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가정의 문화자본이 학생의 직업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의 문화자본이 학생의 직업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전경애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생들의 장래직업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지역, 성별 등과 같은 사회구조적 요인과 학업성취도, 자아개념, 동료 학생 사이의 인기도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영향받는다. 직업선택에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은 부모의 직업, 소득, 학력으로 대표된다. 그러나 부모의 직업, 소득, 학력 등 세 가지의 지표로는 학생이 실제 가정생활에서 경험하는 자원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Bourdieu의 문화자본 개념을 도입하여 한국사회에서 각 가정이 소유한 문화자본은 무엇이며 이 문화자본이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가정의 문화자본이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구체화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지역,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생의 직업포부수준을 살펴보고, 학생의 직업포부수준에 영향력을 미치는 가정의 문화자본변인들(가정의 컴퓨터 활용환경, 부모의 컴퓨터 활용수준, 가족동반 여행경험, 부모의 외국어 의사소통능력, 부모의 독서량, 음악콘서트나 작품전시회관람 경험, 예술품 소장환경, 부모의 취미활동, 가족의 악기연주 여부, 학습활용자료 구비환경)은 무엇이며, 그 영향력은 어떤 순서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성별, 지역,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생들의 직업획득전략을 살펴보고 학생의 직업획득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문화자본변인은 무엇이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 순서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셋째, 성별, 지역,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생의 교육포부수준을 살펴보고 학생의 교육포부수준(진학포부수준, 진학희망지)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의 문화자본변인은 무엇이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 순서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남ㆍ여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각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문화자본 소유여부, 직업포부수준, 직업획득전략, 교육포부수준 등을 묻는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어머니의 직업을 제외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성별에 따라 학생의 직업포부수준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가족의 악기연주 여부가 직업포부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는 수입, 가족동반 여행경험, 학습활용자료 구비환경 순으로 직업포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학생의 직업획득전략에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의 독서량, 학습활용자료 구비환경, 컴퓨터 활용환경, 수입, 부모의 외국어 의사소통능력의 순으로 직업획득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직업을 제외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변인과 거주지, 성별에 따라 학생의 진학포부수준은 다른 것으로 밝혀졌으며 학습활용자료 구비환경, 부모의 독서량, 성별, 아버지의 학력, 컴퓨터활용환경 순으로 학생의 진학포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소득수준, 성별,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생의 진학희망지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좋을수록, 가족동반 여행경험이 많을 수록, 악기를 연주할 수 있을수록, 학생 가정에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잘 구비되어있을수록, 가정수입이 많을수록 학생이 해외로의 진학하기를 희망할 것이라 예측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에서 시사 받을 수 있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획득전략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다르다는 것이다. 학생의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획득전략점수에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을 비교해보았을 때 직업포부수준은 직업획득전략에 비해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해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곧, 학생이 자신의 미래직업을 결정하는 데에는 학생이 속한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획득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자본 변인을 비교해 보았을 때에도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학생이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는 데에는 학생의 부모가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제공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영향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결국, 직업을 획득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요하며 부모의 능력과 역할이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직업선택과정 전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가정의 문화자본은 학습활용자료 구비환경이었다. 학생이 학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가 가정에 얼마나 구비되어 있느냐 정도가 그 학생이 어떤 직업을 가질 것인가와 얼마나 교육을 받고자 계획하느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 구비되어있는 학습자료는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며, 높은 학업성적을 가진 학생은 교육을 계속 받고자하는 욕구가 높을 것이고, 교육정도에 맞추어 전문직업을 가지기를 선호할 것이다. 결국, 학생의 가정에 얼마나 잘 학습자료가 갖추어져 있느냐는 학생의 직업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컴퓨터 활용환경은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학생 가정에 어느 정도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되느냐는 학생이 접할 수 있는 정보의 질과 폭을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결국, 컴퓨터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가정의 학생은 컴퓨터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정보를 경험할 수 있고 다양한 직업에 대한 지식을 획득할 수 있어서 자신이 원하는 직업에 도달하는 방법을 잘 숙지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중 가정의 소득수준이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가정의 소득수준보다는 가정의 문화자본이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가정의 소득수준이 높다고 하더라도 그 가정에서 학생이 경험하고 누릴 수 있는 문화자본이 풍부하지 못하다면 학생이 자신의 직업을 선택하고 계획하는데 가정에서 별다른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결국,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는 학생이 실제 가정에서 경험하는 문화자본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섯째, 한국사회에서는 부모의 컴퓨터 활용수준, 음악콘서트나 작품전시회 관람경험, 부모의 취미활동, 예술품 소장환경이라는 문화자본은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외국의 선행연구자료를 통해 학생의 직업선택과정과 학업성취도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난 문화자본 변인들이 한국사회에서는 별 의미 없는 요인로 나타난 것이다. 음악콘서트나 작픔 전시회를 관람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아직 한국사회에는 조성되어있지 못하며, 가정에 예술품을 소장하고 있는 경우도 극히 드물어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 의미 있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여섯째, 남학생과 여학생의 직업포부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종을 살펴보면 성별에 차이가 명확히 드러난다(부록2, 표-4). 