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성희-
dc.creator구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6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4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유아동작교육 활동을 점검하고 더불어 효율적인 유아동작교육 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실려있는 동작 관련 활동을 분석하여 그 경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나타난 동작 관련 활동의 1. 동작관련 활동의 내용은 구성이 어떠한가? 2. 동작교육 내용은 경향이 어떠한가? 3. 동작교육 내용은 수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4. 동작교육 내용은 생활 주제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1998년 6월에 개정 고시된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2000년도에 교육부에서 발행한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총 12권 중 총론과 종일반 2권을 제외한 나머지 10권에 나타난 동작관련 활동이다. 이에 선정된 분석 대상이 되는 동작관련 활동 수는 총 330개였다. 그리고 동작관련 활동의 동작교육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홍용희(1998)와 오연주(2000)의 분류를 바탕으로 분석 하되 여러 선행 연구를 참고로 내용체계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더불어 동작 관련 활동을 선정하고 분석을 하기 위해 유아교육 전공자들이 함께 참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실려있는 한 활동에서의 동작 교육 내용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는 한 활동이 한가지 동작활동 내용으로 구성된 경우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두가지, 세가지 동작활동 내용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하위 범주의 결과를 살펴보면 한가지 동작활동 내용은 창의적 동작, 다른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동작, 이동 동작, 조작적 동작, 비이동 동작 순으로 나타났다. 두가지 동작활동 내용은 비이동과 이동 동작, 창의적 동작과 다른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활동, 이동 동작과 조작적 동작이 복합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초 영역 내나 응용 영역 내의 영역내의 통합 활동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세가지 동작활동 내용은 비이동 동작과 이동 동작과 창의적 동작이 복합된 활동이 제일 많이 나타나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매우 비중이 적었다. 둘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나타난 동작 관련 활동의 유아동작교육 내용의 경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기초 영역에서는 이동 동작, 응용 영역에서 창의적 동작이 가장 많았다. 전체적으로는 기초 영역이 응용 영역보다 많았으나 하위범주는 창의적 동작, 이동 동작, 비이동 동작, 다른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동작, 조작적 동작 순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 범주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비이동 동작은 균형잡기, 멈추기, 구르기 순으로 나타났고 꼬기와 거꾸로 서기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동 동작은 걷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말뛰기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조작적 동작은 던지기와 치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받기, 차기, 튀기기 순서로 나타났다. 창의적 동작활동은 상상력 자극에 의한 즉흥이 창의적 동작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편중되어 나타났으며 다른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동작은 정해진 동작 따라 움직여보기, 노래, 게임, 체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나타난 동작 관련 활동의 동작교육 내용에 대한 수준별 경향을 알아본 결과를 살펴보면 I수준의 경우 기초영역은 이동 동작, 응용 영역은 창의적 동작이 가장 많았고 전체적으로는 기초 영역이 응용 영역보다 많은 동작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하위 범주에서는 창의적 동작, 이동 동작, 다른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동작 순으로 나타났다. II수준의 경우 기초 영역은 비이동 동작, 응용 영역은 창의적 동작이 가장 많았고 전체적으로는 기초 영역이 응용 영역보다 많은 동작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하위 범주에서 창의적 동작, 비이동 동작, 이동 동작 순으로 나타났다. I수준과 II수준을 수준별로 비교하여 보면 I수준과 II수준은 거의 비슷한 수의 동작교육 내용이 나타났고 전체적인 하위범주 중 창의적 동작이 많이 나타났다. 반면 I수준은 II수준보다 이동 동작, II수준은 I수준보다 비이동 동작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범주에서는 이동동작 중 구르기가 I수준에 비하여 II수준에서 현저하게 줄었고, 회전하기는I수준에서 II수준으로 현저하게 늘어났다. 이외의 다른 각 하위 범주에서는 스킵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거의 수준이 잘 고려되어 있었다. 넷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나타난 동작 관련 활동의 유아동작교육 내용에 대한 생활주제별 경향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기초 영역은 건강한 몸과 마음 주제의 동작교육 내용이 많았으나 지구와 환경 주제는 아예 나타나지 않았다. 응용 영역릉 나와 유치원 주제에 가장 많이 나타났다. 기초 영역과 응용 영역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지구와 환경, 동물 주제는 기초 영역보다 응용 영역에서 동작교육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 건강한 몸과 마음의 주제는 기초 영역이 응용 영역 보다 동작교육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기초 영역이 응용 영역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건강한 몸과 마음 주제에 제일 많이 편중되어 있었고 지구와 환경 주제는 다른 생활 주제보다 현저하게 적게 분포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activity which is related to movement of guidance data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kindergarten and then finding the trends, in order to inspect educational activity about infant movement and present a way of efficient educational activity about infant movement. Subjects of study as follows were set up to realize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movement-related activities in the guidance data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kindergarten , 1. What is the configuration of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2. What is the trend of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3. What is the difference of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by levels? 