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도시저소득층 지역 공부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Title
도시저소득층 지역 공부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Authors
김정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In Korea, there is a small income urban class, which has been made up wit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since 1960s. Those who belongs to this class, are mostly former petty farmers gave up farming. With no capital, insignificant school career and small income, they suffer hardships of life and have a difficulty in making their living. Accordingly, Their children are likely to be brought up deprived of proper concern of the parents, and exposed to danger of safety accident and deviation in their dwelling and education environment. In this respect, to create appropriate education environment lacks in home and school. To provide study guidance and various humanity education programs to these children, Study Rooms have been founded under the leading role of private organizations and religious bodies in small income urban region. Study Rooms, as a kind of social education, are nonprofit. Although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and limits due to the insufficiency of finance and the deficiency of lawful grounds, Study Rooms are under the steady course of settlement and promotion for its own necessi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conception that,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in Study Rooms to bring a social reliance to Study Rooms as a educational activity for young people of a small income urban class. So,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the speciality and the orientation of the Study Rooms activity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we focused on estimat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Study Rooms educational programs by knowing that how the Study Rooms educational programs is recognized by the juveniles concerned and what correlations is there between the recognition about Study Rooms and their self-esteem. This study, using questionnaires, takes as population, Study Rooms of nationwide small income urban regions and as sampling, 469 juveniles in 25 Study Rooms in Seoul and other cities ranging between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en years old)and third grade of high school(seventeen years old). The issue and method of statist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want to know how Study Rooms educational programs is recognized by the juveniles in the small income urban regions. To do so, frequency analysis method and dispersion analysis(ANOVA) is used to know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ir self-esteem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from its establishment, the management in charge, a motive of participation, the rate of satisfaction and the number of years from their participation. Secondly, in order to know what condition their self-esteem is in, frequency analysis method, t-verification and dispersion analysis is used to investigat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ir self-esteem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and age of the juveniles concerned, deficient family or not, their school record, the number of years from their participation and the rate of satisfaction about Study Rooms. Thirdly, correlation analysis is used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recognition about Study Rooms and their self-esteem, and the relation between their recognition about Study Rooms and their self-esteem according to participation years. Followings are conclusions induced from study results. First, with respect to recognition of participating juveniles about Study Rooms, there are distinctively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from the establishment of Study Rooms, the management in charge, a motive of participation and the rate of satisfaction, while not a distinctive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from their participation.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self-esteem of Study Rooms participating juveniles, it shows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and age of the juveniles concerned, the number of years from their participation. the rate of satisfaction about Study Rooms, while do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school record and whether they belong to deficient family or not. This verifies that two factors of their school record and whether they belong to deficient family or not have a primary effect on their self-esteem. Thirdly,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recognition for Study Rooms and the self-esteem, there is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se two factors. Especially among those various kinds of recognition for Study Rooms, mutual 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for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self-esteem is come out obviously. On the ground of this study result, to make some suggestion on the management of Study Rooms educational programs. First is the specialization of the programs. For the purpose of the assistance in developing the emotional and mental ability of small income class juveniles, Study Rooms have managed various programs to provide them with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experience lacked in their existing environment, and this is proved to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ir self-esteem by this study result, which, with respect to future management of Study Rooms, strengthens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various education programs besides learning programs.