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6 Download: 0

일반 대중을 위한 한국 도자 문화의 방향과 교육

Title
일반 대중을 위한 한국 도자 문화의 방향과 교육
Authors
천재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미술의 가치를 논할 때에는 늘 중심 축에 도자기가 놓일 만큼 도자기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우리 나라에서는 2001년 8월 1l일에서 10월 28일까지 2001 세계 도자기 엑스포 를 개최하여 깊은 역사를 자랑하는 우리의 도자예술를 세계에 알리는 기회를 만들었으며 국내 도자 기술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도자 문화를 대중 속에 뿌리내리게 하는 계기를 만들였다. 한편, 현대에는 과학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여가도 많이 늘어났다. 현대 사회에서 여가의 양적 증대는 남는 시간를 즐기는 것뿐만 아니라 그 속에서 고차원적인 여가를 요구하고 있고 특히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자연의 근원인 흙을 직접 접할 수 있는 도예교육은 도자 공예의 일반적인 개념과 기초적인 성형기법을 습득하게 하여 생활도예로부터 조형예술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조적이고 전통 있는 도자 문화를 배경으로 한 우리 민족의 특징을 살려 도자의 역사와 도자교육을 살피고 도자 문화의 저변확대를 위한 도자사회교육의 현재 상황을 살펴 일반 대중을 위한 한국 도자 문화의 방향과 교육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이러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오랜 기간동안 쌓아온 도자의 전통을 근대이전(18세기이전)의 상황과, 일제 침략기인 근대(19세기 ~ 1945년)상황, 전후 서구의 영향 속에서 우리 도자 문화의 특출한 조형성과 정신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현대의 도자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역사 속에서 도자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알아보았으며, 도자 문화의 저변확대를 위한 방법으로써 외국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실례들과 함께 도자사회교육 현황을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결과 도자에 대한 사회 일반의 이해가 크게 증가하고 더 발전된 도자문화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강의시간대의 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아마츄어들이 참여하는 공모전등 일반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셋째, 도자문화를 위한 정보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개인공방들의 의식변환과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정부의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이러한 양적 질적인 내용의 확충이 이루어진다면 개인들에게는 삶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줌으로서 정신건강과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사회적으로는 국민들에게 우리의 고유한 도예 문화를 계승하고, 긍지를 심어주는 긍정적인 역할과 세계최고로 인정받을 수 있는 우리의 도자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다.; Ceramics in Korea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 and consequently when Korea Art is discussed generally it has always managed to lie in the core of Korean aesthetics.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which was organized in Korea between 11th August to 28th October 2001, has contributed in acknowledging our long ceramic history internationally as well as to the national public. The event raised the level of our ceramic culture and technique while simultaneously publicizing our deep-rooted tradition both to the Koreans and to the people of the world. With a rapid development in todays scientific technology, peoples lives have been greatly extended. We live for a very long time. Therefore, many people are finding ways to enjoy themselves through different hobbies and leisure. Leisure has become more than a simple time-spender. It has become a method of improving and developing ourselves. Many people want to learn ceramics for the same reason. Clay is a natural medium and hence it connects humans to nature. Generally people learn the basic skills to make either functional or sculptural work. For this study, the history of Korean Ceramics has been researched as the fundaments for discover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in our ceramic art to use the information in examining the current ceramic educational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ceramic education in our society to detect the flow of our ceramic culture. The study has concentrated on the ceramic tradition of Korea before the 18th century, in addition to the state of modern ceramic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1945. Furthermore, it has endeavored to capture both the Korean characteristics and spirit in contemporary ceramics amidst the infiltration of western influences during these periods. The study reflected on such historical events to understand how ceramic education has progressed. The study was conducted an analysis on social ceramic education in our community and collected the examples in foreign country for expanding ceramic culture The research encouraged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order to extend the public interest in ceramics and also to form a strong basis to acknowledge Korea as a nation know for its ceramic culture. This can only be achieved by developing a program to introduce ceramics socially. Firstly, It need to develope programs and adjust the time for personal taste. Secondly, It leads progressively common people to participate in exhibition for amateur. Thirdly, It needs to construct to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for ceramic culture. Fourthly, private craft studios should change their mind and effort positively. Lastly, to form a strong ceramic base the government should take a continued interest and support small and large events. Sponsorships should not only lean towards large expositions like the previous one but they should be created for other cultural occasions in order to extend our ceramic base. If such issues are put in to practice peoples lives will be fulfilling. It would nourish the general psyche of a nation as well as further develop our precious ceramic culture. We would be known as the nation with the richest ceramic history and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