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영-
dc.creator박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5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08-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여성들은 일생동안 최적의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으나 요실금은 그 주요 원인이 임신, 분만, 페경 등 여성의 삶과 깊게 연관되어 여성에게서 높은 유병율이 보고되고(김효정 1997 ; 이효숙 1998 ; 서정빈 1999)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질환으로(이명희, 신경림 2000 ; 주민선 1998 ; Loughrey 1999), 여성들의 건강과 질적인 삶에 장애가 된다. 이러한 요실금은 여성들이 증상을 당연시하고 공개하기를 꺼려함으로 인해 적극적인 중재가 되지 않고 있으나(이명희, 신경림 2000 ; 주민선 1998) 골반근육 운동요법은 경제성과 안전성을 갖추어 요실금에 대한 일차적 간호중재로 합당하며 요실금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urgio 1998 ; Bo 1999 ; Dougherty 1998 ; 윤혜상 1998 ; 홍재엽 1997a). 이러한 골반근육운동이 치료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운동이행이 결정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Mokved & BO 1997). 그러나, 골반근육은 일상에서 사용하지 않고 겉으로 보이지 않는 숨겨진 근육이며 대부분의 여성들이 근육이 존재하는지 알지 못하고 자발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치료자의 교육 후에도 많은 여성들이 적절하게 운동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ampselle et al 1997). 여성들의 운동이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골반근육운동 교육비디오를 사용한다면, 눈으로 보이지 않는 근육을 그래픽 화면으로 보여줌으로써 대상자들의 지각영역을 확대시키고, 주의와 환기를 일으켜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반복시청이 가능하므로 6개월 정도의 인내심이 요구되는 골반근육 운동을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시행 할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부분만 느린 동작이나 화면정지의 기능을 활용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요실금에 대한 골반근육운동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데 유용할 것이다(박효정 2001).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여성을 대상으로 비디오를 교육매체로 이용하여 골반근육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설계로서, 요실금 증상을 자가 보고한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4명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1년 3월 8일부터 5월 20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인 골반근육운동은 박효정(2001)이 개발한 비디오 『요실금으로부터 자유로운 여성 : 골반근육운동』을 교육매체로 이용하여 주 1회 집단 교육하였고, 학습한 운동을 매일 가정에서 6주간 실시하게 하였다. 요실금에 대한 골반근육운동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객관적 도구는 최정점 질수축압, 평균 질수축압, 질수축 지속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페리니오 미터를 사용하였고, 주관적 도구는 요실금 유형과 하부요로 증상, 일상생활 불편감, 성생활 불편감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화된 설문지(Jackson 1996)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8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산과적 특성, 요실금 유형에 대한 자료를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였고, 두 집단 간의 사전조사 동질성 검증은 Fisher s Exact test 또는 Chi-Squared test와 Wilcoxon s Rank Sum test를 하였다. 골반근육운동 전·후 요실금에 대한 주관적 점수와, 최정점 질수축압, 평균 질수축압, 질수축 지속시간의 변화량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Wilcoxon s Rank Sum test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전조사에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Chi-Squared Test 또는 Fisher s Exact test와 Wilcoxon 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골반근육운동 전후 두 집단 간 최정점 질수축압, 평균 질수축압, 질수축 지속시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Wilcoxon 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최정점 질수축압(p=0.0001), 평균 질수축압(p=0.0001), 질수축 지속시간(p<0.0001)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골반근육운동 전후 두 집단 간 하부요로증상의 변화를 Wilcoxon 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야뇨(p=0.0280), 요실금에 대한 대책(p=0.0099), 요실금 대책 횟수(p=0.0099), 배뇨도중 끊김(p=0.0035) 문항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이 밖에 빈뇨, 절박뇨, 요실금 횟수, 요실금의 양, 의복교환, 배뇨지체, 소변줄기의 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대조군에서 보다 실험군에서 하부요로 증상 점수가 더 많이 감소하였다 4. 골반근육운동 전후 두 집단 간 성생활 불편감의 변화를 Wilcoxon 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골반근육운동 후 두 집단 간의 일상생활 불편감의 변화를 Wilcoxon 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수분섭취제한, 화장실 없는 장소의 회피, 신체활동 지장, 남편, 친구관계의 지장의 경우 실험군에서 평균점수가 더 크게 감소했다. 6. 골반근육운동 후 두 집단 간 주관적 측정의 전체적인 개선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하부요로증상, 성생활 불편감, 일상생활 불편감의 문항에 대해 각각 합을 내어 운동요법 실시 전후의 변화정도를 Wilcoxon s Rank Sum test로 검정하였다 1) 하부요로증상의 경우, 골반근육운동 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하부요로증상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졌다(p=0.0048). 2) 성생활 불편감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골반근육운동 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평균 점수가 더 많이 낮아졌다. 3) 일상생활에 불편감의 경우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실험군은 운동 후 증상이 점수가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오히려 점수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실금 여성에게 비디오 교육을 이용한 골반근육운동 시행 후 질수축압의 향상과 하부요로증상의 개선이 나타났고, 일상생활 불편감과 성생활 불편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몇몇 문항의 경우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더 많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디오 교육을 통한 골반근육운동은 요실금 여성에게 효과적인 중재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간호연구 측면 골반근육운동에 대한 비디오 교육과 기타 교육과의 비교 연구와 여러 지역에서 많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효과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2. 간호실무 측면 지역사회, 보건소, 병원의 건강 교실을 통해 골반근육 운동의 이행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3. 간호교육 측면 요실금 증상을 사정·평가·중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문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요실금을 겪는 대상자의 가족, 그들을 돌보는 사람에게 요실금 관리에 대한 기초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elvic muscle exercise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with the application of video. The subjects consisted of 31 urinary incontinence women who assigned to 2 groups : 17 to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and 14 to control group. Information about urinary incontinence and pelvic muscle exercise were given in forms of video. Treatment protocol lasted for 6 weeks. Peak pressure, average pressure and duration of pelvic muscle contraction were evaluated by perineometer. Also, Urinary Symptom Questionnaire developed by Jackson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Wilcoxon s Rank Sum Test with SAS program. 1. Peak pressure in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001), and average pressure(p=0.0001) and duration of pelvic muscle contr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p<0.0001) in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2. Lower urinary symptoms in the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048).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xual matters. 4.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fe style. Because of limited sample size, the study results could not be perfectly generalized. However, effectiveness of the pelvic muscle exercise with application of video for the community residing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is sugges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A. 여성 요실금 = 6 B. 골반근육 운동 = 15 III. 연구 방법 A. 연구설계 = 25 B. 연구대상 = 26 C. 실험처치 = 27 D. 연구도구 = 28 E.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30 F. 자료분석 방법 = 31 IV. 연구 결과 = 32 V. 논의 = 45 VI.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6 부록 = 69 영문초록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16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요실금에 대한 골반근육운동 효과검증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