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4 Download: 0

피리독주곡 [풍요]의 음악구조

Title
피리독주곡 [풍요]의 음악구조
Authors
이희종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황병기의 작품 피리독주곡 『豊饒』의 음악적 구조와 특징을 살펴봄으로, 이 작품의 이해와 연주 및 감상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 연구목적이다. 『豊饒』의 출현음과 음계, 리듬, 장식음, 시김새를 악장별로 살펴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 1악장 ⓐ부분은‘黃(D) 太(E) 仲(G) 林(A) 南(B) 無(C)’가 출현하며‘仲’이 가장많이 출현하고 가장 많이 떠는 음이며,‘林’은 흘리는 음으로 나타난다. ‘無’는 경과음이어서 5음음계의 黃錘調이다. ⓑ부분은‘□(B)-무(C)-□(D^♭)-黃(D)-太(E)-姑(F^#)-仲(G)-林(A) 이 출현하며‘太’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黃’이 가장 많이 떠는 음이며,‘무’,‘□’,‘仲’이 경과음이어서 南呂界面調이다. ⓒ부분은‘람(A) □(B) 黃(D) 太(E) 仲(G)’이 출현하는 5음음계로‘黃’이가장 많이 출현하고 많이 떠는 음이며,‘太’는 흘리는 음이어서 林錘調이다. ⓓ부분은‘黃(D) 仲(G) 林(A)’등이 출현하는 3음응계로‘仲’이 가장 많이출현하며‘黃’이 가장 많이 떠는 음으로 나타난다. 음계는 ⓐ부분과 같이黃錘調이다. 제 1악장은 ⓐ부분의 제 1마디와 ⓓ부분의 제 4마디의 리듬과 선율이 동일하다. 나머지는 기본박型 유사리듬형으로 되어있다. 장식음은 한 음 위 장식음과 제 음 한 음 위 제 음 장식음이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2. 제 2악장 ⓐ부분은‘黃(D) 太(E) 仲(G) 林(A) 南(B) 無(C)’가 출현하며‘仲’이 가장많이 나타난다.‘林’이 가장 많이 떠는 음으로 나타나고‘無’를 경과음으로하는 5음음계의 黃錘調 이다. ⓑ부분은‘람(A)-□(B)-黃(D)-太(E)-姑(F^#)-仲(G)’등이 출현하고‘黃’이가장 많이 나타나며‘仲’을 경과음으로 본 5음음계의 林錘調이다. 제 2악장의 리듬은 ⓐ부분의 단락을 지우는 선율 중 제 8마디와 제 16마디가 같은 리듬과 선율로 되어있으며 유사리듬형이 많이 사용되었다. 장식음은 세 음 아래 장식음이 많이 사용되었다. 3. 제 3악장 ⓐ, ⓑ, ⓒ부분 모두‘黃(D)-太(E)-仲(G)-林(A)-南(B)’이 출현하는 5음음계로 ⓐ부분과 ⓒ부분은‘仲’이, ⓑ부분은‘黃’이 가장 많이 출현하는 음이다. 세 부분 모두‘黃’이 가장 많이 떠는 음으로 나타나며 음계는 계면성을띄는 黃錘調이다. 제 3악장의 ⓐ부분은 3마디로 되어있으며 이 부분의 리듬은 ⓑ, ⓒ부분 제8마디부터 제 10마디까지와 리듬, 선율이 동일하다. ⓐ, ⓑ, ⓒ부분은〈후렴구(3마디)+ⓑ본선율(7마디).후렴구+ⓒ본선율.후렴구〉로 후렴구가 먼저 나타나는 2부분형식이다. 제 3악장은 기본박型리듬이 16마디, 혼합型리듬이 4마디, 헤미올라型리듬이 3마디로 되어있다. 장식음은 두 음 위 장식음이 많이 나타났다. 4. 제 4악장 ‘□(B)-黃(D)-太(E)-仲(G)-林(A)’이 출현하는 5음음계로‘太’가 가장 많이나타나며,‘林’이 가장 많이 떠는 음으로,‘仲’이 흘리는 음으로 가장 많이나타나는 南呂調이다. 제 4악장의 리듬은 정박型이 17마디, 혼합型이 8마디, 헤미올라型이 1마디로 되어있으며 다양한 리듬이 사용되었다. 장식음은 한 음 위 장식음과 세 음 아래 장식음이 1회씩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help understanding, playing, and listening by examining mu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A solo-tune of PIRI in a structure of Music 「Pung-yo」 by BYUNG-KI HWANG The 「Pung-yo」 is an analytical investigation of appeared tune, rhythm, decorated tone and technique in each movement, which lead to the following results. 