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입원한 암환자의 통증, 불안 및 수면 질의 관계 연구

Title
입원한 암환자의 통증, 불안 및 수면 질의 관계 연구
Authors
곽민정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lthough the past several decades have brought major advances in our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ncer, a medical care for cancer has not evolved. The sources of stress associated with a cancer diagnosis include fear of death, progression of disease, and changes in social relationship. Cancer patients experience pain and a range of psychological symptoms including anxiety; both of these symptoms occur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cancer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se symptoms are caused by sleep disturbance in the cancer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pain, anxiety and the quality of sleep in the cancer patient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112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in a S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April 3 to April 20, 2001. The present study used the Visual Analgue Scales of Pai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nd the VSH sleep scale. This study calculated frequencies, arithmetical means,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apply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analysis of data, and examined them by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intensity of pain was 3.25 (SD=±3.05). This score reflected a mild level of pain. 2. The mean anxiety level was 47. 42 (SD =±12.88). This score reflected a comparatively high level of anxiety. 3. The mean of sleep quality was 42.21 (SD =±16.36). This score reflected a moderate level of sleep quality. 4. As patient s intensity of pain was higher, the anxiety level were higher (r=0.346, p=0.000). Patients with higher anxiety reported lower sleep qualities(r=-0.467, p=0.000). In addition, patients who experienced more pain, reported more sleep disturbances(r=-0.520. p=0.000). 5.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gree of pain were age (F= 3.527, p=0.010), the education level(F=2.900, p=0.038), and the occupational status(t=-2.654, p=0.006).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nxiety level were the education level(F=2.900, p=0.034), and the occupational status(t=-0.321, p=0.003).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was age(F=7.878, p=0.000). 6. The hospitalization variabl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gree of pain was room structure(F=3.737, p=0.027). The origin of caner and treatment metho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nxiety level(F=2.811, p=0.043 ; F=5.348, p=0.001).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and origin of cance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t=2.344, p=0.021 ; F=2.975, p=0.035). In conclusion, it is evident that when nurses treat cancer patients, it is required to evaluate the pain, anxiety, and quality of sleep, an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for intervention. The suggestion based on the conclusion are as follows: The data of present study was collected from the cancer patient hospitalized in only one hospital,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It is desirable for the future studies to carry out a repeating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stage of cancer and cause of pain; 암은 과학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치료가 개발되지 않은 질병으로 발생률과 사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암은 치료나 질환 자체로 인한 통증을 수반하며, 이런 통증은 불안을 야기한다. 이러한 통증과 불안은 암환자의 수면의 질에도 영향을 미쳐 이런 것들을 잘 조절하지 못하면 암환자가 건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암환자의 통증, 불안, 수면의 질에 대한 사정과 중재가 요구된다. 또 암환자의 통증, 불안, 수면은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입원 특성과도 연관이 있다. 따라서 통증, 불안, 수면과 관련 있는 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암환자의 간호사정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중재시에 근거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입원한 암환자의 통증, 불안, 그들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관련이 있는 제 특성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1년 4월 3일부터 20일까지 서울시내에 소재한 S병원에서 암 진단을 받고 입원 중이고 자신의 질환에 대한 병식이 있는 암환자 112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면시에 느끼는 통증 정도를 Zimmerman(1996)이 사용한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로 측정하였다. 불안측정은 Spielberger(1975)의 State-Trait Anxiety Inventory로 김정택(1978)이 한국인에 맞게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Cronbach s α=0.95). 수면의 질 측정은 Verran & Synder -Halpern(1987)이 개발한 8문항의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Cronbach s α= 0.90). 수집된 자료는 SPSS-PC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과 평균 및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통증 정도는 평균 3.25점으로 경증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불안의 정도는 평균 47.42점으로 비교적 높았다. 총 수면점수는 42.21점으로 보통 수준 정도의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가 높을수록 불안의 정도가 높았고, 통증과 불안의 정도가 높으면 수면의 질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통증과 불안정도와 관련이 있는 일반적 특성은 연령, 교육 정도, 직업이었으며, 연령은 수면의 질과 관련이 있었다. 4. 통증과 관련이 있는 입원관련 특성은 병실구조가 있었고, 불안의 정도는 암 발생부위 및 치료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입원경력과 암발생부위는 수면의 질과 관련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입원한 암환자들은 통증과 불안을 느끼고 수면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경험했고, 통증과 불안 및 수면은 서로 연관이 있었다. 또한 연령은 통증, 불안, 수면의 질과 관련이 있었으며, 교육정도와 직업은 통증과 불안과 관련이 있었다. 치료방법은 불안과 관련이 있으며, 입원경력과 암발생 부위는 수면의 질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사는 암환자를 접할 때 그들의 통증, 불안, 수면의 질을 사정하고 이들이 상호 연관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간호 중재를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통증, 불안, 수면의 질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과 입원관련 특성에 대한 사정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