먼저, 직업포부수준이 가장 높은 정부의 고위관리나 자본가를 하고자 하는 남학생은 22명으로 전체의 10.19%를 차지하나 여학생의 경우는 4명으로 1.84%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보면, 전통적으로 여성의 직업으로 여겨지는 약사, 교사, 작가 등의 직업에 여학생의 분포가 많은 것을 발견할 수 있고, 남학생의 경우는 오랫동안 남성의 직업으로 독점되어온 고급기술직을 직업으로 택하려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분포로 보았을 때 우리사회에 아직까지도 직업별 성역할 개념이 학생들에게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곱째, 현대사회에는 약20000여종의 다양한 직업이 있지만, 연구결과 학생들이 선택한 직업은 약 35종으로 학생들의 직업포부는 상당히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에 종사할 직업에 대한 정보가 너무나 부족하고 막연하다는 사실을 여지없이 보여준다. 그러므로 학교나 가정에서는 학생이 다양한 직업의 종류나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여덟째, 학생들은 직업선택을 할 때, 메스미디어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록2, 표5). 그리고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모델링을 하는 경우도 전체의 23.3%였다. 교과목이나 부모님의 권유에 의해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는 적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매체를 통해서나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모델링을 함으로써 자신의 직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에서 학생들의 진로교육시 이러한 점을 참고로 해서 교육해야만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가정의 문화자본이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정에서 학생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화자본변인은 학생의 직업선택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의 직업선택과정과 직업재생산을 이해하는 데 가정의 문화자본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 Students future career has been known to be influenced by complex factors of family socio-economic status, socio-constructive ones such as residential district and sex, and socio-psychological ones such as scholastic performance, concept of self and popularity. Family socio-economic background known to have the most effect on students occupational choice is largely their parents career, income and academic background. However, there are limits that only the three indicators of their parents career, income and scholastic background can not specify what resources students experience specifically in their home life.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at cultural capital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home life, and to analyse what effect sex, residential district, scholastic performance,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nd cultural capital dealt with in the previous study have on the process of students vocational choice. In this stud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analyse what effect family cultural capital has on the process of students professional choice are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will survey students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whether or not have computer, use Internet and subscribe to optical fiber network, the level of computer skill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experience of domestic and foreign trip, ability to communicate in foreign language by students and their parents, experiences having attended music concerts or visited artistic works exhibitions, possession environment of artistic works, hobby activitie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whether or not family members play musical instruments, possession environment of materials to apply to study, and the reading amount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according to sex, residential district, scholastic performance,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nd analyse what family cultural capital variables to influence students’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are and in what order the effects appear. Second, it will survey students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in accordance with sex, residential district, scholastic performance,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nd analyse what family cultural capital variables to have effect on it are and in what order the effects appear. Third, it will survey students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 accordance with sex, residential district, scholastic performance, and analyse what family cultural capital variables to have effect on students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 (the level of aspiration to enter a school of higher grade and the district of senior school to enter) are and in what order the effects appear. The researcher has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480 first-grade boy and girl students of high school in Seoul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in an actual proof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 asking each student s socio-economic status, possession of cultural capital,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 etc. As the result of analysis centered on research question, variables to have effect on the process of student s occupational choice turned out to be the following: First, student s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turned out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family socio-economic status, sex and scholastic performance except maternal occup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scholastic performance, whether or not play musical instrument, domestic trip, maternal ability to communicate in foreign language and whether or not have computer in their order have effect on the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Second, there has been difference in student