4. What is the difference of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by subjects of living? Subjects of this study are movement-related activities including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mentioned in the ten volumes among total 12 volumes of the guidance data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kindergarten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of 2000 except the two volumes of the general and the general consideration, on the basis of the Sixth Kindergarten Curriculum revised and notified in June 1998. Total number of the movement-related activities was 330 as subject of this analysis. Analysis on the contents of motion education in movement-related activities were based on the standard of categorization by Hong Yong-hee(1988) and Oh Yeon-ju(2000), and it was used with modification of its contents with reference to the several previous studies. Those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ed in selection and analysis of the motion-related activities. All the data was processed in frequency and percentag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trend of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for an activity, the case that an activity is a movement activity was shown most. For the result of the subcategories, in case of one movement activity, creative movement was shown the most. In case of two movement activities, combination of nonlocomotor movement and locomotor movement was shown the most, and integration activity between fields including the basic field and application field was shown much. In case of three movement activities, combination activity of nonlocomotor movement, locomotor movement and creative motion was shown the most, but it was shown little in whole.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trend of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for children in movement-related activities, locomotor movement was shown the most in the basic field and creative movement was shown the most in the application field. In whole, the basic field more included movement education than the application field, but creative movement, locomotor movement and nonlocomotor movement were shown by order in the subcategories. For the result by the subcategories, balancing was shown the most and twisting and handstand were not shown for nonlocomotor movement. Walking was shown the most and gallopping was not shown for locomotor movement. Throwing and striking were shown the most for artificial movement. Creative movement activities were shown impromptu by imaginative stimulation, and for movements made by others, mimicking others movements were shown much.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by levels in movement-related activities, for the level I, locomotor movement was shown the most in the basic field and creative motion was shown the most in the application field. For the level II, nonlocomotor movement was shown the most in the basic field and creative motion was shown the most in the application field. For both the level I and II, in general the basic field more included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than the application field, but creative motion was shown the most in the subcategories. For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by levels, locomotor movement was shown more in the level I than in the level II, while nonlocomotor movement was shown more in the level II than in the level I. In the subcategories, of locomotor movement, roll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evel II compared to th e level I, and turn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evel II compared to the level I. In the other subcategories, the levels of skipping were not considered concretely but in general they were reflected well.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trend of contents of movement education for children by subjects of living in movement-related activities, content of movement education were shown much for the subject of sound body and spirit but it was not shown for the subject of the earth and environment in the basic field. The subject of self and kindergarten was shown the most in the application field. In general, the basic field was more shown than the application field, and the subject of sound body and spirit was the most emphasized, while the subject of the earth and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other subjects of liv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3 A. 유아동작교육의 개념 및 목적 = 3 B. 유아동작교육 내용 = 6 C. 유아동작교육 방법 = 16 III. 연구 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연구 도구 = 18 C. 연구 절차 = 24 D. 자료 분석 = 26 IV. 연구 결과 = 27 A. 유아 동작 관련 활동의 내용 구성 = 28 B. 유아 동작교육 내용의 경향 = 31 C. 유아 동작교육 내용의 수준별 경향 = 36 D. 유아 동작교육 내용의 생활 주제별 경향 = 42 V. 논의 및 결론 = 45 A. 논의 = 45 B.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3 ABSTRACT = 55 부록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30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동작 관련 활동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