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어머니의 분리불안 :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Title
어머니의 분리불안 :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Authors
소언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인성 특성과 아동의 초기 기질이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와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과보호적 양육행동간에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어머니의 분리불안이 어머니 특성 및 아동의 초기 기질과 과보호적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남과 강북에 위치한 8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 3~6세의 자녀를 둔 212명의 어머니들이다. 어머니의 분리불안은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MSAS; Hock, McBride, & Gnezda, 1989) 중 어머니의 일반적인 분리불안 요인을 번안한 안지영과 도현심(1998)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초기 기질은 생후 6~12개월에 아동이 보였던 정서적 특성에 대한 과거 회고식 응답으로 Carey와 Mcdevitt(1978)의 Revision of the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RITQ)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은 Epstein(1983)의 Mother-Father-Peer Scale(MFPS)를, 어머니의 인성 특성은 Eysenck와 Eysenck(1975)의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를 근거로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행동은 Doh와 Falbo(1999)의 척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인성 특성과 어머니의 분리불안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중 수용 대 거부 요인만이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어린 시절에 수용적 양육을 많이 경험한 경우에 어머니는 자녀와 분리되는 것에 대해 불안해 하고, 반대로 거부적인 양육을 많이 경험한 경우에 자녀와의 분리에 대해 덜 불안해 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에, 어머니의 인성 특성은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초기 기질과 어머니의 분리불안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초기 기질의 세 요인들 가운데 접근-회피성만이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즉, 자녀가 생후 6~12개월일 때 새로운 것에 쉽게 접근하는 기질을 가지고 있었다고 지각하는 경우, 어머니는 자녀와 분리되는 것에 대해서 불안을 덜 느꼈고, 반대로 자녀가 새로운 것을 접했을 때 주로 회피하는 반응을 보였다고 지각하는 어머니는 자녀와 분리되는 것에 대해 더 많이 불안해 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과보호적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분리불안은 어머니의 아기취급 행동 및 보호적 행동 모두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어머니의 분리불안이 높을 때, 어머니는 아이를 연령에 맞지 않게 지나치도록 많이 도와주며, 아이가 처한 주변 환경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며 우려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과 인성 특성 및 아동의 초기 기질과 과보호적 양육행동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분리불안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접근-회피성은 어머니의 분리불안을 매개로 하여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 자체보다는 그 기질로 인해 자녀와 분리시 느끼는 어머니의 불안감이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결정하는데 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s characteristics,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The mediating role of maternal separation anxiety was also explored in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s characteristics and over- protective paren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2 mothers of 3~6 year-old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The present study used five kinds of questionnaires based o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 by Hock, McBride, & Gnezda(1989), Revision of the infants Temperament Questionnaire by Carey & Mcdevitt(1978), Mother-Father-Peer Scale by Epstein(1983),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by Eysenck(1975), and Parental Protectiveness scales by Doh & Falbo(1999). The main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experience of parental acceptance vs. rejection in the childhood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maternal separation anxiety. Mothers who experienced higher parental acceptance showed higher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econd, approach-avoidance of a child s initial temperam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maternal separation anxiety. Mothers who perceived that their children had avoidance temperament showed higher maternal separation anxiety. Third,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such as babying and sheltering behavior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maternal separation anxiety. Mothers who showed higher separation anxiety reported higher babying and sheltering behaviors. Finally, maternal separation anxiety mediated in the relations between a child s approach-avoidance temperament and mothers sheltering behavior, indicating that the child s tempera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sheltering behavior. To conclude, the mothers experience in the childhood, a child s initial temperament, and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had significantly related with maternal separation anxiety.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lso mediated in the relations between a child s initial temperament and mother s overprotective parenting. This study showed that maternal separation anxiety might be the important factor of mothers paren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