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종화-
dc.creator백종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25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8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5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인터넷을 새로운 생태학적 양육 환경으로 판단하여, 어머니들의 인터넷 환경 및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어머니의 인터넷 이용이 사회적 지지로서의 기능을 하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며, 인터넷을 통해 얻게 되는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일산에서 표집한 첫 자녀 연령이 만 8세 이하인 250명의 어머니였으며, 질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인터넷 환경 및 이용 형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선행 연구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사회적 지지 측정을 위해서는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척도를 참고로 인터넷 이용이 정보적, 도구적, 정서적으로 어머니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묻는 9개 문항의 질문지를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한편, 양육 효능감은 Wandersman(1978)이 개발한 PSOC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를 신숙재가 번안·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하여 상관관계, 교차분석, t 검증, 일원변량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의 인터넷 환경은 약 90%의 높은 컴퓨터 보유율과 61%의 초고속 인터넷 접속률로 나타났고, 83.6%가 인터넷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들의 인터넷 이용 행동의 특징은 이용 동기, 인터넷으로 주로 하는 일, 주로 이용하는 사이트 등에서 보여졌는데 어머니들이 인터넷을 이용하게 된 동기는 주로 자녀양육과 교육 때문이었고 어머니들이 인터넷으로 주로 하는 일은 육아사이트를 통해 양육 정보를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을 통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에서는 정보적, 도구적, 정서적 지지기능 모두에서 사회적 지지를 받는 것으로 지각되었으나, 각 지지 기능에 대한 지각은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특히 다른 집단에 비해 첫 자녀가 6세 이하인 집단에서는 세 기능 모두에서 지지를 받는다고 지각하였다. 그리고 도구적 지지는 가구소득이 중산층 이상인 집단에서, 정서적 지지는 어머니 연령이 35세 이하인 집단에서도 더 많이 지각되었다. 넷째, 인터넷을 통한 사회적 지지는 양육 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인터넷을 통한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원으로서의 기능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첫 자녀연령이 8세 이하인 젊은 어머니들의 인터넷 이용은 보편화 되었고, 인터넷 이용이 주로 자녀 양육 및 교육을 위한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이 사회적 지지원으로서의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얻게 되는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of internet of mother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internet as a social support, and to examine the use of internet on mother s parent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250 mothers of the first child under 8 years old in Seoul and Ilsan.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ere Pearson s correlations, chi-square analysis, t-test, ANOVA, Duncan s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mother s internet use was popular among young mothers. 2. The main reason of searching internet of mothers was to find some informations on parenting as well as child nurturing. 3. By using internet, mothers seemed to get social supports in terms of informational service, instrumental service, and emotional service. And yet, the perceived level of support was significants different, depending on mother s age, level of mother s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the age of the first child. 4.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renting efficacy and social support by internet use were found; That is the more mothers perceived higher supports by internet, the higher efficacy mothers showed. These results implied the possibility of social support via internet for mothers of yuoung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5 A.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양육 환경 = 5 B. 우리 나라의 인터넷 환경 및 이용도 = 7 C. 사회적 지지원으로서의 인터넷 환경 = 10 D. 사회적 지지가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14 III. 연구 문제 = 17 A. 연구 문제 = 17 B. 용어 정의 = 18 IV. 연구 방법 = 20 A. 연구 대상 = 20 B. 연구 절차 = 22 C. 측정 도구 = 22 D. 자료 분석 = 25 V. 연구 결과 = 26 A. 어머니의 인터넷 환경 및 이용 행태 = 26 B. 사회적 지지원으로서의 인터넷 환경 = 40 C. 인터넷을 통한 사회적 지지와 양육 효능감간의 관계 = 44 VI. 요약 및 논의 = 48 참고문헌 = 55 부록 = 62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41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머니의 인터넷 이용실태 및 사회적 지지로서 인터넷 이용이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