final kiln temperature in a 1.5m3 gas kiln for eight hours, and secondly oxidizedly burnt at 1250℃ of final kiln temperature for ten hours. The sintering process was repeated again and agai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objects selected for this thesis, the invertebrates, are believed the objects we can easily find in nature. Then the natural object was reinterpreted by the artist s own will. Through this process, the ordinary thing was transformed and reached to the mystical state of art. Under this new interpretation,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is vanished and new images are born. Thus, ultimately, the artist s own experience and taste are implanted into the art work. Thus it was recognized that infinite moldability which enables us to acquire a sense of beauty through reproduction of images is an expression of ourselves and an expression of life itself. Through mental collaboration of the human and subject, We can acknowledge our existence and undiscovered na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5 A. 자연과 조형예술 = 5 1. 자연과 예술 = 5 2. 유기적 형태와 조형원리 = 6 B. 수생무척추동물에 대한 일반적 고찰 = 12 1. 수생무척추동물의 정의 = 12 2. 수생무척추동물의 종류 및 특징 = 13 3. 수생무척추동물의 구조 = 17 C. 수생무척추동물의 이미지를 조형화 한 현대도예작품 = 24 Ⅲ. 작품제작 및 해설 = 34 A. 디자인과정 = 34 B. 작품의 제작과정 = 47 C. 작품해석 = 52 Ⅳ. 결론 = 72 참고문헌 = 74 영문초록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891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생무척추동물(水生無脊椎動物)의 이미지를 통한 도자 조형-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