s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according to his parents academic background, the level of family income and scholastic performance, and it turned out that possession environment of study materials and artistic works, paternal ability to communicate in foreign language, student s reading amount and ability to use computer, and whether or not subscribe to optical fiber network in their order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Third, it has been revealed that student s level of aspiration to enter a school of higher grade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family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residential district, sex and scholastic performance except maternal occupation, and scholastic performance, domestic trip, maternal reading amount, paternal academic background, whether or not have computer, student s ability to communicate in foreign language, the number of attending music concert or visiting artistic exhibition, his reading amount, whether or not play musical instruments in their order influence his level of aspiration to enter a school of higher grade. Fourth, there has been difference in students target schools to enter according to parents academic background, the income level of family, sex, and scholastic performance. And it has been expected that the more student hopes to go abroad to study, the higher his scholastic performance is, the more to subscribe to optical fiber network, the more ability to play musical instruments, the higher position of paternal occupation and the more maternal reading amount. The summary of w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s is the following: First, it comes out that factors to have effects on the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and the attainment strategy of occupation are different. Family socio-economic aspect is important in deciding what type of occupation student himself will choose, but the role of family cultural capital is important in the process to reach the chosen occupation. In particular, how well the student can use computer and the environment to make a good use of it are very important in modern society for him to set up a specific strategy for the attainment of his occupation. Second, the part father influences and the one mother doe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a student s deciding of his occupation. In the case of father who offers a direct occupational model and strategy at home, it influences acquiring the practical method to attain the student s target occupation, while mother does to what extent he will receive education and what type of occupation he will choose. In result, it turns out that maternal role and at the same time paternal one are both important for a student to set a higher occupation aspiration and to achieve it. Third, the effects the cultural capital has on the level of aspiration to enter a school of higher grade are the greatest in the process of an occupational decision. So long as family cultural capital has great effect on a student s level of aspiration to enter a school of higher grade, each family should give a careful consideration to him so that he may experience rich cultural capital. Fourth, there has been not a drastic difference in the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of boy and girl students, but a big difference of sex in occupation types (see appendix 2, table 4). First of all, boy students to be higher government officials or capitalists of the highest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are 10.19% of all students answered to questionnaire to 22, while girl students 1.84% to 4. From the result of the survey, we can see that girl students are distributed to occupations such as pharmacists, teachers and writers to be considered traditionally as occupations of women, while boy students tend to choose higher technological posts occupied exclusively by men for a long time. Through this vocational distribution, we can confirm that professional concept of the role of sex in our society still influences students strongly. Fifth, the number of occupations which students have chosen are about 35, and it has turned out that the scope of vocational choice are considerably restricted. This shows realistically that the informations about the occupation in which students will engage in their future are too scanty and vague. So both the school authorities and family have to make an effort to give to students opportunities gain access to various occupations and information. Sixth, the survey shows that mass media have the most effect on students occupational choice (see appendix 2, table 5). Seeing people engaging in specific occupations, some students modeled their professions on those people s, and it accounted for 23.3% of the whole respondents to questionnaire. It means that many students tend to choose their occupations through mass media or by modeling after people engaging in certain profession. So the schools will be able to lift educational effect by applying these data when they guide students course.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effect family cultural capital has on the process of students occupational choice, various cultural capital variables they experience at their home have influenced the process of their vocational choice. This study has been proved that analysis about family cultural capital is an important sector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tudents vocational choice and an occupational reprodu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