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동수-
dc.creator서동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5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1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7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09-
dc.description.abstract조선시대 서원(書院)은 관학(官學)을 능가할 정도로 유생들에게 인기있는 교육기관이었다. 조선은 국초부터 성균관(成均館), 사학(四學), 향교(鄕校)로 구성된 교육체제를 구축하였으나 16세기 중반에 설립된 중등사립교육기관인 서원에는 학생들이 몰려 성황을 이루었고 17세기 중반 이후 서원에서 성장한 사림(士林)들이 서인정권을 이루어 붕당정치를 이끌어나가는 중심세력으로 활동함으로서 서원은 조선후기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하는 사상적 근거지로서 역할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서원이 기존의 관학과는 달리 어떠한 교육을 실시하였는지 구체적으로 밝혀내고자 17세기 돈암서원(遯巖書院)의 강학활동(講學活動)을 연구하였다. 17세기 돈암서원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16세기의 서원이 과거시험 공부를 완전히 외면하지 않았던 데 반하여 병자호란의 패배 이후 17세기에 설립된 서원은 관학에 대치되는 교육기관으로서 발전기에 이르렀고 학파를 형성함에 있어 상대학파와 상대정당을 인정하여 공론을 논함으로 그 역할과 영향력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17세기 돈암서원은 효종조에 청나라를 멸하기 위해 추진하려는 북벌을 이끌어나가고자 서인내 청망이 높았던 김상헌(金尙憲)의 권유로 대거 기용된 당대의 산림을 대표하던 김집(金集), 송시열(宋時烈), 송준길(宋浚吉) 등을 배출한 서원이다. 여기에서는 돈암서원의 배출인물의 학문과 교육사상을 통하여 당시 서원교육의 성격과 정치사회적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문헌연구로 돈암서원의 건립과정을 살펴본 후 김장생(金長生), 김집, 송시열, 송준길의 교육사상을 문집을 통해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돈암서원의 교육의 성격이 미친 사회·문화적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돈암서원은 기존의 관학과는 다른 교육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 초기 관학에서 행한 성리학은 고려말 원나라를 통해 수입된 유학(儒學) 이해의 한계가 내재된 상황에서 불교를 공격하고 권문세족의 부패를 비판하여 권력을 획득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 지배체제의 틀을 만들고 굳히는 세속학 및 과거시험을 위한 출세학으로서 역할하고 있었기 때문에 사장(詞章)과 제술(製述)을 위한 암송 위주의 성리학 교육이 성행하였다. 그러나 서원에서는 이황과 이이에 의한 이기론(理氣論)에 따른 이론적 연구를 통해 성리학이 왕도정치를 구현하기 위한 선행단계로서 수양을 통하여 자신을 완성시키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을 강조하여 실시하였다. 성리학에서는 사람의 마음에는 천리에서 나오는 이(理)와 자신의 기질에서 나오는 기(氣)가 있는데 천리를 지키고 보존하기 위해서는 기질을 순수하게 변화시켜야 한다는 기질변화론(氣質變化論)이 서원교육의 핵심이다. 이러한 기질변화론에 있어서 돈암서원에서 강조한 것은 이직양기(以直養氣), 경이직내(敬以直內)로 대표되는 직사상(直思想)이다. 직(直)은 곧 정직으로 김장생은 정직으로서 기(氣)를 기른다고 하였고, 송시열은 경(敬)으로 마음을 정직하게 하고 정직으로 기질을 바르게 길러낸다고 하며 마음의 정직, 몸의 정직, 일의 정직으로 나아가는 수양론과 직결시켰다. 송준길은 경이직내(敬以直內)를 통해 경(敬)을 통하여 내면을 정직하게 하고 의이방외(義以方外)의 의(義)를 통하여 외면을 지킨다는 이론을 내수외양(內修外攘)의 논리로 표출하였다. 이는 곧 국내전치를 닦아 외침을 물리친다는 것이다. 이 같이 돈암서원의 강학활동은 기질변화를 위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을 강조함으로서 이를 실천하는 예학(禮學)을 정립하여 실천적 학문으로서의 성리학을 발전시켰다. 그리고 송시열과 송준길의 도학(道學)을 바탕으로 북벌(北伐)을 뒷받침하는 이론으로 실현되었다. 이러한 돈암서원의 강학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성리학의 기질변화론(氣質變化論)의 실현과 실천 학문으로서 예학(禮學)의 보급을 이루었다. 돈암서원의 강학활동이 미친 정치사회적 영향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돈암서원이 선초 관학에서 행하였던 세속학과는 달리 이이(李珥)에 의해 정립된 이기론(理氣論)에 대한 성리학의 이론적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궁극적으로 왕도정치 실현을 위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실행함으로서 성리학을 예학(禮學)과 도학(道學)의 실천적 학문으로 완성시켜 17세기의 공론을 주도한 산림학자(山林學者)를 배출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곧 예절학풍과 의리정신에 근거한 수양론(修養論)의 실천으로 왕도정치를 구현하는 이념을 실현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라고 하겠으며 이 점은 돈암서원의 위상을 기호학파의 중심지로서 구축시켰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서원교육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돈암서원의 배출인물들의 교육사상 및 학문적 행적을 통하여 단계적으로나마 살펴보았으며,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연구는 17세기부터 이후 서원에서 강학하였던 인물들의 정치적 활동 및 사상적 위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가능할 것이며 앞으로 계속 살펴보아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Seowon was a local private education facility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the next generation in the 16^th century. It