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대구, 전주 지역을 대상으로 한 의복색채 감성 구조에 관한 연구 : 감성공학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Title
대구, 전주 지역을 대상으로 한 의복색채 감성 구조에 관한 연구 : 감성공학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Authors
남수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는 경제 성장과 기술혁신으로 인하여 제품이 기능면에서나 품질면에서 거의 평준화된 반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와 감성은 점점 더 다양화하고 복잡해지는 실정에 있다. 시장상황도 급변하여 최근 기업은 상품 개발과 마케팅 기술을 현격하게 향상시켰고, 경제적으로 풍요해진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 스타일이 종전과는 아주 다른 형태로 변화하였다. 이는 결국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는 물질적 충족으로부터 심리적 충족으로 변화 되었으며, 소비자의 감성을 파악하고 이를 제품에 반영하지 않으면 안되는 감성사회가 되었음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변화된 소비자의 감성 요구에 맞는 제품을 만드는 문제에 접근하는데 있어 기업들은 많은 방법론을 연구하고 나름대로의 연구 기술을 축적해왔지만 감성이라는 자체가 워낙 애매하고 주관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근방법에 있어서도 주관적이고 감성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등장한 것이 ‘감성공학’이다. 감성공학에서는 인간의 심리적인 요소를 분석하고, 제품설계에 필요한 기본적 물리적 디자인 요소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주어 최종적으로 제품의 디자인을 이루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감성공학에서 다루어지는 여러 디자인 요소들 중에서 특히 색채는 형태, 질감 등의 다른 어떤 요소들 보다 심리적 행동 반응을 쉽게 유도하기 때문에 현대 산업 사회에 들어오면서 그 영향이나 기능면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색채는 인간의 의식, 감정, 행동 등 모든 생활영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떠한 분야에서도 색채 표현에 관한 분명한 목적과 계획 없이 다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의복 디자인 분야에서도 색채는 디자인 요소로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의복구매 심리를 자극하는 요소로서 그 기능적 역할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색채 이미지는 다양한 개별성이 존중되는 의복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다른 제품과 구별되는 개성의 표현 인자로서 결코 소흘할 수 없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대의 조류에 맞게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감성 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기본적인 의복 색채 감성구조를 밝혀 디자인 process에 활용함으로서 소비자와 디자인 실무자 사이에 객관적 의사소통을 가능케 해서 소비자의 감성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대구, 전주 지역의 의복색채 감성구조를 조사함에 있어서 오스굿의 의미분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을 이용하였고, SD 평가를 위한 평가 어휘 및 대표색을 추출하여 SD조사를 한 후 그 데이터를 컴퓨터 단순집계와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해 형용사 평가 어휘 및 의복색채 감성구조를 규명하고, 그 판단 기준축을 추출해서 색채 이미지평가 어휘와 의복색채 감성 척도를 2차원 공간상에 구현하였다. 그리고 색채 감성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누구나 공감할 수 있으며 색채 감성을 보다 명확히 표현 할 수 있는 기준축을 명명하여, 제1판단축을 동적인-정적인, 제2판단축은 단순한-복잡한 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SD조사에 사용된 색채 쇼카드는 ISCC-NBS색명법에 기초하여 개발된 Hue & Tone 체계에 의한 130계통색을 연구의 범위로 하였으며, 그중 대표색 17가지 색을 선정하여 그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SD조사 및 요인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채 SD 조사 결과, 색채 어휘 이미지 요인구조는 감정적 요인, 기호의 요인, 명도 채도에 대한 평가요인, 연령의 요인으로이루어 진다. 2) 의복색채 감성공간을 보면, 색채 이미지는 색상(Hue)보다는 색조(Tone)에 의해 판단되는 경우가 많으며, 색조의 분류는 Strong, Vivid, Deep 톤은 선명한 색조로, Bright, Pale, Very Pale, Light 톤은 밝은 색조로, Dull, Light Gray 톤은 은은한 색조로, Dark, Dark Gray, Gray 톤은 어두운 색조로 인식된다. 3) 또한 지역간 비교를 위해 대구, 전주 지역을 대상으로 한 의복색채감성공간을 보면, 두 지역별 색채 요인구조는 크게 다르지 않게 드러났지만, 몇 가지 차이점은 전주지역은 색이나 톤을 대체로 대구지역에 비해 밝고 은은하게 인식하며, 대구지역은 전주지역에 비해 선명하고 어둡게 인식하는 점이다. 선호도 측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전주 지역은 밝고 은은한 영역의 톤 그룹에 대해 더 고급감을 느끼고 선호하며, 반면에 대구지역은 어둡고 선명한 영역의 톤 그룹에 더 고급감을 느끼고 선호한다. 4) 이러한 지역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은 기후, 지형, 지리, 문화 등의 이유에서 온다고 볼 수 있는데, 전주나 대구는 기후나 지형조건이 거의 유사하고 색채 감성분포가 거의 유사한데, 이는 색채 감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기후나 환경의 요인을 강조한 Birren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복색채 감성을 객관적으로 척도화 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제공해준다. 특히 의복색채 감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해 짐에 따라, 디자이너의 개인적 감성에 의존되던 기존의 색채 문제를 객관적으로 풀어갈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이를 토대로 색채 이외에 의복의 형태, 소재, 패턴 등 다양한 다른 요소에 관해 객관적인 해석을 가능케 하는 연구의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와 같이 감성적 부분에 대한 객관적 해석을 위한 노력은 감성시대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히 포착하고 이를 디자인에 충실히 반영하는 것을 가능케 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디자인 개발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In these modern days by virtue of economic growth and technical progress products have become almost equalized in terms of function and quality whereas consumers preference and sensibility tend to become more diversified and complex gradually. Market condition is changing rapidly and enterprises achieved considerable improvement in products development and marketing skill and consumers life style and consumption style in affluent society underwent conspicuous change unlike before. Market situation is changing with speed due to social and technical change in these modern days and consumers look for products suitable to their taste and