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림-
dc.creator이정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3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5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552-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의 화두를 장식한 디지털 문명의 정보화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발전되어 가는 세계에 살고 있다.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한 사이버 문화의 발달로 인터넷으로 정보를 주고받고, 사이버 공간에서 쇼핑하며 컴퓨터와 함께 여가를 즐긴다. 이는 고도의 첨단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생활습관을 바꾸어 놓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의 패션과 인테리어 등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빠르게 발전하는 이런 현대사회에 발맞춰 나가면서 현대인이 원하는 컬러와 무늬를 표현해 내는 작업이다.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와 현대인의 기호를 한발 앞서 찾아내어 그들의 감각을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창출해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명제 아래 3차원의 공간감이 느껴지는 기하학적 형태의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있어 문헌 연구와 작품제작 및 분석의 방법을 기본으로 하였다. 첫째, 3차원의 공간과 기하학의 기본 개념 및 기하학 형태의 조형성, 예술 속에 나타난 기하형태의 표현에 대해 여러 문헌자료와 사진자료를 통하여 조사해 보았다. 둘째, 기존의 텍스타일 디자인에서 보여진 기하형태 패턴을 조사, 분석하여 새로운 기하형태 모티프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셋째, 3차원의 공간감이 느껴지는 패턴을 만들기 위해, 컴퓨터 그래픽(2D, 3D)의 디자인 작업으로 15점의 작품을 제작하여 이를 분석해서 실제 제품으로도 적용시켜, 제작된 패턴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러 문헌 연구를 통해 기하학적 형태는 고대의 유물에서부터 시작되어, 현대의 미술과 디자인, 건축 등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그 자체가 이미 지역과 시대를 넘어서서 무한한 탐구의 대상으로서의 가치와 매력을 지닌 조형요소임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텍스타일 디자인에 있어 이미 많이 다루어진 기하형태의 패턴이지만 그간에 일률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기하형태를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기하형태의 패턴과 그 패턴의 배경이라고 할 수 있는 공간에 3차원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대입시킨 결과, 기존의 기하학 형태 패턴에서는 볼 수 없었던 3차원의 공간감이 느껴지는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해 볼 수 있었다. 이로써 2차원의 평면인 직물 위에 패턴이 단순히 표면의 장식적인 무늬가 아닌 공간을 느끼게 해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텍스타일 디자인으로써의 가능성을 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었다. 셋째, 연구된 3차원 기하형태 패턴의 실제 사용에 있어서, 이 패턴의 디자인이 실제 공간에 들어갔을 때 월 커버링(Wall covering), 월 행잉(Wall hanging), 롤 스크린(Roll screen) 등의 제품에 적용되어 현대의 미니멀하고 사이버틱한 공간 속에서 잘 어울리는 디자인임을 보면서 시대성과 활용성을 겸비한 제품화의 가능성을 알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자는 평면인 직물 위의 패턴을 연구함에 있어 패턴 자체의 연구와 함께 패턴이 놓인 공간상의 문제를 고찰해서, 기존 기하형태 패턴에 있어 평면성 위주의 한계를 극복한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앞으로도 텍스타일 패턴의 고정관념을 없앤 디자인의 연구가 계속되어 참신한 시각을 가진 디자이너의 패턴 연구와 개발이 고부가가치의 텍스타일 디자인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The digital age of the twenty first century has witnessed a time of rapid change and development in the design industry. Through the internet and developing technology, modern man is able to enjoy numerous benefits of cyber culture such as rapid exchange of information, convenient shopping, and entertainment. Our highly advanced, ultra modern society is also extending its influence on all facets of the fashion and design industry. The textile design industry faces the challenge of keeping pace with modern society and modern man s needs for communication through colors, patterns, and designs. It faces an even greater challenge of staying ahead of current trends, working to create new designs that will satisfy modern society s rapidly changing tastes. Thus, it is important that the textile design industry continuously works to develop new concepts in fashion and design. The digital age of the twenty first century has witnessed a time of rapid change and development in the mindset and lifestyle of modern man. Through the internet and developing technology, modern man is able to enjoy numerous benefits of cyber culture such as rapid exchange of information, convenient shopping, and entertainment. Our highly advanced, ultra modern society is also extending its influence on all facets of the fashion and design industry. The textile design industry faces the challenge of keeping pace with modern society and modern man s needs for communication through colors, patterns, and designs. It faces an even greater challenge of staying ahead of current trends, working to create new designs that will satisfy modern society s rapidly changing tastes. Thus, it is important that the textile design industry continuously works to develop new concepts in fashion and design. With the need for development of new concepts in fashion and design in mind, the author studied, worked with, and analyzed various textile fashion and design concepts to develop and create new three-dimensional spacial patterns. Firstly, literature and photographs within the field of fine arts were studi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fundamental concepts in three-dimensional spacial design. These materials were also used to study various geometrical form expressions. Secondly, geometrical shapes and patterns in already existing textile designs were studied in order to explore various new motif development possibilities. Thirdly, in order to create new three-dimensional patterns, computer graphic programs (2D, 3D) were utilized to produce fifteen test products. These trial products were subsequently tested for commercial feasibility. The above studies led the author to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various geometrical design patterns used in ancient and modern works, art and architecture were studied. The immense scope of application of geometrical patterns that transcend location and time factors led to the realization that the exploration and cultivation of these patterns remains a valuable and worthwhile pursuit. Secondly, geometrical design patterns commonly used in textile design were innovatively used to create unique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s. This was accomplished by experimenting with new background and spacial concepts. Furthermore, these geometrical design patterns are not merely simple decorations on two-dimensional surfaces. Rather, spacial patterns were used to create three-dimensional effects. This relatively new concept allows for many possibilities in textile design. Thirdly, these three-dimensional geometrical design patterns can be used in many real world products such as wall coverings, wall hangings and roll screens. These designs - given their fashionability and practicality - are a natural fit with modern cyber culture and a society that places strong value on all things minimal and simplistic. This makes for many possible commerical uses for these three-dimensional geometrical design patterns. As presented above, not only were textile design patterns studied, but the spaces which house these patterns were considered. Patterns used in already existing designs were innovated upon to develop a new concept in textile design. Future designer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be innovative and work to develop patterns that will be highly valu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범위·방법 = 3 1.3 문제제기 = 4 2. 3차원 공간과 기하학 = 5 2.1 기하학적 형태의 개념 = 5 2.2 예술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 = 8 2.3 3차원 공간의 기하학 입체물 = 13 3. 3차원 모티브를 응용한 패턴디자인 = 18 3.1 텍스타일 디자인과 패턴 = 18 3.2 3차원 모티브, 소재, Color = 29 4. 작품 제작·분석 = 36 4.1 작품제작 의도 및 과정 = 36 4.2 작품분석 = 38 5. 결론 = 72 참고문헌 = 74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109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3차원 기하 형태를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