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채수진-
dc.creator채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5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9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963-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의 사회현상 중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전통적인 성개념의 변화를 들 수 있다. 남, 녀의 역할을 구분하는 기존의 성개념은 남성과 여성, 모두의 사고와 행동을 제한함으로써 삶의 영역을 축소시켰으며, 남, 녀를 구분 짓는 수단으로 사용된 복식은 이러한 구속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19세기말부터 조심스럽게 등장한 페미니즘은 여성과 남성의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뜨리며, 생활 형태의 급진적인 변화와 함께 남성과 여성의 이분법적인 복식에도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그 후 계속되는 페미니즘의 영향과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여성의 사회진출이 급속히 증가하였고, 경제적 자립수준이 개선되면서 남성성과 여성성의 의미도 달라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문화현상 중의 하나로 나타나고 있는 페미니즘에 대해 살펴보고, 페미니즘이 제시한 새로운 성개념인 ‘앤드로지니(Androgyny)’에 관하여 알아보며, 이를 통해 현대복식에 보이는 페미니즘적 현상과 이에 따른 복식요소를 고찰하고 현대복식에 보이는 ‘앤드로지너스 룩’에 대하여 총체적 접근을 시도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복식문헌자료, 논문, 잡지, 신문기사 및 시각자료를 중심으로 현대복식에 보이는 페미니즘 현상과 복식요소, 그리고 페미니즘적 성개념에 의해 등장한 앤드로지너스 룩의 양성적, 중성적 이미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1960년대 이전인 과거의 페미니즘과 1960년대 이후에 보이는 후기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복식현상과 복식요소를 다루고, 페미니즘적 성개념에 기초한 앤드로지너스 룩이 본격적으로 패션에 등장하기 시작한 1985년에서 1998년 현재까지의 앤드로지너스 룩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80년대 이후 등장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남녀평등의 실현보다는 성의 차이에 주목해 남녀이분법 자체를 해체함으로써 성차를 없애고자 했으며, 남녀 공동의 인간해방, 즉 주체성의 해방운동으로 전환되어 새로운 성개념인 앤드로지니를 등장시켰다. 이와 같이 페미니즘이 제시한 앤드로지너스는 1980년대 중반이래 지금까지 현대복식에도 보이고 있는데 페미니즘이 우리사회의 문화현상으로 나타나 일반사회의 개혁뿐만 아니라 복식사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여성의 남성화를 주장하던 초기의 페미니즘과 맥을 같이 한 것으로 최초로 블루머라는 바지를 착용하고 코르셋을 제거해 20세기 모드의 기초를 만들었고 1960년대는 여성스스로 인체의 권리를 찾아 자유와 안락을 추구하고자 하여 이 시기에 20세기 처음으로 남, 녀가 구별 없이 같은 의상을 착용하게 된다. 1970년대에는 사회활동에 적합한 남성복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매니쉬 감각을 표현하려 하였고 1980년대는 여성인체를 긍정적으로 해석하면서 여성 인체의 해방을 주장했는데, 이 시기에 이성의 복식요소를 자유롭게 도입하거나 남, 녀 복식 품목을 한 사람이 조합해 융합시키는 앤드로지너스 룩이 등장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페미니즘이 반영된 현대복식의 변화양상을 바탕으로 현대복식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 룩의 성이미지를 양성적 이미지와 중성적 이미지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양성적 이미지는 복식에서 이성(異性)의 이미지를 일부 혹은 전체에 도입한 경우로 복식자체에 남성적 이미지와 여성적 이미지를 공유해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를 모두 느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중성적 이미지는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를 배제한 중성의 스타일로 남, 녀가 공용하는 스타일을 말한다. 즉 이러한 스타일을 통해 남성, 여성의 이미지가 아닌 인간자체의 통합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으로 인간 공동체를 추구하고자 하는 페미니즘의 목표와 일치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복식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 룩의 양성적, 중성적 이미지는 ‘여성성’ 혹은 ‘남성성’을 뛰어 넘어 한 가지 성위에 다른 성의 요소를 공유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통합된 완전한 존재에 접근하려는 시도이다. 즉 앤드로지너스 룩은 관념적인 시각적 특징을 갖는 의복의 형태로 나타난 남성성과 여성성의 완전한 분리가 아닌 서로의 특징을 자유롭게 조화시킴으로써 새로운 멋을 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페미니즘적 성개념인 ‘앤드로지니’는 당시의 시대 정신을 반영해 주고 있다. 성별에 따른 역할이 분화하고 다양화되어 남성성, 여성성의 개념이 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 개인에게 남성과 여성의 특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양성성의 개념은 현대사회와 같은 복잡한 현실 속에서 성공적인 역할 수행에 꼭 필요한 성개념이다. 둘째, 앤드로지너스 룩이 복식에서 보여주었던 인간 통합적 이미지는 남녀를 분리해 주던 복식의 기능을 치유함으로써 시대를 앞선 패션 경향으로 새로운 문화를 선도하였다. 이는 패션이 단순히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문화의 한 부분으로서 뿐만 아니라 문화를 이끄는 역할을 함으로써 21세기의 복식형태를 예시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페미니즘이 제시한 새로운 성개념은 20세기 패션의 이분법적 복식형태를 없애고자 하던 결정체를 이루었지만, 더 나아가 21세기의 전환기인 현재에 보이는 앤드로지너스 룩은 한 시대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패션 현상이라 볼 수 있다. 