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educational activity, there is a need to considerate the balance and the tuning between a curriculum learning and a humanity education. Most of Study Rooms mainly focused on curriculum learning but also there are the programs for humanity education. However,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education, the education activity except learning is superior to curriculum learning, as turned out in this study result. In addition, an recognition inquiry of Study Rooms students indicates the necessity and anticipation for curriculum learning. So, there is a need to attempt to bring a resolute change in the method of curriculum learning in Study Rooms with full efficiency and creativity. Thirdly, with respect to management of Study Room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s the participating juveniles with the persons in charge, its volunteering teachers and their peer groups in Study Rooms for effecting their self-esteem. Because it is important the relationships with the significant others, teachers or peer groups, for juveniles self-esteem formation. By this study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for Study Rooms programs and the self-estee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s in Study Rooms and the self-esteem is lower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fo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self-esteem. Therefore it needs to develop the programs for this point. Fourth suggestion is for the evaluation of effect of education programs executed in Study Rooms. This study takes self-esteem as a measure of evaluation on the effect of education activity in Study Rooms. But strictly to say, with regard to quantitative measurement of self respect, there is a obvious limitation premised. This wants individual-based vertical study method and other studies like on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ther groups in similar environment executed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studies with various measures are required for evaluation of education activity in Study Rooms. We do believe that such an attempt to accomplish quality improvement and specialization of Study Rooms education activity is ultimately will be an important footing to maintain the activation and assure social justification of Study Rooms activity. ; 한국사회의 도시저소득층은 1960년대부터 시작된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무자본, 저학력의 영세이농민 출신이어서 저소득으로 인한 생활고에 시달리며 힘겹게 살아가야 했다. 따라서 그 자녀들은 부모로부터 방치되어 안전사고와 탈선의 위험에 노출된 채 성장하게 된다. 도시저소득층지역 공부방 은 이같은 현실에 처한 청소년들에게 가정과 학교에서 결핍된 교육환경을 보완해 주기 위해 학습지도 및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려는 취지에서 시작된 것이다. 공부방은 주로 민간단체나 종교단체 중심으로 이루어진 비영리적 성격을 띤 사회교육의 한 형태이다. 공부방은 재정적인 영세성과 사회적인 법적 정당성을 지니고 있지 못한 이유로 많은 어려움과 한계를 갖고 있지만 절실한 필요성 때문에 도시저소득층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부방이 도시저소득층 청소년을 위한 교육활동으로서 사회적인 신뢰성을 담보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부방활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질적 향상이 중요하다는 가정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부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공부방 인식과 그들의 자아존중감은 어떤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부방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인 효과를 평가해 보고 공부방 교육활동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전국의 도시저소득층지역에 있는 공부방을 모집단으로 하여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있는 25개 공부방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하는 청소년 469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와 통계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저소득층지역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공부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공부방의 설립 연한과 운영 주체,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공부방 참여동기와 만족도 그리고 공부방 참여 연한에 따라 공부방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빈도 분석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둘째, 도시저소득층지역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성별과 연령, 가정 결손 유무와 학교성적 그리고 공부방 참여 연한과 공부방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지 빈도 분석 방법과 t-검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도시저소득층지역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공부방 인식 정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성, 공부방 참여 연한에 따른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공부방에 대한 인식에 있어 공부방의 설립 연한과 운영 주체 그리고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참여동기와 공부방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서 뚜렷하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참여 연한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성별과 연령, 공부방의 참여 연한과 공부방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정 결손 여부와 학교성적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공부방에 대한 인식 정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 있어서 전체적인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에서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공부방 인식 가운데 다양한 교육경험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성이 뚜렷이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공부방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인다. 첫째, 공부방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더욱 특성화되어야 하겠다. 공부방은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정서적, 심리적 발달을 돕기 위해 그들 환경에서 결핍된 교육경험을 보완해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것이 그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적인 상관성이 있다는 이 연구의 결과는 공부방 운영에 있어서 학습 외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강화시켜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부방의 특성화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계속 개발하고 전문화시켜 나가기 위한 구체적인 시도가 필요하겠다. 둘째, 공부방의 교육활동에 있어서 학습지도와 학습외 인성교육을 균형있게 조율해 나가야 하겠다. 공부방은 대부분이 학습지도 중심의 운영형태로써 학습지도와 더불어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결과에서는 학습지도를 통한 교육 효과보다 학습외 교육활동을 통한 교육 효과가 더 나타났다. 그러나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공부방 인식에서 학습지도에 대한 기대가 크게 나타난 점과 학교성적이 이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부방의 학습지도 방법에 있어 더욱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셋째, 공부방 운영에 있어서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공부방 실무자나 자원교사와의 관계, 선후배나 또래와 맺는 관계가 그들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겠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간의 상관성에 있어서 공부방에서의 다양한 교육경험에 비해 공부방에서 맺는 대인관계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에 있어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청소년기에 자아존중감의 형성에 있어서 가족 이외의 청소년들에게 의미있는 주위 사람들의 반응과 평가가 중요한 영향을 주게 된다. 곧 교사나 선후배, 또래관계에서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 자신의 가치를 존중받는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해 나간다는 것이다(Coopersmith 1967, Rosenberg 1986). 그러므로 공부방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나 또래와의 관계에서 서로 존중하며 개별적인 관심과 사랑을 체험할 수 있도록 공부방의 분위기 조성과 프로그램 운영에 더욱 주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공부방 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교육효과에 대한 평가를 다양하게 시도해야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공부방 교육활동의 효과를 저소득층 청소년에게 결핍 가능성이 많은 자아존중감을 평가 준거로 삼아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성을 횡단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에 대한 측정으로는 한계성을 지닌 연구였다. 그러므로 후속연구로써 자아존중감에 대한 개인별 종단적인 연구방법이라든가 공부방의 청소년들과 유사한 환경에 있는 타 집단과의 비교를 통한 연구 등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그밖에도 다양한 평가준거로 공부방 교육활동의 평가를 시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평가를 통해 교육의 결과를 가늠하고, 그 평가를 바탕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실행할 때 진정으로 교육의 질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부방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전문화를 위한 노력이 궁극에는 공부방활동의 활성화와 지속성을 유지시키며 사회적으로는 공부방활동의 정당성을 확보해 나가는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