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6 Download: 0

키덜트 소비자의 선호색과 캐릭터 제품 색채와의 상관성 연구 : 주요 성공캐릭터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키덜트 소비자의 선호색과 캐릭터 제품 색채와의 상관성 연구 : 주요 성공캐릭터 사례를 중심으로
Authors
전서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는 소비자 중심의 대량 생산 시대로서 발달된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에 대한 선택의 기회가 소비자에게 확대, 제공되어 소비자는 소비 행위의 기준으로 제품의 기능적 가치 보다 감성적 가치 를 더 중요시 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의 감성적 가치 를 결정 짓는 세가지 요소인 형태, 질감, 색채 중 색채가 인간의 정서와 감정에 밀접한 정보들을 상징화하거나 다른 감성적 시각 표현들과 함께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현대 사회에서 감성적 가치 에 호소하는 대표적 상품인 캐릭터 상품의 디자인에 있어 색채의 중요성은 더욱 확대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캐릭터 상품의 색채와 실질적 상품 소비자의 선호색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현재 소비자의 요구(needs)와 상품 색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고자 한다. 정보 취합 과정은 적절한 소비 계층 선택, 설문 조사, 상품 측색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캐릭터 상품에 대한 적절한 소비자 집단을 고려해 볼 때, 감성적 가치 를 존중하는 현대 사회의 소비 심리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며 성인 캐릭터 상품의 주 소비계층이라 할 수 있는 키덜트 집단을 선택하였다.이들 키덜트 집단은 설문을 통해 구분되며, 30대 이상의 일반 성인 중 캐릭터 상품에 대한 대부분의 소비자인 여성을 대상으로 아동의 소비 행태와 유사한 성향을 보인 100명을 선정하여 그들을 키덜트로 정의한 후 그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선호색을 조사하였다. 상품 측색의 경우, 키덜트 캐릭터상품의 측색을 위해 1차 설문에서 선호된 빈도수가 높은 캐릭터 상품들을 주 대상으로 직접 측색 하였고, 그 결과를 먼셀(Munsell)값을 기준으로 색상(Hue)과 톤(Tone)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어린이의 소비취향을 가진 성인 이란 키덜트의 정의를 검증하기 위해 아동캐릭터 상품도 함께 측색 후 분석하였다. 측색 대상은 일부 애니매이션과 기타 다른 멀티미디어로부터 파생되어진 캐릭터상품이 아닌 캐릭터자체로 부터 생산 된 캐릭터 상품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키덜트로 분류된 집단의 주관적 소비관과 감성적 소비행태를 알 수 있었고, 측색 결과 키덜트의 선호색이 아동 캐릭터상품의 사례 연구 (case study) 결과와 같이 vivid 군의 난색계열 성향에 크게 분포하고 있어 이를 통해 키덜트란 아동의 소비 취향을 가진 어른 이라는 정의가 타당함을 알 수 있다. 키덜트 캐릭터상품의 사례 연구 (case study)에서도 vivid 군의 난색계열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여 키덜트의 선호색과 비슷한 분포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색상 분석 결과, 산리오 상품의 측색 결과가 RP와 R의 계열의 색상에 많이 분포하여 조사 제품 중에서 키덜트의 선호색 분포와 가장 유사했다. 현재 가장 많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산리오 제품에서 소비자의 선호색과의 일치도가 가장 높다는 사실로부터, 감성적 소비로서 현대 사회의 소비 심리를 대표하는 키덜트 집단에게 상품 구매에서의 색채가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인식 할 수 있다. 따라서, 치밀한 색채 분석이 현대인의 소비 심리 유발의 가장 효과적인 출발점이라 할 수 있겠다.; In modern times, as the consumer-oriented mass-production age, consumers come to haaave expanded options for various high-quality products based on technology development. As A result, they regard an emotional value of the product as more important tnan a functional value of it. The emotional values i.e. images of the products are determined by three elements of their shape, texture and color. Among these elements, the color gives a significant important increasingly in the field of the modern product design and especially in the character goods which is a typical product of the appealing products to human s emotions. In this paper, we try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color and consumer s needss by analyzing colors of the existing character goods and color preference of substantial consumers. There are three stages in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 reasonable selection of consuming group, classifying questionnaire survey, case study of character goods about color. Foremost, the kidult group, who is the major consuming class of the adult character goods. These kidults should be assorted the question, and then we can choose one hundreds women. whose characteristic is similar with that of kids about purchasing activity, for the analsis of their lifestyles and color preference. On the one hand, we only onsidered women as consumers because the most consumers for the character goods are women in general. In case study aboit color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the character goods frequently referred in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Subsequently, we classified the color into Hue and Tone based on Munsell value. Moreover, in order to verify the definition of kidult - an adult sho has the purchasing taste of a kid , we also investigated the colors of the character goods only for kids. We also limit the object to the character goods characterzed in-itself, not derived from another animations or multimedia. In consequence, from the analysis of kidults; lifestyles, we confirm the subjective purchasing activity of kidult based on emotional value . In addition, from the fact of that the distribution of kidults colof preference is located pricarily in a vivid group of warm color like in kids character goods, we can balidae the definition of kidult . In case study about Tone for kidults character goods, the colors are also intensively distributed on a vivid group of warm color. In the analysis of specific Hue, sanrio , the most successful character goods, shows the outstanding consistency between color preferences of kidults as major consumers and color measurements of their products. From this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olor is one of the main factors in the successful character goods and precise analysis fot Hue and Tone of colors gives the most effective way to create the consuming activity of the moder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