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아동의 인성특성, 부모-자녀관계 및 부부갈등과 또래괴롭힘

Title
아동의 인성특성, 부모-자녀관계 및 부부갈등과 또래괴롭힘
Authors
박보경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삶 속에서 또래관계가 더욱 중요해지는 시기이며 또래괴롭힘이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나타나는 시기인 아동중기 아동을 대상으로 또래괴롭힘의 관련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아동의 인성특성, 부모-자녀관계 및 부부갈등이 또래괴롭힘의 가해아 측면인 또래공격성, 피해아 측면인 또래에 의한 괴롭힘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와 동시에, 또래공격성과 또래에 의한 괴롭힘 정도에 따라 아동을 가해아, 공격적인 피해아, 비공격적 피해아 및 일반아로 구분한 후, 각 집단에 따라 아동의 인성특성, 부모-자녀관계 및 부부갈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3개의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중인 548명의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래공격성은 Crick과 Werner(1998)의 척도를, 또래에 의한 괴롭힘은 Crick과 Bigbee(1998)의 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Peer Report(SEQ-P)를, 아동의 인성특성은 Buss와 Plomin(1984)의 척도를,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은 Armsden과 동료들(1991)의 Revis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R)를, 부부갈등은 Straus(1979)의 Conflict Tactics Scales(CTS)를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박영애(1995)와 도현심(1994)의 척도를 기초로 하였다. 또래공격성과 또래에 의한 괴롭힘은 아동 자신과 또래에 의해, 아동의 인성특성,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부부갈등은 아동 자신에 의해,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어머니에 의해 평가되었으며,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부분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사회성/활동성은 또래보고에 의한 또래공격성과는 정적인 관계가 나타난 반면, 자기보고 및 또래보고에 의한 또래에 의한 괴롭힘과는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아동의 수줍음/정서성은 자기보고에 의한 또래공격성 뿐만 아니라 자기보고 및 또래보고에 의한 또래에 의한 괴롭힘과도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은 자기보고에 의한 또래공격성과는 부적인 관계를 보인 반면, 또래보고에 의한 또래공격성과는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또래에 의한 괴롭힘의 경우에는 주로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거부/제재적 양육행동은 또래보고에 의한 또래에 의한 괴롭힘과만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부부갈등은 자기보고에 의한 또래공격성 뿐만 아니라 자기보고 및 또래보고에 의한 또래에 의한 괴롭힘과도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넷째, 아동의 인성특성, 부모-자녀관계 및 부부갈등 중 또래공격성을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은 부부갈등이었으며, 또래에 의한 괴롭힘을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은 아동의 인성특성이었다. 마지막으로, 또래괴롭힘 집단에 따른 아동의 인성특성, 부모-자녀관계 및 부부갈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보고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 자신이 공격적 및 비공격적 피해아라고 지각한 집단은 괴롭힘을 당하지 않는 집단보다 사회성/활동성은 낮은 반면 수줍음/정서성은 높았다. 또한 또래들이 비공격적 피해아라고 지각한 집단도 다른 세 집단보다 사회성/활동성이 낮았다. 한편, 아동 자신이 공격적 피해아라고 지각한 집단은 일반아보다, 또래들이 비공격적 피해아라고 지각한 집단은 공격적인 집단보다 부모에 대한 애착이 낮았으며, 아동 자신이 일반아라고 지각한 집단은 네 집단 가운데 부부갈등에 가장 적게 노출되었고 또래들이 공격적 피해아라고 지각한 집단은 일반아보다 부부갈등에 많이 노출되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es of peer victimization. For this, first, controlling for children s sex,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s personality traits, parent-child relationship, marital conflict and peer victimization were examined. And second,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scores were used to classify each child into on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Nonvictimized aggressors, Aggressive victims, Passive victims, Normative contrasts. Inter-group differences in children s personality traits,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marital conflict were examined. The subjects were 584 4th-grad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Six types of questionnaires such as Crick & Werner s(1998) peer aggression scale, Crick & Bigbee s(1998) 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Peer Report(SEQ-P), Buss & Plomin s(1984) children s personality traits scale, Armsden et al. s(1991) Revis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R), Park s(1995) and Doh s(1994) parenting behaviors scale, and Straus s(1979) Conflict Tactics Scales(CT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as analyzed by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s sociability/activ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eer-rated peer aggression, and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elf-reported and peer-rated victimization by peers. Children s shyness/emotional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lf-reported peer aggression and self-reported and peer-rated victimization by peers. Second, parent attachmen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elf-reported peer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by peers, and positively related with peer-rated peer aggression. Maternal rejection/restric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eer-rated victimization by peers. Third, marital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lf-reported peer aggression and self-reported and peer-rated victimization by peers. Fourth, in relative influences of children s personality traits, parent-child relationship, marital conflict, marital conflic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peer aggression and children s personality traits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victimization by peers. Finally, self-reported aggressive victims and passive victims have less sociability/activity, more shyness/emotionality than nonvictimized aggressors and normative contrasts, and peer-rated passive victims have less sociability/activity than the other three groups. Self-reported aggressive victims get lower parent attachment than normative contrasts, and peer-rated passive victims get lower parent attachment than nonvictimized aggressors and aggressive victims. Compared to the other three groups, self-reported normative contrasts experienced less exposure to marital conflict. And peer-rated aggressive victims experienced more exposure to marital conflict than normative contras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