넷째, 앤드로지너스 룩은 이 시대가 절실하게 요구하는 또 하나의 적응방식을 인간이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므로 현대패션에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앤드로지너스 룩은 이분법적인 성개념을 파괴함으로써 얻게되는 완전한 자유에 대한 욕구, 인간이라는 하나된 존재로 세계의 주체가 되고자 하는 총체적인 의지의 반영이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식 문화를 살펴볼 때 유행의 창출은 우연이나 개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대 정신의 반영을 통해 만들어진다. 육체를 장식하는 방법이나 옷을 입는 방법 등 모두가 시대를 반영한 문화현상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대복식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 룩은 당시의 시대정신을 반영하고 또한 문화적 분위기를 이끌었으며, 동시에 앞으로 지속될 수 있는 한 시대를 특징 짓는 중요한 패션양식이다. ; One of the most conspicuous social phenomena in the 20th century is the change in the traditional sex concepts. The traditional sex concepts differentiating between the male role and the female role, reduced the scope of life by placing limitations to thought and behavior of both man and woman, and clothing that was used as a tool to differentiate between man and woman played the role of enforcing this confinement. However, feminism that started to appear at the end of 19th century has shattered prejudice on sex roles of man and woman, and brought radical changes to both life styles and dichotomous male and female fashion. Since then, due to the influences of continued feminism and remarkabl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oman s advancement into society was rapidly increased. Improved economic independence of woman has changed the meanings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This thesis gives a glimpse of feminism that appeared as one of cultural phenomena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presents brief introduction of a new sex concept, androgyny . In addition, this thesis attempts to take a wholistic approach to androgynous look shown in contemporary fashion by examining feminist phenomena appearing in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according fashion element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is to use documents on fashion, academic papers, journals, newspaper articles, and visual materials, for the research of feminist phenomena shown in contemporary clothing, and bisexual and neutral images of androgynous look that was created by feminist sex concepts. The scope of this thesis mainly covers the feminist phenomena and fashion elements focusing on previous feminism before 1960 s and the current feminism after 1960 s, and analysi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androgynous look of the period between 1985 when androgynous look started to appear in fashion and 1998. The postmodern feminism that appeared after the 1980 s attempted to deconstruct the dichotomy of man and woman by focusing on sex differences rather than achievement of equality of man and woman, and has been converted into movement for human liberation common for man and woman, namely liberation of identities, finally introducing a new sex concept androgyny. As androgyny presented by feminism still appear in contemporary fashion since mid 1980 s, feminism as a social phenomenon can be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fashion history as well as reformation of society. In alignment with initial feminism that claimed for masculinization of woman, women wore the first femal trousers called "bloomers" and removed corsets, which made the foundation for the mode of the 20th century. In 1960 s, women sought for freedom and comfort by pursuing physical rights and men and women wore the same clothing without any differences for men and women for the first time in the 20th century. In 1970 s, woman s clothing tried to express manish styles by actively adopting male clothing suitable for social activities. In 1980 s, liberation of female bodies was claimed for by positively interpretating femail bodies. Androgynous look which