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여백의 조형성에의한 Floral패브릭 디자인

Title
여백의 조형성에의한 Floral패브릭 디자인
Authors
정자은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텍스타일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그계적이고 사이버적인 즉 인간 감정의 흔적을 느낄 수 없게하는 많은 것들에 둘러 쌓여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정신과 마음속에는 휴머니즘과 자연주의를 갈망하고 특히 동양인의 사상인 자연, 인간, 그리고 인간의 문화적 정취를 비경으로 동양사상에 귀를 기울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자연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는 인간은 자연의 끊임없는 변화와 조화속에서 영향을 받고 계속적인 관찰을 통해 미(美)를 발견하고, 그를 표현의 대상으로 삼아 새로운 예술미를 창조해 나가고 있다. 현대에 들어 복잡하고 답답함 속을 벗어나 여유를 찾으려는 경향이 많아지고, 부드럽고, 자연적인 모티브를 사용한 디자인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의 디자인은 당 시대의 문화적, 사회적 정신을 반영하는 중요한 도구로서 뿐 아니라, 문화적 가치 및 상업적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수단으로서, 국가의 경제 전략적 측면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시기이다. 따라서 텍스타일 디자인에서도 동양의 아름다운 미(美)의 의식이나 사상, 회화 등에서 나타내어지는 즉, 동양의 전통성을 현대적인 의미나 방법으로 재창조하여 보다 창조적이고 아룸다움을 나타낼 수 있는 노력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동양의 사상에 기반을 둔 여백(餘白)을 이용하여 나타내어 지는 패브릭을 제작함으로서, 동양의 미의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다양한 텍스타일 디자인으로서의 새로운 표현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Floral의 상징과 의미를 알아본다. 둘째, Floral 패턴의 발달과정을 살펴본다 (시대별 19C, 20C, 21C) 셋째, Floral 패턴의 실제적용 사례들을 살펴본다(어패럴중심으로) 넷째, 동양화 기법중 여백의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고 여백에 의한 화면 구도들을 살펴본다. 다섯째, 여백의 조형성에 의한 디자인들을 살펴본다. 여섯째, 동양화의 기법인 발묵과 구륵법을 알아보고, 동양화의 표현기법이 섬유에도 가능한지를 알아본다. 본 작업은 꽃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 기법으로 작업하였다. 첬째, 동양화 기법의 발묵과 구륵, 그리고 선묘법을 응용하여 꽃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둘째, 염료의 번지는 효과를 살려 면(面), 즉 공간 미(美)를 살린 꽃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자는 인간화, 그리고 자유로운 삶을 표현하고자하는 경향의 인간중심의 사상들을 우리의 전통적인 회화정신에서 나타내어지는 미(美)중에서 동양회화의 여백(餘白) 을 응용하여 디자인의 도식화된 문양위주가 아닌 회화적인 표현과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감동을 동양적인 시선으로 바라본 꽃 을 모티브로 하였다. 여백이 가져다주는 여유로움 과 꽃이 가지는 아름다움 을 나타내어 인간이 누릴 수 있는 행복, 자유, 평화 등을 표현하고, 나아가 고부가가치의 패브릭 디자인을 연구하는데 있다.; We are living in the world surrounded by mechanical and cybotic things which make us not feel trace of noe s emotion well. However, our sirits pursuit humanism and naturalism and it is likely to be interested in asian philosophy emphasized in human and nature these days. Even in art it is tended to find unique individuality apart from modernism trend which is regarded a bit figurative and limited. Also humans relate to nature closely and are affected and inspired by its endless changes and harmony. They discover beauty through constant observation on it and keep creating art by expressing the nature. Design today is an important tool not only to reflect cultural and social spirit of a country but also to produce cultural and commercial high value-added. Thus it is time to encourage textile industry to recreate asian traditional beauty in modern meaning and technic in aspect of a nation s economic strategy. In regarding to recreation of asian beauty, here I present new design to express modern interpretation of asian traditional art on fabrics by using emptiness based on asian philosophy.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ar: First, to find conception and meaning of emptiness in asian paintings and check compostion of a picture balancing with emptiness . Second, to present fabrics designing by using emptiness in modern textile design and check the effect by using it. Third, to study symbolism of flowers and flow and developing process of floral pattern in textile design. Fourth, to check diverse ways to depict flowers and flower-motif printed evening wears. In these thexile works, there are two ways to express flowers. First way is using linear and sectional touch in emphasis on asian linear beauty of art. The other one is using effect of spreading dyes and space. Ifound humanism and natural life syle in spirit of Korean traditional art and applied emptiness and flower motifs in my works. Thus the main ideas of this study are to express happiness, freedom, peace in humanism by adopting latitude of emptiness and beauty of flowers, furthermore, my study shows potntial of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high value-added fabric desig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텍스타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