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텍스트 구조 학습이 아동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설명문을 중심으로

Title
텍스트 구조 학습이 아동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설명문을 중심으로
Authors
김미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이다. 사회 구성원은 수많은 정보들을 접하며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아내고, 찾아낸 정보를 자신에게 의미 있는 정보로 처리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초등학교 학생들도 고학년이 되어가면서 점차적으로 설명적 텍스트를 자주 접하게 된다. 이에 아동들의 텍스트 구조의 인식은 글을 이해하고 산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텍스트 구조는 텍스트 내용간의 관계를 기술하는 것으로서 글을 쓸 때에 필자가 가지는 총체적이고 조직적인 계획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텍스트의 구조적 차원은 텍스트의 기본적 속성들 중의 하나로서 텍스트를 특징짓는 중요한 변인이다. 최근 들어 읽기와 쓰기 영역에서 텍스트 구조 학습의 효과를 밝히는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읽기와 쓰기가 읽기 능력의 하위 요소와 쓰기 능력의 하위 요소 별로 구분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예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텍스트 구조와 텍스트 구조 유형, 읽기와 쓰기 과정에 대한 연구 동향과 읽기와 쓰기 능력에 관한 제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와 쓰기 학습 모형을 구안 적용하여 텍스트 구조 학습의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으며, 더불어 텍스트 구조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는 읽기 능력 신장에 효과적인가? 1-1.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는 이해 능력 신장에 효과적인가? 1-2.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는 요약 능력 신장에 효과적인가? 1-3.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는 추론 능력 신장에 효과적인가? 2.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는 쓰기 능력 신장에 효과적인가? 2-1.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는 글의 내용 구성 능력 신장에 효과적인가? 2-2.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는 글의 조직 능력 신장에 효과적인가? 2-3.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는 글의 표현 능력 신장에 효과적인가? 연구대상으로는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을 사례 연구 집단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관한 사전 검사 실시 후, 총 12차시의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와 쓰기 학습이 이루어졌다. 학습 절차는 단계적 읽기/쓰기 학습 모형을 모태로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쓰기 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읽기 학습의 단위 수업에서는 전개단계에서 읽기 전-읽기 중-읽은 후 과정에 따라 텍스트 구조 학습을 하였다. 쓰기 학습의 단위 수업에서는 전개 단계에서 전략중심의 쓰기 지도 모형인 생각 꺼내기-생각 묶기-초고 쓰기-다듬기의 과정에 따라 새로운 텍스트를 산출하도록 하였다.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설명문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읽기 능력 검사지는 이해, 요약, 추론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쓰기 능력 검사는 비교/대조 구조, 원인/결과 구조, 수집 구조에 맞는 주제를 주어 설명문 쓰기로 이루어졌고, 3인의 채점자가 내용, 조직, 표현 능력에 관한 하위 평가 요소별로 채점을 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SPSS/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읽기 능력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는 이해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는 요약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는 추론 능력 신장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쓰기 능력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는 글의 내용 구성 능력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비교/대조 구조, 원인/결과 구조, 수집 구조 모두 하위 평가 요소인 주제의 명료성과 내용의 풍부성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는 글의 조직 능력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비교/대조 구조, 원인/결과 구조, 수집 구조 모두 하위 평가 요소인 설명문의 짜임, 텍스트 구조의 적합성, 문단의 조직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쓰기는 글의 표현 능력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비교/대조 구조, 원인/결과 구조, 수집 구조 모두 하위 평가 요소인 문맥의 흐름과 정확한 어휘의 사용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텍스트 구조 학습을 통한 설명문 읽기와 쓰기는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통계적인 결과에 의해 효과의 유무를 단언하기 어려운 추론 능력 부분은 읽기 과정과 텍스트 구조 학습 전략의 논의에 근거하여 추론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Modern society is an information society. Its members are required to get access to a lot of information, look for needed one and address it meaningful for them. Most information is provided in a pattern of explanatory text, and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come higher in grade, they get explanatory text more often. It is very crucial for children to recognize text structure in understanding and producing text. Text structure is an description of relationship between one text and another, which include comprehensive and organized plan that authors make when writing. Therefore, a structural dimension of text is one of the basic attributes of tex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that features text. Lately, several researches have been made that show effectiveness of learning of text structure in reading and writing. There are few examples that divide reading and writing through learning text structure by sub-elements respectively and determine the effectiveness. So the paper examined text structure, types of text structure, research tendency on reading and writing, and various theologies on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The paper is aimed at designing and applying designs of learning reading and writ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based on these, an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text structure. The followings ar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 1. Is read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significant in enhancing reading abilities? 1-1. Is read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significant in enhancing understanding abilities? 1-2. Is read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significant in enhancing summarizing abilities? 1-3. Is read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significant in enhancing reasoning abilities? 2. Is writ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significant in enhancing writing abilities? 2-1. Is writ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significant in enhancing abilities to construct text? 2-2. Is writ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significant in enhancing abilities to organize text? 2-3. Is writ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significant in enhancing abilities to express text? The examinees of this study were fourth school year students in on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After the students got a preliminary test on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they studied reading and writing explanatory text through learning text structure on twelve occasions. The process of the study was that on the basis of reading/writing study models by stages, the researchers designed and applied reading/writing study models of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In unit lesson of reading study, text structure learning was mad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pre- , mid-, and post-reading. In unit lesson of writing study, the subject were made to produce new text according to the process of bringing ideas out - bringing them together - drafting text - polishing the text, a model of strategy-oriented writing study. And then, post-test was conducted. A test for writing abilities is writing explanatory text with a subject as comparison/contrast structure, cause/effect structure, collection structure, and three persons scored by evaluating elements on text content, organiz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 were produced by using t-test through SPSS/WIN statistical s/w packag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research on reading abilities: First, read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has made favorable effects on enhancing understanding abilities. Second, read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has made favorable effects on enhancing summarizing abilities. Third, read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study hasn t made favorable effects on reasoning abiliti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research on writing abilities: First, writ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learning was significant in enhancing abilities to construct text. And there were favorable effects on subject s clarity and richness in content, which are evaluating elements of comparison/contrast structure, cause/effect structure, collection structure. Second, writ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learning was significant in enhancing abilities to organize text. There were favorable effects on the constitution of explanatory text, suitableness of text structure and makeup of paragraph, which are evaluating elements of comparison/contrast structure, cause/effect structure, collection structure. Third, writing explanatory text through text structure learning was significant in enhancing abilities to express text. There were favorable effects on the flow of context, and usage of exact vocabulary, which are evaluating elements of comparison/contrast structure, cause/effect structure, collection structure. The study results reported that the practice of reading and writing explanatory texts through text structure learning was overall significantly effective for increasing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However, the future studies should further researches on the ways to increase students reasoning and deducting ability based on the precedent discussions on those strategies of reading and text structure learning, because statistical outcomes are proved to be difficult to define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in the area of students reasoning and deducting 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