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무용활동을 통한 자아인식과 자아존중 정도에 관한 연구

Title
무용활동을 통한 자아인식과 자아존중 정도에 관한 연구
Authors
안재연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Sonstroem(1978:1984)의 가설적 모형과 실험적 선행 연구 그리고, 체육 연구 소논집에 발표된 정청희·허정식·성창훈(1993)의 실험논문에 근거를 두고, 초등학교 4, 5, 6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무용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들(유 경험 집단)과 지속적인 무용활동 경험이 없는 학생들(무 경험 집단)간의 자아인식과 자아존중의 차이를 비교하고, 무용활동 경험기간에 따른 자아인식과 자아존중의 차이를 비교하여, 지속적인 무용활동이 자아인식과 자아존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자아인식과 자아존중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많은 심리학적 변인 중 특히 자아존중은 신체운동과 관련된 중요한 생활 조절 변인(life adjustment veriab le)으로 Sonstroem(1984) 등을 비롯한 많은 연구들이 지속적인 신체운동의 결과가 자아존중에 명확한 향상을 보이며, 그 변화의 정도가 현저한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비록 이러한 결과들이 무용을 대상으로 하지 않았다 할 지라도 무용이 신체운동과 같은 범주로 볼 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점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소재한 6개 초등학교의 4, 5, 6학년 여학생 중에서 무용활동 무 경험 집단 100명과 무용활동 유 경험집단을 6개월 이상-1년 미만인 집단 45명, 1년 이상-5년 미만인 집단 32명, 5년 이상인 집단 34명으로 총 211명을 선정하여 Sonstroem이 제작한 자아인식 척도 간편형(1974)과 Rosenberg가 제작한 자아존중 척도 간편형(1965) 검사지에 대한 반응을 연구문제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검사지는 자기 평가 기입방법으로 하였으며 검사지 작성 후 자료는 SPSSWIN8.0를 사용하고, 상관분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무용활동 유 경험집단과 무 경험집단 간의 자아인식은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고, 자아인식 하위영역별 무용활동 경험유무 집단 간의 차이는 힘을 제외한 강하고 튼튼한 몸, 협응력, 운동신경, 기능, 리더쉽, 자신감, 소질, 타이밍, 능력, 근력, 능력1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p<.001)를 보였다. 둘째, 지속적인 무용활동 유 경험집단과 무 경험집단 간의 자아존중에는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고, 자아존중 하위영역별 무용활동 경험유무 집단 간의 차이는 존재와 자부심을 제외한 만족, 자질, 장점, 능력, 자랑스러움, 가치, 성공감, 태도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셋째, 지속적인 무용활동 경험기간에 따른 자아인식에 대한 차이는 유의적인 차이(p<.05)를 나타냈는데 5년 이상인 집단의 자아인식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1년 이상-5년 미만인 집단이 높았으며, 6개월 이상-1년 미만인 집단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무용활동 경험기간에 따른 자아인식 하위영역별 차이를 살펴보면 기능, 힘, 소질, 타이밍를 제외한 강하고 튼튼한 몸, 협응력, 운동신경, 리더쉽, 자신감, 근력, 능력1의 경우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넷째, 무용활동 경험기간에 따른 자아존중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사후 검증 결과 5년 이상인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는 6개월 이상-1년 미만인 집단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1년 이상-5년 미만의 경우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6개월 이상-1년 미만인 집단과 1년 이상 5년 미만인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무용활동 경험기간에 따른 자아존중 하위영역별 차이를 살펴보면 만족, 능력, 존재, 성공감, 태도를 제외한 자질과 장점, 자랑스러움, 가치의 경우 5년 이상의 경우가 5년 미만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전체집단에서 자아인식과 자아존중이 상관관계 분석 결과 상관계수 r=.530으로 나타나 정적인(+) 상관을 보이며,(p<.01) 자아인식 하위영역별에서는 힘과 능력을 제외하고, 자아존중 하위영역별에서는 존재와 자부심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 있어서 자아존중과의 상관관계가 정적인(+)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집단별 자아인식과 자아존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용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 상관계수 r=.502, 무용활동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유의수준 p<.05 수준에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6개월-1년 미만인 경우 상관계수는 r=.319(p<.05), 1년 이상-5년 미만인 경우 상관계수는 .451(p<.01), 5년 이상인 경우 상관계수는 .841(p<.01)으로 무용활동 경험기간이 길면 길수록 자아인식과 자아존중 간의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속적인 무용활동은 자아인식과 자아존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반적인 아동 뿐 만 아니라 취학 전 부모와의 관계가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은 아동이나 보다 높은 자아존중이 요구되어지는 아동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 될 것이다. 그리고 자아존중이 개인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광범위한 점을 인식할 때, 자아인식과 자아존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하는 무용 교육 프로그램들을 활동 대상과 경험기간 별로 다양하게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is based on Sonstroem(1978:1984) s model and experimental studies, and experimental theses of Jung Chung-hee, Huh Jung-sik and Sung Chang-jun(1993) published in a small collection of studies on P.E. (Phy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if continuous dance education exerts a positive influence on self-perception and self-concept, and if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by comparing the difference of self-perception and self-concept between girl students who experienced continuous dance education and the others who didn t among some 4th,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mong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self-respect i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is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and a lot of studies including Sonstroem(1984) s show that continuous physical exercise makes a clear improvement of self-respect, and they suggest the degree of change is remarkable. Although these result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dance, but it implies a lot in that dance is in the same category of physical exercise.