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정미-
dc.creator백정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4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6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유아들과의 현장학습 실태를 조사하는데 있다. 이 자료는 실태조사를 통해 현장학습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현장학습의 사전계획 및 준비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2. 유치원 현장학습의 활동내용 및 방법은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3. 유치원 현장학습의 사후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소재한 유치원 193개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질문지에 의한 조사방법으로서, 서울시 23개구에 있는 유치원을 무선 표집하여 원당 1부씩 질문지를 발송하여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학습의 목적으로는 다양한 체험활동을 경험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현장학습 계획은 교직원 회의를 통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 수립시기는 학기초에 연간계획을 수립하면서 같이 세우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치원으로 오는 광고물을 통해 장소에 관한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소선정은 학습하고 있는 주제에 적합한지를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의 유치원이 사전답사를 실시하지 않으며, 그 이유로는 전에 가본 곳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답사를 할 때는 대부분 현장학습 할 내용을 살펴보거나 소요시간을 알아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들과의 사전활동은 1-2일 동안 현장학습의 위치, 주의점, 유아가 현장에 가서 볼 것들에 관해 교사가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교육을 하지 않는 유치원은 하나도 없었으며, 대부분 학부모에게 현장학습 동의서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은 현장학습을 한 학기에 4-5회 정도 실시하고 있으며, 주로 교통기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가는 장소는 어린이 대공원, 서울대공원, 경복궁, 소방서, 어린이 교통공원, 삼성어린이 박물관, 롯데월드어드벤처, 국립민속박물관, 롯데월드 민속박물관으로 나타났다. 현장학습 시 유아들은 관람식 활동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 전체가 집단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미리 준비해간 자료나 특별히 참고하는 것 없이 교사 나름대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 참여에 관해서는 유아 인솔시 성인 1인당 유아의 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현장학습에 학부모를 참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학습 후 이루어지는 사후활동 중 교사평가는 계획한 활동이 모두 진행 되었는 지를 중심으로 교사평가가 이루어지며, 교사평가를 하지 않는 이유는 아무 사고 없이 끝났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학습 실시 시 어려운 점으로는 유아 안전에 관한 우려였으며, 현장학습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점은 다양한 현장학습장소 개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유아교육 현장에 주는 실천적 시사점은 현장학습을 연중행사로 인식하고 일회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활동의 연장과 심화과정으로 인식하고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problems of field study performed in kindergartens and to suggest plans to improve them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Based on the above object, the following research subjects were set; 1. How is field study of kindergartens previously planned and prepared? 2. How is content and method of field study of kindergartens performed in the field? 3. How are after-field-study activities of kindergartens performe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3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s a method of this study, questionnaire was used by sampling randomly kindergartens situated in the twenty-three districts, Seoul, and sending and collecting a questionnaire per kindergarte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bjective of field study was mostly regarded as to experience a variety of actual activities and the plans for field study were made through the faculty conference. When establishing annual plans at the beginning of a term, the plans for field study also were made simultaneously, and information on locations for field study was gained through advertising materials sent to the kindergartens. The location selection was based on whether the location was suitable for the learning subject. 42.0% of the kindergartens didn t make any pre-field investigation; the reason is that they have been to there. It was found that in making a pre-field investigation, in most cases, they examined contents to study in the field or checked the time required, and as pre-activity with children, the teachers told children the location, notice and matters which they will watch in the field study, for one or two days. All the kindergartens performed safety education and the most received written consents for field study from their parent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kindergartens performed field study four to five times per term and mainly used means of transportation. The most preferred places included Children Park, Seoul Grand Park, Gyeongbokgung, fire departments, Children s Traffic Park, Samsung Children s Museum, LotteWorld Adventure, National Folk Museum and LotteWorld Folk Museum. In field study, mostly, children participated in seeing activity and the entire class moved as a group. Without previously prepared data or particular reference, the teachers explained promptly something related to the field study in their own way. For parents participation, as the number of children per adult has decreased gradually, the kindergartens let relatively many parents participate in field study. Finally, teacher evaluation of after-field-study activities was conducted, laying stress on whether all the planned activities were completed properly;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teacher evaluation was not conducted was that all the procedures were completed without any accident. In addition, one of difficulties in field study was related to safety of children and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most required matter to activate field study is to develop a variety of field study. In conclusion, a practical suggestion from the above results for kindergartens is that field study shall be implemented rather by children s active participation than by leading of teachers, and that it shall be prepared and performed not as regular annual event, but as the extension of educational activity and further cour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현장학습의 개념 = 5 B. 현장학습의 중요성 = 6 C. 현장학습의 절차 = 8 III.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연구도구 = 18 C. 연구절차 = 19 D. 자료분석 = 19 IV. 연구결과 = 20 A. 현장학습의 사전계획 및 사전 준비 = 20 B. 현장에서의 현장학습의 활동내용 및 방법 = 26 C. 현장학습의 사후활동 = 35 V. 논의 및 결론 = 39 A. 논의 = 39 B. 결론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49 부록 =  52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81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치원 현장학습의 실태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