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05 Download: 0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Title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Authors
한정일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어휘 교육은 문법 교육이나 읽기 말하기와 같은 교육에 비하여 간과된 연구 분야이다. 한국어 교재에 있어서도 어휘는 문법과 문형 학습의 보조적인 부분으로 인식되어 제시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읽기를 통한 간접적인 어휘 교육만이 강조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에 직접적인 어휘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한국어 어휘 교육의 균형점을 찾고자 한다. 그리고 직접적인 어휘 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교수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장에서 제시한 어휘의 질적 능력의 정의를 통하여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학습이 어휘의 질적 능력을 높이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장에서 한국어 교과 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어휘를 살펴보고 한국어 능력 시험에서 제시한 한국어 학습자의 단계별 어휘 능력 제시했다. 또한 중급 단계 어휘의 분포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의 한국어 3급 어휘를 분석한 결과 두 대학의 어휘 분포수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의 순서로 같았다.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두 대학교의 교재에서 어휘는 문법과 문형 학습의 보조적인 부분으로 제시되고 있다.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해서 교재 안의 문법과 유형 연습이 학습에 편리하게 정리되어 있듯이 어휘를 위한 학습장치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대한 인식과 어휘 학습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4장에서는 직접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의미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재의 어휘를 분석하였다. 의미관계는 단일어휘 내부의 의미관계 곧, 다의 관계, 동음 관계와 어휘 사이의 의미 관계 곧, 동의 관계, 대립 관계, 상하 관계로 나누었다. 이와 같은 의미 관계를 이용한 학습의 장점은 첫째, 의미 관계는 모든 언어에 존재하는 보편적 현상이다. 둘째 2언어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어휘 학습에서 의미 관계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학습은 중급 학습자에게 적절한 어휘 교육 방법이다. 셋째,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학습을 통하여 이미 학습한 어휘와 새로 학습한 어휘 사이의 의미적 연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초급에서 학습한 어휘를 상기하며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 지식을 체계적이고 연계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넷째, 어휘 학습에 있어서 의미 관계를 이용하는 것은 수업의 일관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섯째,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학습을 통해 어휘뿐만 아니라 학습 전략을 습득할 수 있다. 여섯째,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학습은 어휘의 기억과 보존에 용이하다. 5장에서는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교수 방법을 직접 교실 수업에 적용하고 현행 한국어 교재를 보충할 수 있는 어휘 연습 활동과 읽기와 의미 관계를 병행하는 어휘 수업 모형을 제시했다. 이 논문에서 직접적인 어휘 교육만을 강조하였지만, 직접적인 어휘 교육과 간접적인 어휘 교육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다. 원기를 통한 간접적인 어휘 교육만으로는 한국어 능력 시험에서 제시한 어휘 능력뿐만 아니라 어휘의 질적인 능력을 배양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직접적인 어휘 교육과 간접적인 어휘 교육이 병행될 때 어휘 교육의 성과가 극대화 될 것이다. ;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vocabulary education is relatively neglected research field compare with that of grammar, reading or speaking. Vocabulary is regarded and presented as auxiliary function to grammar and sentence pattern study, also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equilibrium point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direct vocabulary education where Korean langugage education put emphasis mainly on indirect vocabulary education which is implemented by reading. The author suggests methodology of vocabulary teaching by using semantic relations as direct vocabulary education method. In Chapter 2 where the definition of qualitative ability of vocabulary is presented, we can find out that vocabulary education using semantic relations is useful to improve the qualitative ability of vocabulary. In Chapter 3, the author examines vocabulary that Korean language curriculum aims, and presents the students vocabulary ability by stage that Korean Proficiency Test suggested. Furthermore,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intermediate level vocabulary, the author analyzed the third level Korean vocabul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vocabulary of the two universities was same by order noun, verb, adjective and adverb. As a whole, vocabulary in the textbooks of the two universities is suggested as auxiliary function to grammar and sentence pattern study.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grammar and pattern practice in textbooks are organized conveniently, the tools for vocabulary study is also required. The author made up a questionnaire to survey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general understandings of vocabulary study. In Chapter 4, the author analyzed vocabular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view of semantic relations to seek for the methodology of direct Korean vocabulary education. Semantic relations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which is semantic relations of internal unit word, that is, polysemy, homonymy, and semantic relations between words, that is, synonymy, antonymy, hyponymy. The advantage of study using such semantic relations is, first, semantic relations is general phenomenon that exists in all languages. Second, there is a trend to use semantic relations at vocabulary study as second language study proceeds. Third, students can extend their Korean vocabulary knowledge systematically and connectedly by recollecting the vocabulary they learnt at beginning level because they can make up the connection of meanings between new vocabulary and familiar vocabulary by vocabulary study using semantic relations. Fourth, to use semantic relations in vocabulary study helps maintaining consistency in study. Fifth, students can acquire not only vocabulary but also the strategy of study by using semantic relations. Sixth, vocabulary study using semantic relations is easy to memorize and preserve. In Chapter 5, the author suggests vocabulary study model which can go parallel with reading and semantic relations, and vocabulary exercising that can supplement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accordingly can apply vocabulary teaching method using semantic relations at class study directly. Although this thesis put emphasis solely on direct vocabulary education, direct vocabulary education and indirect vocabulary education is not mutually exclusive. Studying vocabulary only by reading cannot reach the level of vocabulary ability that J.C Richards defined. And to acquire vocabulary ability of which the standard has been presented in Korean Proficiency Test, students may not be able to acquire such ability by studying reading only. Therefore, we can find that when direct and indirect vocabulary education go parallel with, the success of vocabulary education will be maxim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