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대학내 취업지원체계의 여성배제구조

Title
대학내 취업지원체계의 여성배제구조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대졸 여성의 저조한 취업률과 질의 문제가 학교를 통해 유지, 재생산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대졸 여성의 취업에 관한 연구들은 기업, 법과 제도, 여성 개인의 측면에서 주로 논의할 뿐 학교에 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학교를 통해 구체적인 취업준비를 하고 취업기회를 획득한다. 학교는 학생들을 노동력으로서 훈련시키고 이들을 노동시장에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학교는 대졸 여성의 취업문제를 살펴볼 때 중요한 분석단위로 포함되어야한다. 그런데 대학의 취업지원체계들은 남성중심적으로 작동하고 있고 이로 인해 여학생들은 취업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학생의 취업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의 취업지원체계에대해 살펴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취업지원체계가 성차별적으로 작동하는 원인과 조건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리고 대학의 취업지원체계와 노동시장과의 관계를 통해 성별분업구조의 재생산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교 취업지원체계의 직원들과 학생들에 대한 심층면접법과 각종 취업특강과 정규교과과정에 대한 참여관찰법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대학평가와 이미지 제고를 위해 취업률 중심의 취업정책을 사용한다. 경제불황과 교육여건의 변화, 그리고 대학평가체계는 학교간 경쟁을 가속화시키고 있고 취업률은 학교의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대학측은 취업률을 사활이 걸린 중대한 사안으로 여기고 학교간 취업률 경쟁을 한다. 그런데 취업률 중심의 정책은 여성의 취업문제를 간과하고 비가시화 시킨다. 여학생들은 비정규직의 열악한 노동조건에 처해있지만 취업의 질을 고려하지 않는 취업통계는 이를 무시한다. 또한 성별을 주요분석도구로 사용하지 않는 취업통계는 몰성적인 취업지원서비스로 이어진다. 둘째, 학교내 취업지원체계는 남성중심적으로 작동하고 있고 이로 인해 여학생들은 배제를 경험한다. 여학생을 위한 취업관련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힘들고 프로그램 내에서도 여성을 고려한 내용은 거의 없다. 또한 여학생의 구직직종 및 구직조건은 무시되고 있고 성별을 고려한 취업정보는 별로 제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취업지원체계는 남성중심적으로 작동하는데 그 원인은 취업지원체계의 인력부족과 담당자의 여성의식 부재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여학생들은 자신의 요구와는 다른 취업지원서비스로 인해 소외와 실망을 경험한다. 셋째, 학교는 노동시장의 성차별 구조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메카니즘으로 기능한다. 대학은 취업률을 상승시키고자 추천과정에서 여학생을 걸러내고 남학생 위주로 추천한다. 그리고 각종 특강과 수업을 통해 여학생에게 중요한 능력은 용모관리와 전통적 여성다움이라는 점을 가르치고 훈련시킨다. 대학은 여학생을 걸러내는 여과장치임과 동시에 기업의 눈에 맞는 인력을 생산해내는 장으로서 기능한다. 즉, 대학은 자신의 이해와 필요에 의해 노동시장의 성차별 구조를 수용함으로서 성별분업구조를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장치로서 작동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교의 취업지원체계가 여성의 사회참여를 가로막는 장애요인임을 보여준다. 대학은 평등을 교육하고 실현하는 장으로 여겨져왔지만 오히려 성별분업 구조 및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한다. 그러나 대학은 현 성별분업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장이다. 대학에서의 교육과 사회화를 통해 학생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지도한다면 미래사회의 노동시장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교의 취업지원체계의 변화를 통해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을 확대시킨다면 여성의 지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학과 정부 정책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먼저 대학측은 여학생 취업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남녀 학생에게 성평등한 진로교육을 실시하고 특히 여학생의 경우, 취업포부와 직업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여성취업전문가를 반드시 배치해 취업정보 및 추천에 있어 성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둘째, 정부측은 대학내 취업지원체계의 성평등을 이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지원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대학평가체계에 성인지적 관점을 도입하고 교육정책의 수립 및 실시과정에 성별이 고려되도록 한다. 그리고 여성관련법률을 확대, 실시해 기업의 성차별적 채용관행을 철저히 단속함으로서 실제적 평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examined the unemployment of undergraduate women is connected with the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at the university. Until now, many studies on the employment of women were focused on either the law, a enterprise or women themselves. However, the university is a kind of sector which supplies the labor market with labour force. Through the university, students are prepared for their employment and granted a chance to get a job. Nevertheless the university is a important field explaining the employment of high-educated women, the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at the university like job placement agency, career service center, and lectures for employment, is operated for men. This study started out with the awareness that it is crucial to examine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mployment of undergraduate women. I intended to focus on the context where this system is operated in male dominated way. For this purpose, students and staffs who are involved in the employment at the university were interviewed and lectures on the employment were performed by the use of participant observ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designs the employment policy with focus on the rate of employment for its image, but this policy have limits to solve the problems of women s employment. It comes from the truth that the rate of their employment is a important factor evaluating the university. The way to evaluate is accelerated by the economic crisis, ignore the reality that women are the low status in the labour market. Second, women are excluded from the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due to the male dominant service. There are not programs for women s employment in that and women are not considered particularly. Information for women s employment is not founded. Therefore, undergraduate women are alienated from career services. Third, the university is a part of the mechanism that reproduces and enhances the structure of sexual division of labour. Women do not have a even chance to be given recommendation. Women are educated that appearance and femininity are crucial for themselves. School is a field that filters off women before entering the labour market and forces women to try to accept the demand of the labour market. This thesis conceals that the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at the university is an obstacle to the employment of undergraduate women. In order to get over the reality, the abolishment of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recruiting and hiring must be worked out. The following may be appropriate alternatives. First, the university should pay attention to women s employment and perform job education for women and have a specialist for women s employment, who is able to remove sexism in the career services.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carry out various policies which achieve gender equality in the career services of th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take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into consideration through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university an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education policy. Also, the government should reinforce the law that is able to regulate gender discriminatory employment pract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