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소정-
dc.creator이소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3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5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28-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정보생산량의 증가,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외부 환경의 변화 및 이용자 정보요구의 전문화·세분화 경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대학도서관이 주제 또는 학문영역 중심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제별 조직과 주제전문사서의 기능을 중심으로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주제별 조직의 유형과 기능, 주제전문사서의 개념과 기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국내 대학도서관의 현황조사를 위해 39개 국내 대학 도서관을 선정,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제별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특히 국내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운영현황을 주제별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과 현재 운영하고 있지 않은 도서관으로 나누어 조사, 분석하였다. 주제별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운영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조직의 유형은 중앙도서관 내의 주제별 자료실을 운영하는 형태, 주제별 분관을 운영하는 형태, 두 가지 모두를 운영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주제별 조직에 배치된 자료의 형태나 수행하고 있는 업무는 도서관 경영상의 효율성, 인력배치, 건물공간 등 개별 대학도서관의 상황에 따라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행본, 연속간행물, 논문, 전자정보자료를 각 도서관이 정한 기준에 따라 각 주제별 조직에 배치하고 있으며, 특히 전자정보자료의 경우에는 관리의 편의를 위하여 별도의 전자정보 자료실을 운영하는 경우가 주제별 조직을 운영하는 대학도서관 23개관 중 8개관으로 조사되었다. 주제별 조직에서 수행하는 업무는 대개 열람과 정보서비스 업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기관 3개관만이 도서관의 기술봉사부문인 수서와 정리업무까지도 주제별 조직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주제별 조직의 직원은 주제전문사서나 전문적인 주제교육을 받은 사서가 조사대상기관 1개관을 제외하고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주제별 조직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서를 위한 계속교육이나 재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제별 조직에서 필요한 자료의 중복 문제는 자료에 따라 각 도서관에서 중복구입을 하거나, 한 곳에만 소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소장 장소를 적절하게 안내하여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주제별 조직의 운영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조사결과, 아직까지 주제별 조직의 운영을 위한 조직이나 직원의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주제별 조직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주제별 조직 운영상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대학도서관의 인력 부족으로 분석되었다. 그밖에 도서관 직원의 전문성 결여, 도서관 지출의 증가, 이용자의 주제별 정보서비스에 대한 인식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주제별 조직을 운영하지 않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의 특정 주제에 관한 정보요구는 대부분 참고실에서 해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따라서 단행본, 참고자료, 연속간행물, 전자자료 등 자료형태에 나뉘어진 자료실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주제별 조직을 운영하지 않고 있는 대학도서관 16개관 중 8개관이 주제별 조직으로 개편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제별 조직을 운영하는 대학도서관과 마찬가지로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화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주제지식을 가진 사서가 부족하다는 점, 주제별 조직을 담당할 사서와 직원에 대한 전문적 주제지식 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현황분석,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운영방안을 조직, 사서, 정보서비스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의 측면에서 대학도서관은 기능별 조직의 형태에서 효율적으로 자료를 이요하고, 효과적인 이용자 봉사를 제공할 수 있는 주제별 조직으로 개편되어야 한다.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화의 이상적인 모형은 궁극적으로는 각 주제에 따라 일체의 모든 도서관 업무와 자료가 분리되는 주제별 조직이 바람직하지만 국내의 대학도서관의 현실과 물리적 지원의 한계를 고려할 때, 기능별 조직을 전체조직의 틀로 참고봉사의 기능과 자료의 배치를 주제별로 강화하는 정보서비스의 주제별 부문화부터 주제전문화를 점진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주제별 조직의 형태는 도서관내에 주제별로 주제자료실을 설치하는 형태, 특정 주제의 주제자료실을 설치하는 형태, 주제분야에 따라 주제 분관을 설치하는 형태로 나누어 고려할 수 있다. 각 대학도서관은 주제의 성격, 각 주제분야의 장서내용과 규모, 주제별 조직 담당 직원수와 전문성, 건물구조와 공간규모, 봉사유형, 정보기술의 도입, 고유한 조직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형태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서의 측면에서 아직까지 이용자들의 특정 주제분야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주제전문사서가 우리 나라에는 제도화되어 있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특정 주제분야를 담당, 봉사하는 주제담당사서가 타당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주제담당사서는 담당 주제분야의 이용자 및 서지연구, 출판동향의 파악, 참고봉사, 자료선정 및 장서평가 활동을 통해 담당 주제분야의 서지지식을 축적해나가는 인적 자원으로 규명하였다. 주제담당사서의 교육은 주제별 조직으로 전환되기 전에 준비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사전교육과 주제별 조직을 운영하면서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직원 계속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내용은 담당주제에 관한 주제교육과 담당 주제별 조직에서 수행해야 할 업무에 대한 업무교육, 그리고 전체 도서관의 조직내의 주제별 조직간의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한 전산교육으로 나누어 고려할 수 있다. 셋째, 정보서비스의 측면에서 각 대학도서관의 형태적 조건과 인력의 문제, 이용자의 특성이나 성향 그리고 정보요구 분석 등을 고려한 주제별 정보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주제별 정보서비스는 크게 주제정보 제공과 이용자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제정보 제공을 위해서는 각 주제분야의 기본장서 개발, 주제별 서지와 색인 작성, 이용자별 정보서비스 제공, 이용자 그룹과의 연계 기능 강화, 정보기술 활용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용자 교육은 이용자의 보다 효율적인 주젭려 조직 활용을 위해서 그 내용을 주제별, 자료형태별, 이용자별로 강화하여 개발하여야 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anagerial plan for the specialized service for academic libraries that will accomodate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Korean academic libraries. This study especially concentrates on the changes in the organization structure and the management of staffs of the academic librarie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specialized information service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rise of users with the specialized needs have brought about the demand for a subject-specialized academic library service. The recent appearances of the specialized divisions in several academic libraries attest to this phenomena. In the future, the organization of the library will further evolve from the functional organization to the service-oriented organizations.