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5 Download: 0

학교 환경교육 관련 업무 현황과 개선 방향

Title
학교 환경교육 관련 업무 현황과 개선 방향
Authors
박민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의 학교 환경교육 평가가 환경교육 목적 달성 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 환경관련 업무 추진 현황을 살펴 본 후, 앞으로 바람직한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로 환경교육의 정의 및 목표, 중학교 학교평가의 목적 및 방법, 교무분장에서의 환경부의 역할, 99년도 학교 환경교육관련 업무 부서 등을 살펴보았고, 서울시 중학교 환경교육담당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학교 환경교육 평가 항목에 대한 업무 담당교사들의 의견과 98 학교 환경교육 평가자료 및 자율평가표에 나타난 학교 환경교육 운영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문헌연구 결과 학교 및 교육청 평가 영역에서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고 많은 학교에서 교과 중심 교무분장으로의 개편과 특기적성교육의 강화로 환경부를 교무분장에서 폐지하였으며, 현재 중학교 환경교육의 운영은 환경관련교과와 특별활동을 근간으로 하여 실시되고 있으며, 여기에 환경교과에 의한 환경교육과 비정규적인 환경교육이 추가되는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 서울시 중학교에서는 현재 환경교육관련 업무 부서로 환경교육과 환경행사는 과학교육부에서, 경제교육, 에너지 절약, 폐휴지 수합, 저축 재활용품 운영 등은 사회교육부에서, 조기 청소와 분실물 관리는 생활지도부에서, 어머니회는 진로상담부에서, 봉사활동은 특별활동부나 사회교육부에서 주로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교육 평가자료 항목에서 가장 많이 삭제하고 싶은 항목으로 어머니 환경 봉사단 조직 및 운영 여부, 환경 정화의 날 운영 여부, 환경보전 실천카드 활용 여부, 환경보전 지역 중점과제 설정 여부 등을 들었다. 또한 98 학교 환경교육 자율평가표 분석 결과 98 서울시 중학교 환경교육 내용 중 가장 잘 된 것은 알뜰시장 개최와 재활용품 분리 수거함 운영이며, 반면에 가장 점수가 낮은 것은 어머니 환경봉사단 조직 및 활동과 환경학습실 설치 및 운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환경교육 업무가 교육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교평가에 환경교육 목표 지향적인 내용을 포함시켜야 하며, 교무분장에서는 환경 부서를 조직하여 체계적으로 업무를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학교에 요구하는 보고 공문의 내용은 구체적이어야 하며 평가 내용은 현실성 있게 수정하거나 지역성 및 시대성을 고려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환경 특별활동반 활동이 교육적 효과가 큰 만큼 환경반 운영을 의무화하고 환경 교과 및 업무의 체계적인 운영을 뒷받침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장치하여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chool evaluation on the accomplishment of goals in environmental education, to identify the status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after a lot of schools abolished the division of environmental affairs from the school organization in 1998,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various definitions and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Secondly, purposes of evaluation i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role of division of environment affairs, and divisions related to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in 1999 were analyzed. Third, a survey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was conducted. Lastly, evaluation status of administration i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in 1998 was analyzed. The result indicates that both schools and Ministry of Education offer few evaluation standard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Most schools have abolished division of environmental affairs because of the reorganization of school system, which focuses subject- and aptitude-based education. Today, most parts of middl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are practiced in related subjects and special activities. In contrast, independent "Environment" subject and i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are given to students as a minor attention. In addition, the results say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related activities are the responsibilities of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The teachers responded that such activities a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Mothers social service, management of environment day, us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card, and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were not effective and should be abolished. The evaluation data in 1998 gave high scores to the flee markets and recycling booths in middl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contrary, Mothers activities in the organization of environmental social service and the establishment of roo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practice got the lowest score. Therefore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effective only when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 included in school evaluation. In addition, division of environmental affairs should be revived and systematically operated in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