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1 Download: 0

시민교육 학습자의 참여동기 유형과 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Title
시민교육 학습자의 참여동기 유형과 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Authors
황윤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1980년 후반, 팽배해진 민주화 의식과 함께 민주지향적 의식과 실천의지를 갖는 시민의 수가 늘어나게 되고 다양한 시민운동이 등장하면서 많은 시민단체에서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시민교육을 실시해 오고 있다. 그리고 현대에 이르러서 성숙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올바른 시민성을 기르고 건강한 시민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은 사회가 발전되면 발전될수록 통생애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급성장한 시민단체들은 산업화의 과정속에서 대두된 심각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으로 시민운동과 시민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 연구는 현재 시민운동의 주체가 되고 있는 시민단체들이 시민교육을 담당하고 주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시민교육 전반에 대한 이론적 토대와 실천적 경험의 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 하에 시민단체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시민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한국의 민주화가 요구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은 자생적으로 형성되며 실천하는 시민단체의 종합된 힘과 그 과정 속에서 성장·정립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러한 시민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간의 개인적인 특징이 시민교육에 참여하는 동기유형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성숙된 시민사회가 갖춰야 할 기본적인 민주시민의식이 시민교육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어떠한 영향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성인들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기초 자료를 마련해 더욱 강조되어야 할 시민교육의 내용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시민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에 대한 사전 요구분석적 차원에서 의의를 가지며 시민교육과 성인학습자의 관계에 대한 현실적인 접근이라는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따라 시민교육에 참가하는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을 인구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력, 주거지역, 직업, 가계소득, 가족형태, 시민교육 참여여부)과 가치태도(문화적 가치지향적, 사회적 성취욕구, 사교성, 자아의식)변인으로 알아보고, 그러한 개인적 특성이 시민교육참여동기(개인적, 사회적, 자아실현, 사회복지의 유형)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와 함께, 시민교육 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시민의식(공동체 의식, 준법의식, 사회봉사의식, 권리참여의식, 대화·타협의식, 절약의식, 환경의식)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15개 시민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시민교육 학습자 270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01년 4월 16일부터 4월 30일까지였다. 통계방법으로는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t-검증(t-test),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여섯 가지 항목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시민교육의 학습자는 다음과 같은 인구배경학적 특징을 가진다. 남자보다 여자가, 연령은 낮을수록, 학력은 높을수록, 가계 수입은 높은 쪽이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업도 안정적인 직장에 종사하거나 학생의 참여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미혼인 학습자의 참여가 기혼이거나 자녀가 있는 쪽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이전에 시민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학습자가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시민교육의 참여가 높았다. 하지만 이 연구의 결과는 모집단의 표본이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계성을 가질 수 있다. 둘째, 개인의 인구학적 특성변인뿐만 아니라, 시민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가치태도면을 측정해 본 결과, 사교성의 성향이 높은 사람이 시민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가치지향과 자아인식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분포는 비슷하였으며, 오히려 사회적 성취욕구가 강한 사람이 제일 낮은 분포를 나타냈다. 셋째, 학습자들의 참여동기가 무엇인지 살펴본 결과, 자아실현의 목적을 가지고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민교육을 수강하는 학습자들은 지속적인 자기발전과 자아실현, 지식이나 기술 획득 그 자체에 동기부여를 하고 시민교육에 참여한다. 넷째, 참여동기 유형에 차이를 가져오는 시민교육 학습자의 인구학적 배경변인을 보면, 학습자의 연령, 학력, 거주지, 직업, 가계수입, 생활형태 등 대부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학습자의 성별과 이전에 시민교육에 대한 경험이 있는가 없는가에 대한 요인뿐이었다. 성별이 참여동기의 유형에 가져온 차이는 개인적 목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개인적 목적에 의한 참여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교육 경험 유무별로 살펴본 참여동기의 차이에서 이전에 시민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습자가 개인적 목적, 사회적 목적, 사회복지의 목적으로 인한 참여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시민교육 학습자의 가치태도 중에서는 성취욕구 지향적인 사람이 참여동기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개인의 가치태도는 자아실현의 목적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자의 가치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실현의 동기가 높게 나타나지만 그 외의 가치태도의 하위영역들은 시민교육 참여동기유형에 유의한 차이는 가져오지 못하였다. 다만, 사회적 성취지향적인 성향을 지닌 학습자가 개인적 목적과 사회적 목적, 자아실현의 목적에 대한 참여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교적 성향을 지닌 학습자는 사회복지의 목적에 동기부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시민교육에 참가한 학습자의 참여동기는 시민의식과 유의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 전체는 시민의식과의 관련해서 정적으로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공동체의식, 대화타협의식, 사회봉사의식, 절약의식, 준법정신, 환경의식과도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즉, 개인적, 사회적, 자아실현, 사회복지의 참여동기는 모든 시민의식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공동체의식, 사회봉사의식, 대화타협의식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중에서도 사회복지 목적의 참여동기가 시민의식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복지에 참여동기를 둔 학습자의 시민의식이 높다는 말로도 풀이될 수 있다. 