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영희-
dc.creator정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6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26-
dc.description.abstract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은 시간제 특수학급 운영의 증가로 일반학급에서 수업참여의 시간이 증가하였다. 최근 교육과정적 통합에 대한 관심은 장애학생이 일반교육과정에 접근하여 의미있는 진보와 성취를 얻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학생을 참여시키기에 융통성이 부족한 일반교육과정, 학급 전체 학생을 동질 집단으로 간주하고 진행되는 일반학급의 수업, 일반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공유된 책무성 부족,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부족 등은 장애학생이 일반학급의 수업에 의미있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일반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인식, 일반교육과정을 적용한 교육과정 계획 실태, 각 교과별 일반교과서 사용 실태, 일반교과서의 문자화된 내용본문의 교육과정 내용수정 방법 및 정보제시 방법의 사용 실태, 일반교과서의 삽화 사용 실태, 교수학습 자료 사용실태를 포함하는 일반교육과정 적용 실태, 그리고 일반교육과정 적용 활성화를 위한 요구에 대해 조사 연구하여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을 적용한 교육과정의 실제를 알아보고 교육과정적 통합을 촉진하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232명으로 지역별 비례배분법에 의해 층화추출 표집하였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초등학교 일반교육과정 적용의 인식, 일반교육과정 적용 실태 및 일반교육과정 적용 활성화를 위한 요구에 대한 문항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 검정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일반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인식은 특수교사 자격증 유무에 따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지역별, 일반교육 교육경력 유무, 특수학급 교육경력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도장애 학생을 위한 일반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인식은 중도장애 학생을 위한 일반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인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2.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는 중도장애 학생보다 경도장애 학생에게 일반교육과정을 유의하게 자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경도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교육과정을 적용한 교육과정 계획, 일반교과서 내용본문의 교육과정 내용수정 방법, 교수학습자료는 보통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교과별 교과서의 사용, 일반교과서 내용본문의 정보제시 방법의 사용, 일반교과서 삽화는 가끔 사용하는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교과서 내용본문의 교육과정 내용수정 방법의 적용에서 지역, 특수교사 자격증 유무, 일반교육 교육경력 유무에 따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수학급 교육경력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수학습 자료 사용에서 특수교사 자격증 유무, 일반교육 교육경력 유무에 따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지역별, 특수교육 교육경력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교육과정을 적용한 교육과정계획, 각 교과별 일반교과서 사용, 일반교과서 내용본문의 정보제시 방법의 사용, 삽화의 사용에서 지역, 특수교사 자격증 유무, 일반교육 교육경력 유무, 특수학급 교육경력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중도장애 학생에 대한 교수학습자료는 보통 정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교육과정을 적용한 교육과정 계획, 일반교과서 내용본문의 교육과정 내용수정 방법, 일반교과서의 삽화는 가끔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교과별 일반교과서, 일반교과서의 정보제시 방법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교과서 내용본문의 교육과정 내용수정 방법의 적용에서 지역별, 특수학급 교육경력 유무, 일반교육 교육경력 유무에 따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수학급 교육경력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수학습 자료 사용에서 특수교사 자격증 유무, 일반교육 교육경력 유무에 따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지역별, 특수교사 교육경력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는 일반교육과정 적용 활성화를 위한 높은 요구를 나타냈다. 특수교사 자격증 유무, 일반교육 교육경력에 따라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지역별, 특수교육 교육경력별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경도장애 학생에 대해 일반교육과정을 적용하는데 대해 높은 인식을 하고 있으나 중도장애 학생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일반교육과정을 경도장애 학생에게 더 자주 적용하였으나 전반적인 일반교육과정 적용빈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어, 수학 교과영역의 일반교과서를 중심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일반교과서를 전반적으로 가끔 사용하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어, 수학 교과를 제외한 교과영역에 대한 교육과정 수정을 적용하고 있지 않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이 다양한 학습의 영역들과 다양한 경험의 범위를 포함하며 균형적이기 위해서 일반교육과정의 적용은 불가피하다.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적합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계획 단계에서부터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장애학생의 개별적 요구에 부응하면서 일반교육과정에 접근하도록 하는 특별하게 고안된 교수를 제공함으로써 교육과정적 통합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In according to increasing of a part-time placement in self-contained classroom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have been educated increasingly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But there are difficult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ake a meaningful lesson in regular classrooms due to a rigi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undifferentiated, whole-class instruction, lack of shared responsibility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sufficient curriculum materials for students with diverse needs. Current concerns of curricular integration or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emphasized that they should access and progress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obtain an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use, and need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elementary schools in terms of how reasonab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m to use, how frequently they are used, and how much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supports for use of them. This research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Subjects were 23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selected in nationwide general elementary schools by the method of stratified random sampling. The t-test and one-way ANOVA was used statistical tool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The teachers gave higher ratings to perception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than them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perception depending on variables of area and qualifi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2. The use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depending on variable of severity of disabil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3. The teachers gave high ratings relatively to the curriculum design appli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curriculum adaptations, instructional materials for mild disabilities. But the teachers gave low ratings relatively to use of general education textbooks, use of the illustrations within the general education textbooks for mild disabilities. The use of curriculum adaptations and instructional adaptations depending on the variable of qualification and career of general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use of curriculum adaptations depending on variable of area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4. The teachers gave above the average ratings to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o the curriculum design appli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curriculum adaptations, illustrations within the general education textbooks for severe disabilities. The teachers seldom use general education textbooks for severe disabilities. The use of curriculum adaptations and instructional adaptations depending on the variables of qualification and career of general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use of curriculum adaptations depending on variable of area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5. The teachers gave high ratings to needs of the support for the use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need of the support depending on variables of qualification, and career of the general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use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can help facilitate the curricular integr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the limited and unbalanced use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general education textbook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tegrated elementary schools reveals difficulties of inclusion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정의 = 6 II. 이론적 배경 = 8 A. 교육과정적 통합 = 8 1. 교육과정적 통합의 개념 = 8 2. 교육과정적 통합의 필요성 = 9 B. 일반교육과정 접근 = 10 1. IEP와 일반교육과정 = 10 2. 일반교육과정 내용접근 방법 = 11 3. 교수적 수정 = 14 4.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요구 = 18 III.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연구 도구 = 23 C.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 24 D. 자료 처리 방법 = 26 IV. 연구 결과 = 28 A.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일반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28 B.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장애정도에 따른 일반 교육과정 적용 실태 = 32 C.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경도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교육과정 적용 실태 = 34 D.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중도장애 학생에 대한 일반교육과정 적용 실태 = 47 E.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일반교육과정 적용 활성화를 위한 요구 = 61 V. 논의 및 제언 = 66 A. 논의 = 66 B. 제한점 및 제언 = 72 참고문헌 = 74 부록 = 81 영문초록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52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일반교육과정 적용 실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