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2 Download: 0

제품 조형의 내구적 속성에 관한 연구 : 내구적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제품 조형의 내구적 속성에 관한 연구 : 내구적 제품의 사례를 중심으로
Authors
조민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보디자인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ver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id 18th, the continuing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ased on the human-centered paradigm of justifying the human conquering of nature, have been the main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ical system. But, in this post-industrial era, we can observe the phenomenon of paradigm shift, that is, the existing human-centered paradigm is changing into the new ecological paradigm which pursues not the human conquering of nature but the coexistence of mankind and nature. This paradigm shift let governments make and implement environmental policy, companies change the attitude towards environment, and consumers become green-consumers who are concerned about environment in consuming products. In the line of this sense, it is necessary for designers to recognize the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change into the designing for environment, not for sale itself. In accord with the context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clues for re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with the analysis of design for long-selling product(LSP), as we call, product durability analysis. That is, this study is under some assumptions that designing LSP and LSP itself are able to extend a product life cycle, delay a product disusing, reduce a rash development competition for new product among companies, mitigate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of consumers, eliminate a waste of resources, and go far toward the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In order to analyse LSP and its design, 13 LSPs which have sold for more than 20 years are adopted as analysed cases in this study. And each case of LSPs is analysed in terms of four criteria : (1)price (2)productivity (including technology level) (3)usefulness (4)beauty. Especially, the criterion of usefulness is made up of three sub-criteria such as ①convenience ②performance and ③internal firmness, and the criterion of beauty consists of six sub-criteria such as ①creativity ②modernity ③amusement ④balance ⑤external firmness and ⑥ornament. Some results of LSP and its design analysis are like this : (1) Most LSPs greatly depend on their price and are either extremely high or low in their price. (2) Most LSPs are high in their productivity (containing technology level). (3) Most LSPs are high in their usefulness such as convenience, performance, and internal firmness. (4) Most LSPs are high in their creativity, modernity, balance, and external firmness, but low in amusement and ornament. With the result of this LSP analysis, I suggest some durable attributes of LSP such as price, productivity, convenience, performance, internal firmness, creativity, modernity, balance, and external firmness. Applying these durable attributes of LSP in designing consumer product, designers will be able to design many other LSPs which, at the same time, will be environment-harmonious products, and, in the long run, contribute to protecting the environment from its contamination. ; 산업혁명 이후 과도한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생태계가 파괴되고 지구가 병들어 가고 있다. 이러한 지구의 생명, 인류의 총체적 위기는 자연정복을 정당화하는 인간 중심적 패러다임이 근본 원인으로서, 그 근원적 해결책은 인간 중심적 패러다임을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목표로 하는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이 같은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은 우리의 환경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을 뿐 아니라 정부에게 환경 정책을 제정하도록 하였고, 환경을 생각하는 그린소비자를 증가시켰으며, 기업의 태도 역시 바꾸어 놓았다. 디자이너 역시 인류의 과제인 환경문제 해결에 동참하지 않을 수 없었고, 이러한 사회적 책임과 디자이너 자신의 윤리적 책임은 디자인의 방향을 환경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Environment)으로 전환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환경 문제 해결이라는 측면에서 그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즉, 제품의 조형에서 내구적 속성을 파악하여 이를 제품에 부가함으로써, 경제적 손실과 환경오염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과도한 경쟁 의식에 의한 무분별한 제품개발과 소비자의 소비 지향적인 태도에 반발하는 것으로, 제품의 형태를 결정하는 디자이너가 제품 조형의 내구적 속성을 파악하여 제품에 부여함으로써, 제품의 수명(Product Life Cycle)을 연장시키고 제품의 폐기를 유보시킬 수 있으며, 제품이 제 수명을 다하기도 전에 새로운 형태의 제품에 밀려 폐기되는 일을 줄임으로써, 과잉 생산에서 오는 에너지 낭비와 자원의 소모를 막고 오염물질의 방출과 쓰레기를 줄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한다는 것이다. 이 가정 위에서 제품 조형의 내구적 속성을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 목표라 하겠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형적으로 내구적인 제품의 사례를 모아 연구, 분석하는 것을 선택하였다. 그 외형이 크게 변하지 않고 20년 이상 지속적으로 생산, 판매되고 있어 비교적 내구적이라고 판단되는 13개의 제품을 사례로 선정하여, 이를 가격 측면, 생산성 측면, 사용성 측면(편리성, 성능, 견고성), 미적 측면(독창성, 모더니티, 유희성, 균형미, 견고미, 장식성)에서 그 수준을 7단계로 나누어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첫째, 디자인 내구성은 가격에 큰 영향을 받으며, 가격이 아주 높거나 혹은 아주 낮은 제품으로 양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둘째, 내구적인 제품은 생산(기술)성이 매우 높은 데, 이것은 오랜 시간동안의 제품 생산의 노하우가 축적되므로 차츰 향상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내구적 제품은 편리성, 성능, 견고성의 제품의 사용성이 뛰어나다는 특성이 있고, 마지막으로 내구적인 제품은 미적 측면에서 독창성, 모더니티, 균형미, 견고미는 높다는 평가를 받으나, 유희성, 장식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유희성, 장식성에 비해 독창성, 모더니티, 균형미, 견고미가 비교적 내구적 속성이며, 시간의 흐름에도 크게 저하되지 않고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품의 조형적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환경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데 있어서, 디자인과 사회 전반에 다음의 여건이 시급히 조성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하나는 Good Design의 평가로, 디자인은 예술과 구분되는 목적수행을 위한 도구이므로, 그 평가에 있어서도 제품의 목적에 대한 적합성의 차원에서 외형과 내관(Internal Design)의 균형, 조화를 평가하여야 한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대를 물려주며 사용하였던 과거 우리 선조들의 제품에 대한 감정적 태도로, 물질적 가치를 대신하는 세월의 동반자로 여기는 마음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