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a group of 101 elementary school girls who do not have any experience of dance education and the other groups of experienced students (A 46, B 32, C 33)- total 212 students. The researcher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Sonstroem s simplified scale of perceiving one s body(1974), and Rosenberg s simplified scale of self-concept (1965). The test paper was filled by self-evaluation,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sub program of SPSS PC+, correlation analysis and dispersed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elf-concept of the two groups (p<.001), and there is als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 groups with experience of dance education in their concept of their body (p<.001) in the aspect strong body, cooperating power, sense of exercise, function, leadership, self-confidence, talent, timing, competence, muscular strength and competence1 except strength. Second,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elf-perception of the two groups (p<.001), and there is als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 groups with experience of dance education (p<.001) in the aspect of satisfaction, quality, strong points, competence, pride, value, success and attitude except existence and self-pride. Third,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self-percep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ing period of continuous dance activity (p<.05). The group of more than 5 years experience has the highest average score followed by the group of more than a year but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and the group of more than six months but less than a year s experience has the lowest score.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sub areas of self-percep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dance activity,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strong body, cooperating power, sense of exercise, muscular strength and competence1 except function, strength, talent and timing. Fourth, looking at difference in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experiencing period of dance activity through post-inspection, the group of more than 5 years experience has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the group of more than 6 months but less than 1 year s experience, and the group of more than 1 year s but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has the lowest score.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more than 6 months but less than 1 year s experience and the one of more than 1 year s but less than 5 years experience. Looking at difference between sub areas of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experiencing period of dance activity,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more 5 years experience and that of less than five years experience, and the group of more 5 years experience has higher score in the aspect of quality, strong points, pride and value except satisfaction, competence, existence, success and attitude. Fifth, as the result of analysing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ption and self-concept, correlation variable is r=.530, which shows direct correlation(+)(p<.01). In each sub area of self-perception, all show positive (+) correlation with self-perception or self-concept except in strength, competence, and self-pride. Also, as the result of analysing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ption and self-concept of each group, the correlation variable is r=.502 in case of having dance experience, and there is no correlation at p<.05 in case of no dance experience. In case of having dance experience of 6 months to 1 year, the correlation variable is r=.319(p<.05), .451(p<.01) in case of more than 1 year but less than 5 years, and .841(p<.01) in case of more than 5 years experience. In conclusion, lasting dance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s self-perception and self-concept, and it will become a useful program for general children, children with bad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nd some other children who should have high self-concept than others. Also, recognizing the wide influence of self-concept on individual life, we should develop variety of dance education programs for each subject and period of experience that will positively influence their self-perception and self-concep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