freely adopted the fashion elements of the opposite sex or combined male fashion items and femal fashion items at a person first appeared in 1980 s and continues until now. Subsequently, this thesis surveys the sex images of androgynous look that appeared in contemporary fashion into bisexual images and neutral images based on the feminist aspects of changes in contemporary fashion. Bisexual images are shown in clothing that possesses both maculine images and feminine images by adopting the images of the opposite sex partly or fully. Neutral images represent the neutral style that excludes masculine or feminine images of fashion and that is commonly used by both men and women. Neutral images refer to intergrated human images instead of masculine or feminie ones and are in accordance with the goal of feminism to pursue a human community. As stated above, bisexual images and neutral images of androgynous look showin in clothing are an attempt to reach one single integrated complete being by overcoming femininity or masculinity and combining the elements of the two sexes. Consequently, androgynous look creates new attraction by harmoniously coordinating characteristics of the two sexes instead of totally differentiating between masculinity and femininity that a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clothing that has conceptual visual characteristics.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of the reseach of this thesis. First, androgynous as a feminist sex concept reflects the spirit of the times. Since the sex roles are divided and diversified, and the concept of femininity is changing, the concept of androgyny requiring both masculine and feminine characteristics is an essential sex concept for successful conduct of roles in a complex modern society. Second, the integrated human image of androgynous look has led to a new culture with fashion trends that has been ahead of times by curing the functions of fashion to divide between men and women. This illustrates that fashion presents the predictable fashion styles of the 21st century not only by being a part of culture but also by leading culture. Third, androgynous look at the turn-of-the-century will not cease to exist but be a lasting fashion phenomenon while the sex concept presented by feminism has become the core to destroy the dichotomous fashion style of the 20th century. Fourth, androgynous look is expressed in various manners in contemporary fashion since it shows how human beings accepts the adaptation method desperately required by the contemporary times. Androgynous look can be viewd as the desire for ultimate freedom that can be acquired by destroying the dichotomous sex concept and the will to become a subject of the world as integrated human being. As we look into fashion culture, creation of fashion is not the result of an accidental cause or an individual s work but the reflection of the spirit of the times. This is the reason why the way to decorate human bodies, the way to wear clothing, etc. are parts of cultural phenomena that reflect the times. In this sense, androgynous look introduced by a new sex concept to contemporary fashion has reflected the spirit of the times and lead the cultural atmosphere, and moreover, it is an important fashion style that can characterize the contemporary times and last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ⅷ I. 서 론 = 1 A. 연구의 의의와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4 II. 페미니즘과 페미니즘적 성개념 = 6 A. 페미니즘의 개념과 특성 = 6 B. 성역할과 성개념 = 16 C. 페미니즘적 성개념 = 25 III. 현대복식과 페미니즘 = 40 A. 현대복식에 나타난 페미니즘 = 40 B. 현대복식에 나타난 앤드로지너스 = 58 C. 앤드로지너스 룩의 조형적 분석 = 62 Ⅳ. 결론 = 121 참고문헌 = 125 Abstract =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475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페미니즘적 시각에서 본 현대복식의 앤드로지너스 현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