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지영-
dc.creator윤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1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7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34-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 주택 시장은 주택의 절대부족, 높은 주택 가격의 문제와 미흡한 제도권 주택 금융제도가 어느 정도 해결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주택문제는 양적 문제에서 질적 문제로의 전환이 진행되어 양적 주택수요에서 질적 주택수요 시장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구 구조의 변화, 소득 증가 등으로 인해 수요구조가 고급화·다양화되었고, 소비자들의 주택에 대한 개념의 변화로 인한 전월세의 증가가 진행되고 있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시장으로 변화하고 있어 소비자의 선호가 중시되고 있다. 따라서 주택수요자의 실제 가구특성을 중심으로 한 주택소비자 중심의 접근을 위해서 주택소비자의 가구특성과 주택선택에서 중요한 선택중 하나인 점유형태와의 관계규명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인지하였다. 주택에 대한 소비자 의사결정모형은 주택정책 및 주택건설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고, 점유형태를 결정하는 소비자 특성의 이해를 통해서 점유형태에 따른 주택 서비스나 주택 디자인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몇 가지 연구문제가 제기되었는데, 그것은 주택 점유형태에 따라 가구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고, 주택의 점유형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의 특성은 무엇인지 보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우경제연구소에서 조사한 1997년도 한국가구패널조사를 이용하였다. 분석대상 가구는 총 1,977가구이며, 주택 점유형태별로 자가 1,316가구, 전세 560가구, 보증부 월세 101가구였다. 이를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분산분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통계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주택 점유형태별 가구 특성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경제적 특성과 주택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는 거주지역, 가구크기, 가구주 성별·연령·직업을 포함하는데, 모든 특성이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자가 가구는 군부지역, 가구크기가 5인 이상, 가구주가 여성, 60세 이상, 기타 직업인 가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전세 가구와 보증부 월세가구는 가구주 성별을 제외하고는 서울지역, 가구크기가 3인, 가구주가 40세 미만, 자영업자인 특성이 모두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경제적 특성으로는 월평균 총소득액·총저축액, 자산액, 부채액을 포함하는데, 월평균 소득과 저축액수는 점유형태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자가 가구의 경우 다른 점유형태보다 자산액수와 부채액수가 가장 많았고, 보증부 월세 가구는 전세 가구보다 자산액은 적지만, 부채액은 많았다. 주택 특성으로는 주택 유형, 주택 규모, 주택 가격을 포함하는데, 모든 특성이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점유형태는 자가 가구는 아파트, 전세와 보증부 월세 가구는 다세대 주택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주택 규모는 방수가 3개보다 2개 이하가 자가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주택 가격은 자가 가구, 전세 가구, 보증부 월세 가구 순으로 현저하게 차이를 보여, 주택 가격이 높아질수록 자가가 많았다. 둘째, 주택 점유형태 선택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가구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자가가구 선택모형에서, 자가를 선택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가구의 특성은 군부지역, 주택가격 로그값, 중소도시, 5대도시, 기타 직업, 130만원 미만의 총소득, 부채 로그값 순이고, 반대로 자가를 선택하는 경향이 감소하는 가구의 특성은 40세 미만 가구주, 다세대 주택, 40~50세 미만 가구주, 방수 3개, 월평균 총저축 로그값 순이다. 전세가구 선택모형에서, 전세를 선택하는 경향이 증가시키는 가구의 특성은 가구주 연령이 40세 미만 가구주, 다세대 주택, 40~50세 미만 가구주, 단독 주택, 월평균 총저축 로그값 순이고, 반대로 전세를 선택하는 경향이 감소하는 가구의 특성은 군부지역, 중소도시, 주택가격 로그값, 5대도시, 기타 직업, 부채 로그값 순이다. 보증부 월세 가구 선택모형에서, 보증부 월세를 선택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가구의 특성은 유의미한 변수가 없었고, 감소하는 가구의 특성은 주택가격 로그값, 남성 가구주, 군부지역, 월평균 총소득이 180만원에서 230만원인 가구, 기타직업 순이다. 이는 주택보급률의 지역간 차이, 성별 경제활동참여율, 성별월평균임금 및 직종 차이, 가족생애주기의 변화, 소득의 안정성 차이, 소득계층의 분포, 월임대료의 부담능력, 주택마련저축, 주택대출상품이용, 주택 선호도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의 주택공급이 편중되어 있어, 서울을 비롯한 수요에 비해 공급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에 집중시켜야하고, 여성의 취업기회 확대를 위한 교육의 증대와 저소득인 여성 가구주에 대한 복지정책의 혜택을 증가시켜야 한다. 노인들을 위한 실버주택과 노인 시설에 대한 충분한 공급이 있어야 할 것이다. 젊은 계층,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지역, 독신·미혼 계층을 대상으로 임대주택의 공급이 필요하다. 자가를 보유한 저소득층의 영세한 노인을 대상으로한 노후재성설계를 위한 금융상품의 개발과 고급 보증부 월세형태의 고소득층 가구를 겨냥한 고급화된 임대주택의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제도권 주택금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금융기관은 가구 특성에 맞는 다양한 주택마련을 위한 저축 상품과 주택자금대출상품 및 주택담보대출상품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주택 유형·규모·가격에 따라 주택 점유형태 결정에 영향을 미쳐, 이에 부합하는 주택개발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을 수립할 때나 주택사업자가 주택 수요를 예측하는데 참고하여야 한다. 