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규리-
dc.creator신규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4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7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4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인간 여가행동의 한 측면이라 할 수 있는 운동중독에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운동중독 척도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운동중독이 어떠한 구성요인으로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문헌고찰과 자기 보고식 경험자료를 바탕으로 문항을 산출하여 척도개발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교차 타당화를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하위요인이 3개인 33문항의 최종 운동중독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1999년 현재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세이상의 일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여가스포츠에 적어도 주 3회 이상 참여하고 참여기간이 1년 이상인 참가자를 모집단으로 하고 여가스포츠 종목은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한 10가지 종목으로 한정하였다. 표본추출은 임의표본 추출법으로 총 87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 보고식 경험자료를 얻기위한 연구에는 일상적인 여가스포츠 참여자 22명,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에는 450명, 그리고 교차 타당화를 위한 연구에는 40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응답자료를 사용하였다. 사전연구에서 운동중독의 하위요인이 구체적으로 몇 개인지 밝힌 연구가 부재한 상황이므로 여러 관련 논문과 참여자들로부터 얻은 자기보고식경험자료를 바탕으로 설명력이 있을것이라 예상되는 총 99문항의 예비문항을 선정하고 이어 99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결과와 탐색적인 요인분석결과를 고려하여 3개의 요인을 운동중독의 의미있는 하위요인수로 결정하였다. 이렇게 수정된 척도의 문항 수는 33개였다. 그리고 수정된 운동중독 척도에 대한 교차 타당화 결과 33문항 3요인 모형이 잘 부합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최종 운동중독 척도를 요인별로 살펴보면 요인 1은 금단증세(13문항), 요인 2는 운동욕구(12문항), 요인3은 감정적 애착(8문항)으로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운동중독척도는 다양한 운동중독 연구에 이용될수 있을 것이다. 특히 운동중독자의 특성이나 행동연구에 신뢰로운 측정치를 제공할 것이며, 다른 사회경제적,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여가종목과의관련성을 연구하는 실험 및 조사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상학적 방법으로 시도되는 운동중독과의 비교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운동중독에 대한 척도 개발의 초기 연구이다. 따라서 다양한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운동중독 연구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척도의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As shown in the result of contemporary research of leisure participation rate and addictive patterns of the leisure pursuits(Kagan, et al., 1993 ; Pierce, 1994), a concern for the development of scale measuring addictive types of leisure participation seems to grow steadily from the beginning of scientific leisure research. The previous research suggested tha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tool had been the core concerns and interests of the leisure researchers.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s of the Korean s addictive types of leisure sport participation and tried to develop the scale that enables the measurement of it. The procedure of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leisure sport participation addiction as follows. As a preliminary step, the items that were considered to have a verbatim meaning of sport addiction and frequent referrals in current related literatures were pooled and examined. Based upon this procedure, a total of preliminary 99 scales that contained the meaning of addictive involvement in sports were selected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reduce the scale into 33 items scale. The total number of the subjects participated for those procedures were 850 leisure sports participants residing in the city of Seoul. Among them, responses of 22 subjects were used for the self-reported experience data analysis, data obtained from 450 subjects paper and pencil tests were utilized for the scale development procedure, and a group of 400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for the cross-validation procedure. In the scale reduction procedu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em total correlations and internal consistency were used to assess the initial pool of the items and to obtain the acceptable reliability. As a result, 33 items with 3 components leisure sport addiction scale were develop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s and cross validate the generated items. The new scale consisted of three distinct constructs. Thev were 13 items of withdrawal symptom, 12 items of exercise needs, and 8 items of affective attachment of sport participation as leisure experience. The results prov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newly developed leisure sport addition scale(LSAS) fitted the basis of scale constructs theoretically and statistically. Within its limitations and findings, the researcher came to a tentative conclusion that the use of LSAS is rewarding and scientifically and perhaps essential practical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목차 = iii 그림목차 = iii 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용어의 정의 = 4 II. 이론적 배경 = 6 A. 운동중독 = 6 1. 중독 = 6 2. 운동중독 = 11 B. 운동중독의 선행연구 = 19 1. 러너에게 보여지는 운동중독 = 19 2. 다른 종목 선수에게 보여지는 운동중독 = 21 3. 여가스포츠 참가자에게 보여지는 운동중독 = 23 C. 운동중독 척도개발의 필요성 = 24 III.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절차 = 27 C. 측정도구 = 27 1. 척도 제작 계획 = 27 2. 예비 운동중독 척도의 문항 제작 = 28 D. 분석 = 30 1. 예비 운동중독 척도의 내용타당도 분석 = 30 2. 예비 운동중독 척도의 문항분석 = 30 3. 예비 운동중독 척도의 구성요인분석 = 30 4. 수정된 운동중독 척도의 교차 타당화에 관한 분석 = 31 IV. 연구결과 = 33 A. 예비 운동중독 척도의 내용타당도 분석 = 33 B. 예비 운동중독 척도의 문항분석 = 34 C.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중독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 35 D. 수정된 운동중독척도의 구조적 타당화 검증 = 43 E. 최종 운동 중독 척도 = 47 V. 논의 및 결론 = 49 참고문헌 = 56 부록 = 60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741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여가 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중독 척도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체육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