이제까지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종합해 볼 때, 시민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은 ‘배운다는 것 자체가 즐겁다’, ‘현대사회를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자기 발전과 자아실현을 위해서’의 항목이 있는 자아실현에 참여동기를 가지고 시민교육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개인이 갖는 배경특성 중에서 시민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학습자가 경험이 없는 학습자보다 참여동기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민교육의 참여동기는 개인의 가치태도 성향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사회적, 자아실현적, 사회복지적 참여동기에 따라 시민의식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사회복지를 참여동기로 한 집단일수록 시민의식에 대한 하위영역들에 영향을 크게 미쳤다. 그리고 참여동기는 여러 시민의식 중에서도 공동체 의식, 사회봉사 의식, 대화 타협의식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숙된 시민사회를 이끌어 갈 민주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일반 시민들에게 더 효과적이고 시민생활 전반에 뿌리내릴 수 있는 시민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시민교육의 대상을 좀 더 확대시켜야 한다. 성인은 앞으로 자라날 잠재적인 시민들을 끌어나가는 존재이기 때문에 사회 일반의 시민들에 대한 시민교육이 널리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조사에 의하면, 현실적으로는 오히려 교육수준이 높고(대졸이상 혹은 대학 재학중) 소득수준이 높고(월평균 가계소득 200만원 이상), 직업도 안정적인 중상류 계층의 성인들과 여성이 시민교육에 더 많이 참가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따라서 시민교육의 대상을 확대한다는 차원에서 저소득층에서 더 많이 시민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그들에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시민단체의 시민교육의 활성화가 더욱 주력되어야 할 것이다. 시민교육이 국가 주도하의 의식교육이 아닌, 시민단체의 발전적인 시민운동 형태로서 시민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시민단체는 민주시민 교육이나 시민의식 교육을 건전하고 평등한 사회를 이끌어 가는 내용을 강조하면서 시민단체의 독자적이고 독립적인 영역을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민교육 담당자나 앞으로 성인시민교육을 끌어갈 교육 담당자들뿐만 아니라 사회교육을 담당하는 모든 실무자들은 시민교육에 대한 이해와 시민교육에 참여한 학습자의 동기를 잘 파악하는 것은 물론, 학습자의 요구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게 분석된 요구를 가지고 현 시점에서 시민들에게 요구되는 시민의식이 무엇인가를 파악해야 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시민교육은 학습자들의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시민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그렇다면 어떤 시민의식이 강조되어야 할 것인지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와 사회문제를 파악하여 맞는 시민의식 고양에 주력을 길러야겠다. 따라서 추상적인 시민성의 개념에서 벗어나 실제적으로 구체화된 시민성의 하위영역을 정하고 그에 알맞는 정의를 내리는 것도 필요하다. 민주시민을 위한 사회화과정은 태어나면서부터 시작하여 죽을 때까지 필요한 과정이다. 그러므로 이제는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이를 위한 적극적인 교육이 요구된다. 그리고 그것은 통생애적인 학습의 요구와도 맞물린다고 할 수 있다. 진정한 민주시민교육은 모든 교육의 장에서 연계가 됨을 바탕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시민의식에의 숙지가 이루어 질 때 비로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democracy in one country depends on democratic attitude of their citizen. The democratic attitude of citizens is not automatically formed, but is developed through education. So far,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primarily provided at school to children. However, it is recently argued that citizenship education to adults is required and various social educational programs have been offered by many social educational institutes. Especially, the rapid growing civil rights groups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and civic education as one possible answer to the serious social problems, which are caused by industrialization of our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present conditions in civic education conducted by civil-social organizations, raising its problems and providing remedies for more vigorous activities by civil social organization. Also,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types of motivation types of the learners who are participating in civic education and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of contribution by civic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dult of citizenship.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information for democratic education and bring forward program and direction for future civic education at civil social organization. This study is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re exists a certain inter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types of the learners who are participating in civic education and citizenship. To verify the above objectives,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motivation types of learners who is according to individuals background and individuals value attitude, and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personal purpose, social purpose, self actualization, social welfare) and citizenship of learn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civic