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황금산의 백도라지]의 연구분석

Title
[황금산의 백도라지]의 연구분석
Authors
박지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집체제작(集體製作)으로 작곡된 북한의 21현 가야금곡〈황금산의 백도라지〉의 음악구조를 분석하고 그 작품에내재된 주법을 밝히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인은 본 곡을 한개의 주제와 다섯 개의 변주로 나누어, 각 악장별로 선율과 구성,리듬, 연주기법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주제부분은 3/4박자의‘보통속도로 명랑하게’의 빠르기로, 민요〈도라지 타령〉의 선율이 주제로 제시된다. 왼손의 분산화음形반주와, 오른손의 tremolo 주법으로 인한 음가가 축소되는 리듬형이 특징적이다. 구성은 A-B-A¹ 의 세 단락으로 구분하였다. 제 1 변주는 리듬변주가 나타난다. 주제에서 제시되었던〈도라지 타령〉의 멜로디가 오른손의 분산화음으로 이루어진 3연음부진행이나 16분음표로 구성된 분산화음形 반주 chord形 분산화음과 그 안에 함축된 멜로디 등으로 변화되어 연주된다. 구성은A²-B¹-A³-A⁴-B² 의 다섯 단락으로 구분하였다. 제 2 변주는 4/4박자로 변화되고 박자의 변화가 곡의 빠르기또한 변화 (‘약간 빨리’) 시키며, 전통적인 4박자의 동살풀이 장단에 의한 리듬진행을 하고 있다. 또한 조성의 변화(사장조→다장조)도 나타난다. 구성은 도입부-A^5-B³-A^6-B⁴의 다섯 단락으로 구분하였다. 제 3 변주는 9/8박자로 다시 변화되고, 세마치 장단에 의한 리듬진행이 나타난다. 왼손은 단선으로 멜로디를 연주하고, 오른손은 8분음표로 구성된 분산화음形 반주가 나타난다. 구성은 도입부-A^7-A^8-B^5 의 네 단락으로 구분하였다. 제 4 변주는 다시 3/4박자로 돌아온 후 느린 템포로 바뀌는데,느린 리듬과 fermata, arpeggio 등을 사용하여 이 곡에서 가장 정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잦은 빠르기의 변화(약간 느리고 폭넓게 → 빠르게 → 점점 빠르게 → 점점 느리게 → 점점 빠르게)또한 연주자의 감정을 충분히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 부분은그동안의 변주들이 마지막인 제 5 변주에 도달하기 위한 경과부구실을 하는 독립된 cadenza로 볼 수 있다. 구성은 cadenza 로하나의 독립된 악장을 이룬다. 제 5 변주는 제 1 변주에서 제시되었던 요소들을 그대로 반복하는데, 왼손은 멜로디를 단선율로 연주하고, 오른손은 제 1 변주에 출현한 16분음표로 구성된 분산화음形 반주를 반복한다. 빠른passage로 이루어진 제 5 변주는‘점점 느리게’연주되다가arpeggio로 마치게 된다. 구성은 도입부-A³ -종결부의 세 단락으로 구분되며, 제 1 변주에서 제시되었던 A³ 가 반복된다. 이와 같이〈황금산의 백도라지>는 21현 가야금이 갖는 넓은음역과 풍부한 음량을 토대로 전통민요인〈도라지 타령>을 다양한 변주와 연주법을 이용하여, 화려한 창작기법으로 이끌어낸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sical composition of "The White Balloonflower at the Golden Mountain", one piece of 21-string-Kayakeum music of North Korea, a group-composition, and to clarify the inherent executions in it.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lodies, compositions, rhythms and executions by movement by dividing this work into one theme and five variations and attained consequences as follows: In the thematic part, the melody of "The Balloonflower Taryo ̄ng, one of Korean folk songs, develops as a main theme in three-four time and average-vivace tempo. The rhythm pattern is characteristic for reducing note values by the left hand s accompaniment in the dispersive chord pattern and the right hand s tremole execution. This part develops in a trinary form ; "A-B-A´" The first variation shows a shift in the rhythm. "The Balloonflower Taryo ̄ng" melody presented in the thematic part varies in the right hand s triplet progression, accompaniment in the dispersive chord pattern made of the sixteenth note, and with dispersive chords in the chord pattern and melodies contained in them. This part develops in a five-part form ; "A²-B¹-A³-A⁴-B²" In the Second variation, the time changes into four-four which changes the tempo also (into "allegretto"), and the rhythm progresses in the traditional four-time Dongsalpuri pattern. There is a modulation too (from G major to C major). This part develops in "the introduction-A^5-B³-A^6-B⁴". In the third variation, the time changes again into nine-eigth and the rhythm progresses in Semachi pattern. The left hand makes the melody on one single string, while the right hand accompanies the dispersive chord pattern made of the eight note. This part develops in "the introduction?A^7-A^8-B^5". In the fourth variation, the time comes back to three-four and accordingly the tempo becomes slow, and the slow rhythm, fermata and arpeggio yield the most static mood in this part. Frequent changes in the tempo play a role of exposing the performer s feelings fully. This part can be seen as a transitional independent cadenza through which variations so far arrive at the final fifth variation. This part develops in one single movement of cadenza. In the fifth variation, all the elements presented in the 1st variation are repeated again ; the left hand executes the melody on a single string and the right hand repeatedly accompanies the dispersive chord pattern made of the sixteenth note appeared in the 1st variation. The fifth variation made of quick passages develops in tempo and ends with an arpeggio. The composition is a three-part form of "the introduction-A³-cadense", and A³ appears again as in the first variation. As we have seen so far, "The white Balloonflower at the Golden mountain" is a brilliant, creative version of "The Balloonflower Taryo ̄ng", a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with diverse variations and executions, based on the great compass and rich sound volume the 21-string-Kaya-Keum posse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