served the role of an assistant school for the public school in the early days, but afterwards cultivated learned people after the two great wars. Also, Seongrihak, a kind of scholastic trend, began to be activ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eowon. The graduates of Seowon greatly influenced the social and political idealistic trend of the later Chosun period as they progressed in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ir ideas were not only formed, but also supported by Seowon. In this research, the 18th Donam Seowon was examined for a concrete analysis of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Seowon in the later Chosun period. Donam Seowon was established during Kim Jang-seng, and Kim Jib was involved in educational activities. Song Si-yeol and Song Jun-gil graduated from that school.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know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Donam Seowon by studying the specialty of the academic tradition of Donam Seowon, which formed their ideology. The studying was completed by analyzing the related documents, and the procedure is outlined below. First of all, the establishing process of Donan Seowon was known by the present research results, then the organization and education system of that school was known by studying the old book Donam Seowon Gi , which was a kind of visiting report. And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Donam Seowon was surveyed by studying the activities of the graduates which could be known by reading old documents such as Sagejeonseo , Songjadejeon , and Chosun Dynasty Records(Chosunwangjo Silrok). As a conclusion to this study, it was known that Donam Seowon had the same scholarly tradition as Hoseo Sanlim , which was under control of Kim Jang-seng and Kim Jib. It formed a kind of school that was Hoseoye Hakpa , and spread Juja Gale . They formed a public opinion in Hyangchon . Song Si-yeol and Song Jun-gil argued Myeolchong Bokmyoung , which meant Destroying Cheong Dynasty of China, and Restoring Myoung Dynasty of China , that was a kind of fidelity . Their thoughts were based on the scholastic tradition of Donam Seowon, which was Jujahak . As further scholastic developments were achieved by Kim jang-seng, Kim Jib, Song Si-yeol, and Son Jun-gik, who followed the traditional trend of Chosun Seonglihak, a kind of scholastic trend, the foothold of Gihohakpa moved from Gyonggi region to Hoseo region. In this paper,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Donam Seowon was studied through analyzing the educational characters of that school. But, due to the shortage of available documents,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achieving the original intention of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f Seowon education system was surveyed by studying the graduates of Donam Seowon, especially their educational ideas and scholastic activities. Left are further studies for the political activities and ideological status of the graduates after the 17th centu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나. 연구방법 및 제한점 = 4 II. 돈암서원의 건립 = 6 가. 養性堂의 강학활동 = 6 나. 돈암서원의 건립과 賜額 = 9 III. 돈암서원의 강학활동 = 15 가. 돈암서원의 강학내용 = 17 1. 金長生과 金集의 禮學과 敎育思想 = 18 2. 宋時烈의 道學과 直思想 = 26 3. 宋浚吉의 道學과 主敬思想 = 32 나. 돈암서원의 강학특성 = 37 1. 氣質變化論의 제시 = 37 2. 實踐禮學의 강조 = 39 IV. 돈암서원의 정치·사회적 영향 = 43 가. 湖西禮學의 정립 주도 = 43 나. 畿湖學派의 위상 확립 = 48 V. 결론 = 52 참고문헌 = 54 논문개요 = 57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27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17세기 돈암서원의 강학활동과 정치, 사회적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