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동은-
dc.creator오동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3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8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88-
dc.description.abstractNew millennium is a century of culture. For the people living in such a century main power for progress for the future may depend on power of culture in a givens society. Amongst such power of culture most influential element in terms of extent of impact upon personal and social life of the moderns is power of fashion. In fashion show and fashion shooting being held on show stage and visuals stage fashion is main theme and vessel upon which fashion is contained society and roles of media linking fashion and surrounding circumstances are fashion show and action of fashion shooting. More than any other field fashion seeks for novelties always and changes very rapidly. At such a time unless society which contains fashion in it changes too it may not play role of a vessel containing the main theme. In fashion already soft, nature-friendly, feminine, orientalistic, unconscious trend of Post-Modernistic inclination is prevailing, And in modern society a tendency of seeking for humanity or return to nature or seeking for world of dream or unconsciousness by escaping from reality to run away from end of the century anxiety is very strong. urbane, architectural, masculine attributes to a post-modernistic one with attribute such as soft, nature friendly, feminine, unconscious inclination is inevitable. Advance of soft stage which is a sort of medium linking fashion is quite natural. For such stages there are materials easily changeable in shapes, simple to use and small in volume while producing considerable visual effect and fiber such as fabric, paper and vinyl etc. is such material. Furthermore such shapes of such materials can be changed through dyeing, painting, weaving, sewing or taping. In this treatise this write aimed to explore possibility of stages made up of soft materials such as fibers and with application of feasible technique thereupon. And such an attemp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xpanding stage set as media reflecting change in our consciousness in modern society. The expected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y employing post-modernistic elements at show stage as well as film stage it was possible to present state of consciousness of our modern time which lingers in between end of the century anxiety and hope of a new millennium. As a specific measure for such method fiber installation of nature friendly image was introduced and it was shown that a stage can be easily installed and moved either at studio, artificial object or nature etc. and also proved that almost of all the places can be used as space for stages proving versatility of space. Additionally by positively using dyeing technique which was confined to clothes and interior textile so far to stages it can be confirmed that field of dyeing can be expanded measurably. Secondly, overall contemporary global trend of fine arts and design is based on oriental thoughts and feminine inclination. In this connection stage set-up through interpretation of oriental, nature friendly and feminine trend by our methods and visual data thus produced, which are not through interpretation which masculine eyes of Western perspective, will enable us present a new trend in the world market. It is a sincere wish of this writer that through research in this subject consciousness of post-modernistic flair in our modern can be expanded through introduction of fiber installation of nature friendly image to show as well as visuals stage thus our culture-in particular in fashion field industry may come to possess international competition. ; 새로운 천년은 문화의 세기이다. 문화의 세기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그 사회가 얼마나 문화력을 갖추느냐에 따라 미래를 발전시켜 나가는 원동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문화력 중에서, 현대인의 사회적, 개인적 삶에 있어서 많은 부분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패션의 문화력이다. 공연 무대와 영상 무대에서 행하여지는 패션쇼와 패션 슈팅에서 ‘패션’은 주제이고 패션이 담기는 그릇은 ‘사회’이며, 패션과 사회의 주변 상황을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이 패션쇼와 패션 슈팅이 행하는 행위이다. 즉 사회라는 그릇에 패션이란 주제를 담고 이 둘을 연결시키고 코디네이션 하는 것이 ‘무대’이다. 패션은 다른 어느 분야보다도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빠르게 변해간다. 이때 패션을 담고 있는 사회가 변하지 않으면 주제를 담는 그릇의 역할을 해낼 수가 없게 된다. 패션에서는 이미 포스트모더니즘 성향의 -부드럽고, 자연 친화적, 여성적, 동양 사상적, 무의식적 - 트랜드(trend)가 유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사회는 세기 말의 불안함에서 휴머니티를 꿈꾸며 자연으로 회기하려는 혹은, 현실을 회피해서 인간의 꿈, 무의식의 세계를 탐구하려는 경향이 더욱 짙어지고 있다. 따라서 모더니즘적 성격의 -도식적, 도회적, 건축적, 남성적- 무대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적 성격 -부드럽고, 자연 친화적, 여성적, 무의식적- 무대로의 변화는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패션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인 부드러운 무대의 등장은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무대에 쓰이는 재료로는 화이버(fiber), 즉 패브릭, 종이, 비닐 등 그야말로 쉽게 모양변형이 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며 적은 부피로 큰 시각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재로가 있으며. 이 재료에는 염색이나 페인팅(painting), 직조, 바느질, 테이핑(taping)의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화이버(fiber)로 된 소재에 사용 가능한 기법을 활용하여 부드러운 재로로서의 무대의 가능성에 대해 시도하였으며, 이러한 시도는 현대의식 변화에 따른 매개체로로서 무대장치의 확장을 의미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여기서 예상되는 연구의 경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무대와 영상무대에 포스트 모더니즘적 소재와 표현 양식을 사용함으로써 세기말의 불안과 새 천년의 희망 사이에 있는 확장된 현대의식을 담아 낼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자연친화적 이미지의 화이버 인스톨레이션(Fiber Installation)을 도입해서, 스튜디오, 인공물, 자연 등 어디서나 쉽게 설치, 이동이 가능한 무대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모든 장소가 무대로 쓰일 수 있다는 공간 사용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또한 염색기법이 주로 의류, 인테리어 텍스타일에 국한되었던 것을 무대에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염색 영역의 확장에도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 현재의 미술 사조와 디자인의 전 세계적 트랜드가 동양적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여성적인 성향들에 관심이 있는 것에 미루어, 서구의 눈에 비춰진 혹은 남성의 눈으로 본 동양적, 자연 친화적, 여성적 트렌드에 의한 무대 장치와 비쥬얼 자료가 아닌, 우리의 방법으로 해석한 우리의 무대 장치와 비쥬얼 자료로서 세계 시장에서 하나의 새로운 트렌드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로 인해, 자연 친화적 이미지의 화이버 인스톨레이션을 공연무대와 영상무대에 도입시켜서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현대의 의식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고, 이미 이러한 성향을 가지고 있는 우리 문화 - 특히 패션 분야에 있어서- 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게 되는 의미 있는 작업이 되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3 2. 자연 친화적 이미지와 화이버 인스톨레이션 연구 = 4 2.1 자연 친화적 이미지 발생 배경 및 특성 = 4 2.2 화이버 인스톨레이션의 개념 = 8 2.3 포스트 모더니즘에 나타난 자연 친화적 이미지와 화이버 인스톨레이션의 상관관계 = 11 3. 현대의 공연무대와 영상무대 연구 = 18 3.1 공연무대와 영상무대의 요소와 특성 = 18 3.2 패션 광고 비주얼에 나타난 기호로서의 무대의 역할 = 21 4. 자연친화적 이미지의 화이버 인스톨레이션을 이용한 무대 = 27 4.1 화이버 인스톨레이션과 공연, 영상무대 조형적 특성 = 27 4.2 자연친화적 이미지의 화이버 인스톨레이션을 도입한 공연무대와 영상무대 = 29 5. 작품제작 및 분석 = 39 5.1 작품제작 의도 및 방법 = 39 5.2 작품분석 = 40 6. 결론 = 69 참고문헌 = 71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208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화이버 인스톨레이션에 의한 영상무대 연구 : 패션광고 비쥬얼을 위한 무대제작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9.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