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7 Download: 0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에 관한 연구

Title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에 관한 연구
Authors
이민경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들어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아르바이트를 탈선과 동일시하는 사회적 인식과 무관심 속에서 청소년들은 건전하게 일할 권리조차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 인위적인 통제가 불가능해진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 욕구는 음지에 묻힌 채 노동력이 착취당하거나 원조교제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용돈을 마련하고 사회를 경험하려는 청소년들의 욕구가 사회적으로 팽배해 있다면 무조건 억누르기 보다 청소년의 아르바이트가 미치는 효과성을 분석하여 건전한 방향으로 가는 길을 마련해 주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동기에 초점을 두어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를 반대하거나, 실제로 검증되지 않은 아르바이트의 효과성에 근거하여 찬성하는 개인적 입장을 주장할 뿐 이 문제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자료는 미미한 수준이다. 청소년 아르바이트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최초의 일"로서 직업가치관 형성과정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아르바이트를 교육적으로 승화시키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찬반이 맞서는 가운데 많은 청소년들이 시간을 투자하고 있고, 점점 더 많은 학생들이 희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청소년의 아르바이트가 학생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 즉, 청소년의 직업가치관 형성과정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지 여부에 관해 연구·조사하였다. 먼저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을 조사하였고, 이와 같이 객관적으로 측정된 아르바이트의 효과와 아르바이트에 대한 학생들 자신의 주관적 평가를 비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청소년 아르바이트를 직업교육으로 활용하기 위해 아르바이트 경험이 직업의식을 형성하는 매체로서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아르바이트 경험은 직업의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해 학생들이 노동의 소중함, 일하는 기쁨을 느낀다고 나타난 기존의 의식조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따라 직업을 선택할 때 일을 함으로써 얻는 기쁨 에 대한 우선적인 고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인생에서 직업보다 결혼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아르바이트 경험이 직업에 대한 의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기간이 길수록 연고주의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학생들이 노동 시장에 직접 참여하여 실제 직업 세계를 체험함으로써 일터에 만연되어 있는 연고주의를 직접 보고, 그로 인한 폐단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아르바이트에 관한 평가 역시 아르바이트 경험이 부정적이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학생일수록 아르바이트를 계속 혹은 앞으로 하고자 하는 희망 정도가 낮아, 중고생 시기의 아르바이트 경험이 학생들에게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아르바이트가 현재의 직업의식에 미친 영향력을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보통을 상회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아르바이트가 학생들의 직업의식 형성에 보통 이상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직업관련 정보를 얻는 매체와 관계없이 학생들의 직업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만족도는 보통을 못미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설 정도에 관계없이 학생들의 이용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공교육에서 실질적인 진로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였다. 한편 진로 결정시 가장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는 학업문제를 제외하고 직업에 대해 경험할 수 있는 기회 부족 인 것으로 나타나 현재 우리 나라 진로교육에서 이 부분이 시급히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기간이 길수록 실제로 일해 본 경험 에서 직업관련 정보를 얻는 비율이 증가하였고, 직업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아르바이트가 직업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가 일하는 기쁨 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경험할 수 있는 아르바이트 직종이 단순 노동직에 한정되어 있는 우리 나라의 현실적인 여건상 아르바이트가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사회 경험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옴에도 불구하고 통제가 불가능한 수준으로 팽배해진 학생들의 아르바이트 욕구를 수렴하고 건전하게 일하고자 하는 청소년들의 욕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나 생활지도의 영역에서 적극적인 관심과 실질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직업에 대해 직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학생들의 아르바이트를 직업체험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사회적 정책이 시급히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The number of teenagers working part-time is on the rise. However, the society s view and ignorance of combining teenagers going astray and obtaining a part-time job have left these teenagers without any rights or protection to work even in a sound-working environment. This need for the teenagers whom desperately seeking a part-time job has been falsely exploited and for some, this sort of exploitation has caused some teenagers to be involved in prostitution with an elderly, which contributes to a different and major concern for society as a whole. If the needs of teenagers to earn money and obtain working experience are at a high demand, then the proper way to fulfill the need is to analyze the cause-and-effect of teenagers having a part-time job experience. Therefore, leading them to the proper path instead of oppressing them. Our society is accustomed to believing the stereotypes of teenagers with history of job experience. Although there are few having positive opinion from their personal experience, clearly, there is a lack of studies relating to this subject matter for anyone to decide on what s right or wrong for our teenagers. For teenagers, First job , whether it is part-time or full-time, can have tremendous direct and indirect affect on their work ethics. Therefore, this study, being the first to deal with such controversial issue, focuses on changing the misconception of the public.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despite the pros and cons, demands for part-time jobs are on the rise by teenagers. With this fact, the study was done to indicate how teenagers are affected, how they form their own work ethics, how they view themselves after having a part-time job, and how effective part-time job can be in forming a proper work ethics. The study concluded that having a part-time jobs contributed to forming a negative work ethics on teenagers. Although purpose of having a part-time job is to guide teenagers, who attend business circle high school. to their self-development rather than making money, it only showed that the group in study, teenagers, thought more importantly of getting married. The study indicated that even the teenagers who had subjective opinion about part-time jobs thought that having a job was not a positive experience. With decreasing desire for teenagers who had part-time job experience to repeat having the job experience again, this can be an indicative of negative affect that a part-time job has on teenagers. Also, having a part-time job experience had no affect on teenagers forming a future job ethics.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teenagers are not satisfied with media that provides information leading to careers. And when deciding on career path, the resource to obtain any direct experience was not available. This is an indication that Korea s education system does not provide sufficient knowledge for teenagers to pursue a right career.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are opportunities that can be made possible for teenagers to experience the joy of working , only experience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are purely physical labor, which forces teenagers to think of having a part-time job as unnecessary and perhaps negative experience that they can encounter. Though having a part-time job experiences can only produce a negative result, the increase in demand for part-time job should trigger our sense to protect the teenagers by creating job that can directly produce an experience which relates to pursuing a career of their cho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