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운동에 대한 지식, 신념 및 행위에 관한 연구

Title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운동에 대한 지식, 신념 및 행위에 관한 연구
Authors
권경자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생활수준의 향상과 현대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은 연장되고 있으나, 만성질환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당뇨병은 가장 흔한 만성질환의 하나이며, 전 인구의 5%발생빈도를 보이는 등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당뇨병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수행하면 정상인과 다름없는 건강한 생활을 누릴 수 있다. 규칙적인 운동은 당뇨병 환자의 관리와 치료에 중요한 요소이며, 규칙적인 운동은 체내 혈당 조절 기능을 강화시키고 심혈관계합병증을 예방함으로서 사망률을 감소시킨다(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1999). 또한, 당뇨병 환자는 다른 일반인들과는 달리 운동을 행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위험이 존재하므로 적절한 운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당뇨 환자들의 운동 행위 및 운동지식, 운동 신념, 운동을 행하고 있는 당뇨환자들이 안전하고 올바르게 운동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뇨 환자의 운동에 대한 지식, 신념 및 운동 행위를 조사하고, 운동에 대한 지식, 신념 및 행위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구체적인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2001년 4월 7일부터 4월 30일까지 서울시 소재 3개 병원에 당뇨병 진단을 받고 외래를 방문한 환자 114명을 임의 표출하여 설문지 조사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총 67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7문항, 질병 특성 6문항, 연구자가 개발한 운동 지식 측정도구 17문항, Loman(1996)이 개발한 운동 신념 측정도구 15문항, 운동 행위 6문항, 연구자가 개발한 안전운동 지침 이행 측정도구 16문항으로 구성되으며, 본 연구의 Cronbach s alpha 는 운동 지식 도구0.82, 운동 신념 도구 0.79, 안전운동 지침이행 측정 도구 0.86로 나타났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PC+와 SAS를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순위, 표준편차, Oneway ANOVA, Schffe test, t-test, Chi-square test, Mantel-Haenszel Chi-square test, Pearson Correlation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운동 지식 정도는 평균 11.15±1.93으로 나타났으며, 문항별로는, 운동을 한 후에도 발 관리를 해야 한다 가 97%의 정답율로 가장 높았으며, 모든 당뇨병 환자는 운동을 꼭 해야 한다 가 15%의 정답율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운동 신념 정도는 평균44.16±6.67로 나타났으며, 운동의 이익성에 대한 신념이 운동의 장애성에 대한 신념보다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의 장애성 중에서도 시간 부족을 가장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운동 행위를 살펴보면, 대상자의 62.3%가 운동을 행하고 있었으며, 운동 종류로는 걷기를 가장 많이 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기간은 6개월 미만을 행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주로 일주일에 5-6일정도, 40분 이상에서 1시간 미만으로 운동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 시기는 식사 후 바로 운동을 행하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안전운동 지침 이행 정도는 평균 46.50±6.72로 나타났으며, 운동의 내용을 기록해 둔다 운동을 한 후에 혈당을 체크한다 , 운동을 하기 전에 혈당을 체크한다 , 운동에 대해 정기적으로 의사나 전문가와 상담을 한다 는 이행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5. 운동 지식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것은 성별, 연령, 직업, 가족의 월수입, 질병 이완기간, 당뇨 교육 경험 유무, 치료 방법이었으며, 운동신념은 교육 정도, 직업, 질병 이완기간, 당뇨 교육 경험 유무, 치료방법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교육 정도, 직업, 가족의 월수입, 치료방법이었다. 6. 운동 행위를 하고 있는 집단이 운동 행위를 하고 있지 않은 집단에 비해 운동 지식, 운동 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 지식과 운동 신념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운동 수행율은 선행연구에 비추어 보았을 때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운동 행위에 운동에 관한 지식과 신념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당뇨병 환자의 운동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운동에 관한 지식과 신념을 높여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뇨병 환자가 스스로 안전하게 운동을 하기 위해 운동 행위시 자기 관리를 올바르게 하고, 운동이 당뇨병 환자의 삶의 증진의 한 방안이 되도록 운동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선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운동 행위에 운동 지식, 신념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으나, 타 변수와의 관계는 살펴보지 못했으므로 추후 당뇨 환자의 운동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타 변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2. 당뇨병 환자의 운동 지식과 신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교육자의 교육 프로그램 역시 이루어 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knowledge, belief and behavior on exercise of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belief and behavior on exercise. The subject of this study performed through questionnaire was 114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from April 7 to April 30 at 3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otally 67 questions. In detail they consist of the Exercise Knowledge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from investigation of documentary record, Exercise Belief scale developed by Loman(1996) and Exercise Behavior assessment tool by the researcher.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ranking,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Cronbach alpha coefficient, t-test, Scheffe test, Chi-square test, Mantel-Haenszel Chi-square test using SAS/PC+ program, The result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ound to have the average 11.15 ±1.93 regarding knowledge on exercise. The highest correct-answering-ratio ,97percents, item was that DM patients must do foot even care after exercise and, the lowest correct-answering-ratio item was that all DM patients must exercise . 2. The mean of exercise belief was 44.16±6.67. By items ,those of the benefit from exercise was ranked higher than those of exercise barriers from the point of view in perceiveness. Among barriers, time lack was conspicuously perceived by most of subjects. 3. It was proven that Sixty-two percents of the subjects were doing exercise behavior. They exercise by walking most among a variety of exercises. And, Most of them assume an aspect of continuing to exercise just for six months, 5-6 days per week, and 40-60minutes per day. The mean of safety exercise guideline compliance was 46.50 6.72. 4. Exercise knowledg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sex, age, job, family earnings per month, disease duration, experience of diabetic education and treatment method. And then Exercise belief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educational level, job, disease duration, diabetic educational experience and treatment method. Exercise behavior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 educational level, economic state and treatment method. 5. Compared with non-exercising group, on-exercising group has the more exercise knowledge and the higher exercise belief. Bu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exercise knowledge and belief .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exercise behavior ratio of NIDDM patients has continuous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y, and knowledge and belief on exercise of NIDDM patients exert meaningful effect influence upon therir exercise behavior. Therefore, for promoting their behavior on exercise, it is necessary for us to encourage them to have further their knowledge and belief on exercise. In additi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specific exercise education program are indispensable for patients not only to manage risks resulting from exercise and but also to make the most of exercise for building up their health. So I want to suggest as follows on the base of the result of this study. 1. It is certain that exercise knowledge and belief have an influence on exercise behavior ,that is, they are variables of exercise behavior. But as not examining other variables, it is needed to research those that have an influence on exercise behavior. 2. In order to increase the exercise knowledge and belief of DM patients, an efficient exercise education program are to be developed. And also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or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