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TR의 플러스 요소

Title
TR의 플러스 요소
Authors
조지윤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신학대학원 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태연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lose aspect of the Textus Receptus and limitations as the Original Text. For this purpose, elements were by TR but omitted by Nestle-Aland, called pluses, the pluses of TR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forms, identified their evidences in manuscripts and as to their possible origins investigated. When texts of the book of Mark from TR and NA were compared with one another, there were altogether 1,056 variants found. Among them, there were 211 pluses of the TR. When these are classified by the morphological forms, the ones that appeared most are in the following order; words, phrases, clauses, sentences and paragraphs. By manuscripts evidences, the pluses are supported mostly by Codex Alexandrinus(A, fifth century) and Codex Ephraemi(C, fifth century) which are the oldest example of the Byzantine type of texts. They are also partly supported by the Codex Bezae(D, fifth century) and Codex Washingtonianus(W, fifth century). But they aren t supported by Codex Sinaiticus(□, fourth century) and Codex Vaticanus(B, fourth century) which are credited to be the manuscripts that are closest to the Original Text among all manuscripts. Among minuscule manuscripts, the pluses of TR were supported by Fam.1.(f¹), Fam.13.(f^13) and Majority Text (M) which are regarded to be far from the Original Text as they date to the 9th century and later.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 that the TR is not the same as the Majority Text and Byzantine Text is important. Judging from these evidences, the pluses of TR can be regarded as insertions of later day scribes. The possible origins of the pluses of TR have been categorized as Change involving grammar and style , Harmonistic corruption , Addition of near sentence , Conflation of readings , Doctrinal change and The long ending . Having analyzed the texts of each pluses for the study of possible origins,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pulses are additions made by the scribes of later time period. In addition, the pluses of TR we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collection of words, style and plot of Mark. From the analysis, Conjunctions are identified as being the element that has been added the most. But Mark had the tendency to intentionally omit the conjunctions. Of the pluses element, pronouns appeared the most. Even without the pronouns, whom and what Mark was referring to could be clearly identified from his writing. The TR added words that Mark had not used, and were lengthened by influences from the books of Matthew and Luke. In the addition, the pluses of TR broke Mark s unique plot. Also, some elements among the pluses of TR were intentionally quoted as are written in the Old Testament, while Mark took the Old Testament texts and retold them in his own words. The narrative of the long ending does not connect to the whole narrative of the book of Mark, and there were seventeen words not used by Mark but added to this part. Following the above analysis, and judging from the external and internal evidences, the pluses of TR are not from the Original Text. The TR could not be equated with the Majority Text nor the Byzantine Text . Moreover, TR was by itself an imperfect text. Not only are the manuscripts supporting the TR imperfect but the internal evidences found in the Scripture clarifies that the TR is not to be regarded as the Original Text. So if TR was the best text of the 16th century, it should be the task to continue to search for the text closer to the Original Text. ; 이 연구는 TR(Textus Receptus)의 정체와 원본으로서의 한계에 대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TR의 플러스 요소를 형태론적으로 분류하여 사본적 증거를 제시하였고, 그 기원에 대하여 고찰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부록 1>에서는 TR과 NA의 유래, <부록 2>에서는 TR과 NA의 이문, <부록 3>에서는 마가복음 사본표를 제시하여 마가복음의 본문 비평의 자료로 제시하였다. TR과 NA(Nastle-Aland)를 마가복음 중심으로 비교하였을 때, 전체 1,056개 이문(variants)이 발견되었다. 그중에서 TR의 플러스 요소는 211개였고, 이것을 형태론적으로 분류했을 때, 낱말, 어구, 어절, 문장, 문단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본적으로는 혼합된 비잔틴 계열의 대문자사본인 알렉산드리아사본(A, 5세기)과 에프라임사본(C, 5세기)의 지지를 가장 많이 받았고, 자유롭게 첨가된 베자사본(D, 5세기)과 워싱톤사본(W, 5세기)의 지지를 부분적으로 받았다. 그러나 원본에 가까운 것으로 신뢰받는 4세기의 시내사본(□)과 바티칸사본(B)의 지지를 받지 못하였다. 소문자사본으로는 소문자사본 가족 f¹과 f^13, 대다수의 소문자사본들 (M)의 지지를 많이 받았다. 그러나 소문자사본들은 9세기 이후의 사본들로, 원본과는 거리가 멀었다. 한편 TR이 M과 비잔틴 본문 (Byz)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중요한 발견이었다. 이러한 외증으로 볼 때, TR의 플러스 요소는 후대 사본의 첨가라고 볼 수 있었다. TR의 플러스 요소의 기원은 문법적/문체적 조정에서 유래한 첨가 , 평행본문 사이의 조화를 위한 변경에서 유래한 것처럼 보이는 첨가 , 인접문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첨가 , 이문융합에서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는 첨가 , 교리적 변경에서 유래한 첨가 , 독립된 자료로서의 결미의 첨가 등으로 범주화하여 추적할 수 있었다. 기원 추적을 위하여 각 요소의 본문을 분석한 결과, 내증으로도 TR의 플러스 요소가 필사자의 첨가라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TR의 플러스 요소는 마가복음 전체의 어휘, 문체, 구성과 이질적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TR의 플러스 요소에서 가장 많은 요소는 접속사인데, 마가는 접속사를 의도적으로 생략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TR의 플러스 요소에서 두 번째로 많은 요소는 대명사로 마가의 문맥상 대명사가 없어도 누구를, 무엇을 가리키는지가 명확했다. TR의 플러스 요소에는 공관복음서의 영향으로 마가가 사용한 적이 없는 어휘가 있고, 마가의 간결하고 명료한 문장이 확장된 것이 있으며, 마가의 독특한 구성을 균열시키는 것이 있다. 또한 TR의 플러스 요소에는, 마가가 구약을 인용하되 의도적으로 그대로 인용한 적이 없는 반면에, 구약을 그대로 인용한 경우가 있었다. 독립된 자료로서의 결미의 첨가 는 마가복음 전체의 이야기와 연결되지 않고, 마가의 것이 아닌 어휘 17개가 나타났다. 이렇게 TR의 플러스 요소는 외증으로나 내증으로나 원본일 가능성은 없다. 그리고 TR은 외증에서 살펴보았듯이 대다수 본문 (Majority Text), 비잔틴 본문 (Byzantine Text)과 동일한 개념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TR은 그 자체가 하나의 완전한 본문이 아니다. TR을 지지하고 있는 사본들이 불완전할 뿐 아니라, 성서 내적인 증거도 이를 뒷받침한다. 그러므로 TR이 16세기의 본문으로서 최선의 본문이었다면, 그 이후 원본에 가까운 본문을 구성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었고, 앞으로도 계속되어 나가야 하는 것이 과제로 남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