1. The first movement. Part ⓐ : Hwang(D)-Tae(E)-Jung(G)-Lim(A)-Nam(B)-Moo (C) is showing And Jung i s the most the seen and vibrated sound. Lim i s shown spiled-note, and Nam is pulled-up note once. It is five tone of Hwangjong-Key because Moo is considered as passing-note. Part ⓑ :Nam(B)-Moo(C)-Yung(D^b)-Hwang(D)-Tae(E)-Goo (F^#)-Jung(G)-Lim(A) is showing. Tae is the most seen and Hwang is vibrated. `Moo,Yu˘ng,Jung is Namrea of minor because it is passin g-note. Part ⓒ :It is Lim(A)-Nam(B)-Hwang(D)-Tae(E)-Jung(G) showing five tone. Hwang is the most seen and vibrated sound.It is Limjong-key that Tae shown as spiled-note. Part ⓓ :Hwang(D)-Jung(G)-Lim(A) showing three tone scale.Jung is the most seen and Hwang is vibrated sound. The scale is Hwangjong-Key as the part ⓐ. The first movement has same melody in the first measure of part ⓐ and the fourth measure of part ⓓ. And it is consisted of basic and similar rhythm. Ornament is decorated tone on one tone and the main note-decorated tone on one tone-the main note used. 2. The second movement. Part ⓐ : Hwang(D)-Tae(E)-Jung(G)-Lim(A)-Nam(B)-Moo(C) is showing. Jung is the most shown and Lim is the most vibrated. It is five tone of Hwangjong-Key by considering Moo as passing-note. Part ⓑ : Lim(A)-Nam(B)-Hwang(D)-Tae(E)-Goo(F^#)-Jung(G) is showing, Hwang is the most shown and is five tone scale of Limjong-key by considering as passing-note. The eighth and sixteenth measure of part a has identical rhythm and melody line. It is also used a type of similar rhythm a lot. Decorated tone under three tone is used as decorated tone often. 3. The third movement. Part a, part b, part c is all five tone by showing Hwang(D)-Tae (E)-Jung(G)-Lim(A)-Nam(B). Jung is the most shown in the part ⓐ and part ⓒ And Nam is for part ⓑ. A part is consisted of three measures. It has same rhythm and melody line between the eighth to tenth measure in part b, c. Part ⓐ, part ⓑ part ⓒ is (Repeated melody+ ⓑ Basic melody. Repeated melody+ ⓒ Basic melody. Repeated melody>.And if we see the third movement as form of two parts consisted by part b and c, we have this conclusion. As we see, Repeated melody i s forwarding i n the third movement. This movement has sixteen in a type of basic rhythm, four in a type of mixed rhythm and three in a type of pulled rhythm. Decorated tone on two tone is used often. 4. The fourth movement. It is five tone which showing Nam(B)-Hwang(D)-Tae(E)-Jung(G)Lim(A). Tae is the most shown and Lim is vibrated. It is Namrea-key that showing Jung as the major. Rhythm of this movement is membered by 17th a type of basic rhythm, eight in a type of mixed rhythm, and one in a type of pulled rhythm. Variable similar rhythm is used often. Decorated tone on one tone, decorated tone under three tone is used once ea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