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대학원 수업에서의 침묵요인에 대한 인식

Title
대학원 수업에서의 침묵요인에 대한 인식
Authors
박정은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ome students talk their views, raise questions and engage in discussion class willingly and eagerly. Student s active participation, that is, facilitating student s willingness to raise questions or offer comments in class, seems to nurture critical thinking and enhance their intellectual development. Nevertheless, most of students don t speak in class. This study aims at helping student to participate eagerly and offer the basis for shaping active discussion culture in class with finding out difference of graduate students participation ratio in class which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gender and department of students, and difference of students perceptions about factors affecting students silence in class by gender and department of student, and between silent students and talka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 questionnaire offered to total 8 university, 2 national or public, and 6 private with sampling graduate students except first term student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50 questions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s individual background, the ratio of participation in class, the factors of affecting student s silence in class. It was used T-verification, One Way ANOVA, Frequency Analysis and x²(chi-square) verification to process data. The summary of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actively less than males. Second, the findings are that females had more influential than males on variable of professor s discriminative treatment to students, lack of discussion experience and negligence of preparation for class in student traits and class climate to lead by a few members and negative interaction with peers in classroom. The factors of students silence in class were also difference by department of student. Third, the silent students silence grade of some variables were higher than talkative in professor s discriminative treatment to students, lack of discussion experience, negligence of preparation for class, lack of interest in class, class climate to lead by a few peer groups and negative interaction with peers. Especially, the silent students silence grade was higher than talkative students in class traits, that is, variable of peers characteristic and class climate. This means that silent students were more conscious of peers than talkative in class. Although it is not difference of silence grade of professor s negative attitude to questions and comments of student between silent and talkative, it is important that all of them, students to participate class eagerly and students not to speak in class, were high grade in it. that is, it is possible that even active students may not uttered a word when professor appeared negative attitude to student s questions and comments. We conclude that student gender is significant component in class participation. Males are more likely to offer comments or raise questions in their classes, but it means that males participate not eagerly but actively than females in class. Most of graduate students are silent in class. Especially, females are more silent than males because of being more conscious of peers in class. Females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perceive their silence is due to class climate to lead discussion by a few students and negative interaction with peers. Research on classroom interaction is dominated by studies of children below secondary education; less is known about the dynamics of classroom settings containing young adults and adults above higher education. Although research into college classroom interaction has arisen in aboard, study on process of class has rarely arisen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be continued to concentrate on individual and classroom interaction and to research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tudents silence in class. ; 어떤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자발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 질문하며 토론시간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적극적인 수업참여는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력 향상이나 지적발달 측면에 있어서 많은 이득을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실제 수업현장에서 대부분 침묵한다. 이 연구는 학생 개인적인 배경 특성에 따라 대학원생들의 수업참여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성별과 계열에 따른 수업에서의 침묵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수업에서 대체로 침묵하는 학생과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간에 침묵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더불어 수업에서의 활발한 토론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울 소재 국·공립 2개교 대학과 사립 6개교 대학으로 총 8개교 대학을 표집하여 1학기생을 제외한 대학원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효 설문응답자는 총 573명이었다. 설문지는 개인적인 배경 특성, 학생들의 수업참여정도, 수업에서 침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묻는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처리는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x²,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박사가 석사보다 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석사 학기별, 설립주체별 수업참여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계열에 따른 의미있는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예능계가 다른 계열에 비해 수업참여점수가 낮게 나옴으로써 예능계와 인문계, 예능계와 자연계간 수업참여정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 인문계나 자연계 학생들이 예능계 학생들보다 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수업에서의 침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교수특성, 학생특성, 학급특성 요인이 성별과 계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교수특성 요인 중에서 교수의 학생에 대한 차별 변인, 학생특성 요인 중 토론경험부족 변인과 수업준비 소홀 변인, 그리고 학급특성 요인 중에서는 토론을 독점하는 구성원에 의한 수업분위기와 구성원과의 부정적인 상호작용 변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계열별로는 교수특성 요인 중 수업에 대한 열정 부족 변인에서 예능계 학생들이 인문계 학생들보다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특성 요인 중 학생의 토론 경험 부족 변인에서 예능계 학생들이 인문계와 자연계 학생들보다 수업에서 침묵하는 데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이해력 부족 변인에서 인문계 학생들이 예능계 학생들보다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수업준비 소홀 변인에서는 인문계 학생들이 자연계 학생들보다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수업에서 대체로 침묵하는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보다 수업에서 침묵하는 데 있어서 교수특성 요인 중 교수의 차별적인 태도와 수업에 대한 열정 부족 변인, 학생특성 요인의 모든 하위변인인 토론 경험 부족, 이해력 부족, 수업준비 소홀, 수업에 대한 흥미 변인에서, 그리고 학급 특성 중 토론을 독점하는 구성원에 의한 수업분위기와 구성원과의 부정적인 상호작용 변인에서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침묵자는 참여자에 비해 토론 경험 부족과 수업 준비 소홀 변인에서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참여자는 침묵하는 학생에 비해 학급특성 요인 중 구성원의 특성이나 수업분위기에서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수업에서 대체로 침묵하는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보다 학급 구성원들을 더 의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침묵하는 학생들과 참여하는 학생들간에 점수차이는 없었지만, 교수의 학생 발언에 대한 태도 변인에서 두 집단 모두 다른 변인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인 것은 주목할 만하다. 왜냐하면 평소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라고 할지라도 교수가 학생 발언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수업시간에 침묵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에서 학생들의 성별은 수업 참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었다. 남학생은 수업에서 여학생보다 더 잘 참여한다. 그러나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수업에 더 참여한다는 의미이지 실제로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한다는 뜻은 아니다. 한국 학생들은 실제 수업에서 대체로 침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 더욱 그렇다. 이것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남을 의식하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토론을 독점하는 구성원에 의한 수업분위기와 구성원과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고 인식하였다. 즉 어떤 행동을 할 때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다른 사람을 의식한다는 것이다. 그 동안 한국에서 이루어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중등교육 이하가 주를 이루어 고등교육에 관한 수업환경의 역동성 연구는 드물게 이루어졌다. 외국의 경우에도 비록 대학 강의실 내에서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들이 일어났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수업과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다만 교수자의 관점이나 교수가 수업에서 어떤 역할을 하면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학생 개개인에게 관심을 갖고 학급에 더 많이 관심을 가짐으로써 학급 상호작용에서 중요한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작업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