preference rather than making their choice on the basis of price, function and quality of products. Human sensibility ergonomic made its appearance as a solution to such problems. Human sensibility ergonomic is involved in analysis of man s psychological aspects and it form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basic physical design elements required for products design which is its eventual aim. Among many elements handled by human sensibility ergonomic colors in particular have a nature of more easily inducing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reaction than any other elements like form or sense of texture etc. for this reason importance of colors in forms of its impact or function is more highlighted since the advent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than before. In the field of clothes design colors are occupying important position as an element of design. And as an element stimulating consumers desire for purchase of clothes its roles are considered significant. In particular color image is an element for expression of individuality which makes it distinctive from others in the field of clothes design where diverse individuality is respected thus it must not be neglected. On the basis of recognizing importance of colors as mentioned above and of objective and scientific research on sensibility this writer attempted to uncover basic structure of consumers sensibility on color of clothes and to enable objective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working level designers by means of design process so as to get nearer to sensibility of consumers more effectively. To this end Osgood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SD was used for studying sensibility structure on color of clothes. For SD evaluation vocabulary and representative color are extracted and SD survey is conducted. And entailed data are subjected to simple compilation by computer and factor analysis for identifying adjective evaluation vocabulary and sensibility structure of color of clothes then standard axis for judgement is extracted. Then color image evaluation vocabulary and sensibility structure on color of clothes on second dimensional space are created. The conclusion drawn from SD survey and factor analysis in this study is as follows: 1) Result of SD survey on colors revealed that structure of color image factors comprizes factors of sensibility, preference, evaluational factor on extent of brightness and density of colors and factor of ages. 2) As regards space of sensibility on color of clothes more often color image was determined by hue rather than by tone. With respect to classification of tone strong, vivid and deep tone are classified as lucid tone and bright, pale, very pale and light tone classified as bright tone while dull and light gray classified as subdued tone and dark, dark gray and gray as dark tone. 3) In terms of regional difference subjects in Taegu and Chonju area were compared regarding their perception on sensibility on color of clothe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erms of structure of sensibility on color of clothes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 compared to people in Chonju people in Taegu pereceived color or tone as bright or subdued whereas people in Taegu compared those in Chonju area perceived color or tone as brighter or darker. 4) Any similarity or difference between people in different regions is believed as stemming from difference in climate, terrain, geography and culture etc. In terms of climate and topographical condition Taegu and Chonju resemble thus distribution of structure of sensibility on colores of clothes between them are similar. However due to existing geographic and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wo regions it was discovered brigher and subdued colors are preferred in Chonju whereas stronger and more lucid colors favored in Taegu reg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sensibility on color of clothes and to producing objective rules for measuring sensibility in clothes design. In particular as analysis of variety of data on sensibility on color of clothes become possible problems related to colors whose solution must be relied on subjective feeling of designer so far may be resolved more objectively.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some clue further study aimed at enabling objective interpretation on other factors such as form, material and patterns of clothes besides colors on the basis of this study on colors. Contribution to objective interpretation on sensibility aspect through this study may further the improvement of design with competitiveness by enabling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consumers need and its reflection to design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