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미선-
dc.creator전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3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0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5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87-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는 닫힌 공간 수업에서 열린 공간 수업으로, 수동적 지식 전수 수업에서 능동적 문제 해결 수업으로, 암기회상 중심 수업에서 창의적 사고 중심 수업으로, 현재와 과거 이해 중심 수업에서 미래 예측 중심 수업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학습자의 개별화와 상호작용성을 극대화하는 교육체제로 자리잡게 된 것이 웹기반 학습이다. 본 연구는 웹기반 학습을 위한 홈페이지를 개발·적용하여, 이를 이용한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과 비교하여 학업 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실험집단에서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따른 각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 164명으로,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하였고, 실험집단은 웹기반 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단원은 중학교 과학「동물의 구조와 기능」단원으로 약 7주 동안 9차시에 걸쳐 수업 처치를 하였다. 수업 처치 이전에 학업 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서 컴퓨터에 대한 태도 검사 점수에 따라 태도 수준을 상·하로 나누었다. 수업처치후 각 학습집단에 대하여 사후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만 컴퓨터에 대한 태도별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결과는 SPSS 10.0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웹기반 학습은 학업 성취도 면에서 전통학습보다 효과적이었다.(p<.05) 그런데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 남·여 학생 모두 웹기반 학습이 효과적이지 않았다(p〉.05). 또한, 학업성취도에 대하여 수업방법과 성별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는 없다(p〉.05). 웹기반 학습은 과학에 대한 태도 면에서 전통학습보다 효과적이었으며(p<.05),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여학생들에게 웹기반 학습이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p<.05). 또한, 과학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수업방법과 성별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다(p<.05). 실험집단에서 컴퓨터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 태도가 낮은 집단은 55.00%, 태도가 높은 집단은 45.00%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학업 성취도는 태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효과적이었으며(p<.05),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여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다(p<.05). 실험집단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는 태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효과적이었으며(p<.05),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는 여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다(p<.05). 웹기반 학습은 전통학습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방법이며, 컴퓨터에 대한 태도가 높은 집단이 컴퓨터 매체를 이용한 수업에서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웹기반 학습은 여학생이 선호하는 과학 수업 형태라고 할 수 있다.; The 21st century requires a whole new paradigm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sharply contradicts the previous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other words, the overall paradigm of education has changed from closed to open education, from passive reaction to active problem solving, from rote memorization or recollection of facts to creative thinking, from understanding present and past to predicting the future. Web-based learning has been considered to fit the needs of teachers and learners of this century, and its ultimate purpose is to maximize individual and intera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learning material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For this purpose, special home page was developed to be used to compare the web-based learning with the traditional learning in terms of scholastic achievement and attitude for science. 164 middle school second year students participated the experimental study, in which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in traditional way while the experiment group was taught on line. It lasted for 9 periods for 7 weeks and the subject wa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nimals. Pre-study for scholastic achievement and attitude for science was done, and the experiment group was divided into two levels according to the score of computer interest test.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web-ba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terms of scholastic achievement. However, gender analysi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Secondly, web-ba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terms of attitude for science. Gender analysis showed more improvement only for girls. Thirdly, the experiment group with higher interest for compute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group with lower interest in terms of scholastic achievement. Fourth, the experiment group with higher interest for compute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group with lower interest in terms of attitude for science. Therefore, Web-based learning, compared with that of traditional way,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 and attitude for science, and those with higher interest in computer are likely to show more progression in computer-assisted learning and teaching situation. Also, it seems to be preferred by girls more than boy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I. 이론적 배경 = 4 A. 구성주의와 웹기반 교육 = 4 B. 웹기반 교육과 인터넷 = 6 1. 웹기반 교육의 정의 = 6 2. 웹기반 교육의 특성 = 8 3. 웹기반 학습환경의 특징 = 12 C. 인터넷을 활용한 교수 전략 = 16 1. 교수 전략 = 16 1) 자료 검색형 = 16 2) 개별 학습형 = 17 3) 의사 소통형 = 17 4) 프로젝트 활동형 = 18 2. 웹기반 학습의 모형 = 18 1) 자가 학습형 WBI = 18 2) 자료제시형 WBI = 19 D. 인터넷 활용 학습 모형 = 22 E. 웹기반교육에서의 교수-학습 전략 = 23 1. 문제해결수업 = 23 1) 문제해결의 정의와 필요조건 = 23 2) 인터넷에서의 문제해결 활동의 의미 및 특징 = 24 3) 교육적 활용 = 24 2. 토의수업 = 25 1) 토의 수업 개념 = 25 2) 웹기반교육에서 토의 방법 = 26 3. 탐구학습 = 27 1) 탐구학습 정의 = 27 2) 웹기반교육에서 탐구학습 방법 = 27 3) 성공적인 웹기반 탐구학습을 위한 유의점 = 28 F. 선행연구 = 29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32 A. 연구 대상 = 32 B. 연구 설계 = 32 C. 연구 단원 = 34 D. 연구절차 및 검사도구 = 34 1. 웹기반 학습을 위한 홈페이지 개발 = 35 2. 검사 문항의 개발 및 선정 = 38 1) 학업성취도 검사도구 = 38 2)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 = 38 3) 컴퓨터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 = 38 4) 웹 기반 학습 인식에 대한 설문지 = 39 3. 사전 학업 성취도 검사 실시 = 39 4. 사전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및 컴퓨터에 대한 태도 검사 실시 = 39 5. 수업 처치 = 39 1) 조편성 = 39 2) 수업 과정 = 40 6.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 실시 = 43 7. 사후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실시 = 43 8. 웹 기반 학습에 대한 인식 설문 조사 실시 = 43 E. 자료 분석 방법 = 44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45 A. 수업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 = 45 1. 수업방법에 따른 집단별 학업성취도 분석 = 45 2. 수업방법에 따른 성별 학업성취도 분석 = 47 3. 수업방법과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 49 B. 수업방법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 = 50 1. 수업방법에 따른 집단별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 50 2. 수업방법에 따른 성별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 51 3. 수업방법과 성별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 55 C.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 = 56 1.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따른 집단 별 학업성취도 분석 = 57 2.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따른 성별 학업성취도 분석 = 58 D.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결과 = 60 1.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따른 집단 별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 60 2. 컴퓨터에 대한 태도에 따른 성별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 = 61 E. 웹기반 학습에 대한 인식 설문 조사 결과 = 64 V. 결론 및 제언 = 67 참고 문헌 = 69 부록 1 학업성취도 검사문항의 내용 타당도 의뢰서 = 76 부록 2 학업 성취도 검사지 = 77 부록 3 학업성취도 문항의 내용 타당도 검사 결과 = 84 부록 4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 = 85 부록 5 컴퓨터에 대한 태도 검사지 = 86 부록 6 웹 기반 학습에 대한 인식 설문지 = 87 부록 7 웹 기반 학습 수업 지도안의 예 = 89 부록 8 1차시 개별 학습지 = 92 부록 9 1차시 모둠학습지 = 94 부록 10 1차시 형성평가지 = 96 부록 11 과학 관련 유용 웹사이트 안내 = 97 부록 12 생물사랑 홈페이지 = 100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93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과학교과의 자극의 감각과 반응 단원에 대한 웹기반 학습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