끝으로, 소비자의 주택 선택에서 점유형태 뿐만 아니라 주택 유형, 주택 규모, 거주 기간 등을 포함한 더욱 체계적인 분석과 소비자의 주택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 특성을 사회인구학적 특성, 경제적 특성, 주택 특성뿐 아니라 심리적 특성이나 거시적 측면의 경제적 특성(주택 정책, 인플레이션 등)을 포함시켜 앞으로는 보다 심도 있게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증가하고 있는 노인 가구, 독신 가구, 한부모 가구 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계층의 실질적인 주택 선택 영향 요인의 분석이 요구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housing tenure status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This study, as useful reference data housing service and design, also offers housing policy and develops it. The data used here is from Korea Household Panel Study(KHPS). Total 1977 numbers of household data were analyzed with such statistical methods as frequency analysis, percent,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of variance(ANOVA), crosstab,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ackage. The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Household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by housing tenure status. We divide household characteristics by three characteristics;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conomical characteristics, and housing characteristics. There are prominent differences among all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except for the amount of monthly income and monthly saving. 2. Household characteristics which exert effect is examined according to housing tenure status. Household characteristics which affact choice of own and deposit housing are very similar, but affect by contraries. Household characteristics which affact choice of deposit and monthly rent housing are much the same, and affect similarly. This results are caused by diffusion ratio of house, the distinction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the distinction of wages, change of family life cycle, stability of income, distribution of income level, burden ability of month rental value, house preparation saving, house loan goods, and house preference etc. Therefore, governmental housing policy is unequable, and it must center in the area where supply does not reach demand. Government must increase benefit of welfare policy on female householder, and enlarge women s education opportunity to augment employment ratio. A housing constructor may have to supply silver house and institution for old people. He/she probably should consider providing high-quality assurance department monthly rent form for high-income. Housing financial agency have to develope financial goods for old age. Because the type, scale and price of housing influence housing tenure status, that apply housing development, governmental housing policy or housing constru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A. 문제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4 II. 이론적 배경 A. 소비자의 주택선택과정 = 6 1. 소비자의 선택과정 = 6 2. 소비자의 주택선택과정 = 8 3. 주택선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2 4. 주택선택에 관련된 선행연구고찰 = 15 B. 주택시장 현황 = 19 1. 주택 점유형태 및 주택 유형 현황 = 20 2. 주택 선택 성향 = 25 III. 연구방법 A. 연구문제의 설정 = 35 B.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특정 = 38 C.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 43 IV. 결과 및 해석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5 B. 주거 점유형태별 사회인구학적, 경제적 및 주택 특성 = 47 1.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주택 점유형태 = 47 2. 경제적 특성에 따른 주택 점유형태 = 52 3. 주거 특성에 따른 주택 점유형태 = 54 C. 주택 점유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 특성 = 57 1. 자가 가구 선택모형 = 57 2. 전세 가구 선택모형 = 60 3. 보증부 월세 가구 선택모형 = 62 D. 주택 점유형태 선택모형 = 64 V. 요약 및 결론 = 69 참고문헌 = 75 영문초록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65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구 특성이 주택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