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es, case studies and surveys. The literature researches are performed to examine the types and the functions of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and to clarify the concepts and the functions of the subject specialists. In addition, 39 libraries of Korea are selected and their present conditions of the subject specialization are studied. Then,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researches and analyses on the present conditions, the ideal plan for the Korean academic libraries are developed. In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libraries, the libraries are categorized as the ones with the subject-specialized organizations and the ones without them.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analyses on the academic libraries with the specialized organizations: First, the types of subject specialized organizations fall into three categories; subject division within the central library, subject libraries, and combination of the both. Second, the formats of the information resources housed in the subject-specialized organizations and the services provided var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s of libraries. Third, libraries lack in subject specialists or the staff with the appropriate subject education. Fourth, the duplication of the information resources was one of the problems of the subject-specialized organizations. Fifth, the survey on the response of the users shows that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subject-specialized services. The following is the recognitions and plans of the libraries without the subject-specialized organization. First, the academic libraries that do not operate the specialized organizations fulfill user s specialized need through the reference department of the library. Second, few libraries have plan for the transition into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Third, libraries that have plan for the transition in organization appeal the problems of lack of the specialists and specialized education for the librarians. As a result of the analyses in present conditions of academic libraries, along with the theoretical researches the plan for the subject specialization in the academic libraries of Korea are proposed in terms of organizations, specialists and information services. First, in the aspect of the organization, the academic libraries today should be developed from the functional structure into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which enables users to utilize resources more effectively and facilitate the user services. The ideal model for the subject specialization would achieved by the total distinction of the service as well as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subjects.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limitation of the Korean academic library, the renovation of organizations should be promoted into the departmental specialization which emphasizes the reference services. Second, with respect to the specialist, there is an overall tendency toward lack of librarian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of a certain field. Moreover, considering that the hiring of the specialist is not yet institutionalized, non-specialist librarian who takes charge of particular subject division is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specialist. The librarian who is in charge of a subject should be recognized as the human resources who accumulates bibliographic knowledges such as publication trend, reference service, selection of resources, evaluation of collection, etc.. Further, the education of the librarians are divided into pre-educations that take place as the preparation before the library s transition into specialized organiz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s after the transition. The continuing education of the library is an essential part of the subject specialization of academic library. Last, concerning the information services, user educ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 subject specialization. Since the ultimate goal of the subject specialization is to support the information activity of the users, academic libraries should fortify the user education in order to guide the users to obtain useful resources or inform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2 C. 선행연구 = 4 II. 주제별 운영요소 = 11 A. 주제별 조직 = 11 B. 주제전문사서 = 18 III. 주제별 운영방안 = 26 A. 현황분석 = 26 B. 운영방안 = 57 IV. 결론 = 72 참고문헌 = 76 부록 = 79 영문초록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59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내 대학도서관의 주제별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