edu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a total of 270 learners who are participating of 15 Civil-Social Organization for civic education. Collected data through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treatment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nd an one way ANOVA, cross-tabs,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such verific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there are more participated characters like the younge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higher position in one s occupation, higher income level, single or shorter family living period and learners who have an experiences of civic education participation. Second, most learners who are participating in civic education have more active social intercourses. Thirds, what motivated them to take part in civic educations turned out to be the need of self realization. Fort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motivation types of civic education learners and status of learners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Remarkably, female is higher than male in the motivation type of the personal purpose. Also, leaners who had participated in civic education have higher motivation than that of the learners with no such participation. Fifth, the person who has social achievement attitude is motivated much more to participate civic education than others who has individual value attitudes. Especial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value attitudes and the self actualiz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In other word, the leaners who have positive individual value attitudes have higher motivation of self actualization participation for civic education. Sixth, various citizenship a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motivation types of participation for civic education. Especially, social welfare participation motivation have affected the various citizenship that leaners have. In addition, all type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ivic education have affected the citizenship such as community consciousness, consciousness of communication/compromise, consciousness of socialized serv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known that more energized civic education must be preceded by national and social democratic procedures. This study suggest as follows : First, it is difficult to expert the improvement of citizenship of adults through other variables which have been fixed to a great extent. We should not hesitate to offer adult civic education and increase potential citizens. Also, we should consider helping to prepare discussion-oriented society and creating increased awareness of cooperation. They indicate that adults in the middle class with higher education and income participates more in the social educa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civic education was originally designed to offer compensatory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disadvantaged groups and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school education. And we take to motivate the interests in participation in civic education by those low-income class. Second, we have to activate civic education as developed social movement at civil social organization. Because the education program will be the reproduction strategies of social movements. To obtain more clarity in the aims and its details of civic education and to systematize concrete programs, it is necessary to form discussing bodies consisting of related civic education organizations and to cooperate in sharing the manpower, information and education material development among them. Finally, supervisor of civic education and organizations resorted to analysing the motivation of leaner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programs as a way of reflecting their needs. Also, they have to understand civic education much enough. Because the education program directors should point out the necessity of planting consciousness of civic education. With the growing awareness of the needs for social democracy, not education performers but the education participants must take the initiative in the social education, exercising learners rights to learn. Socialization through citizenship education is a process which continues from the time of one s birth to death. Therefore, it is now required that citizenship education shall be made in the areas of civic education as well as in the areas of school education. It is because the genuin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possible only when efficient connection is made among all systems of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