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이방현-
dc.creator이방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13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5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24-
dc.description.abstractThe key success factor for the social integration and normalization of the individuals with mental disabilities lies in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occupations within the respective communities. As an integral part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institutions such as the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KEPAD) and other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rehabilitation Institutions are beginning to implement various occupational programs and to organize academic seminars. Also, a number of academic papers regarding the topic are being published. Although in the past, many studies focused primarily on the positive impact of the vocational programs on the mentally challenged, researches on the actual employment status paint a rather grim picture. Main reasons for the low employment rate are as follows. First,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re primarily focused on the service providers. Ideology advocated by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was a compelling force leading the recent shift in perception of mentally challenged as consumers and not patients, and sometimes considered contributors in the program design and evaluator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actual execution of ideology, mentally challenged are still treated as merely recipients of services and are often precluded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suggesting potential solutions to their state of unemployment and confinement to the rehabilitation facilities. Since the mentally challenged individuals experience, situation and needs are not factored in to the formula and because job placement services are not thoroughly examined, they are marred by serious deficiencies. Secondly, past trends on related researches tended to highlight primarily successful stories and made an assumption that all other factors not considered elements of success were in fact impediments to the job placement effort. Ironically, assumptions of this kind and the practice of drawing rosy pictures were the impediments to the development of optimal programs that catered to the needs of the mentally challenged when they faced numerous challenges at workplaces. Thus, an intensive,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some of the causes that impede successful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occupations, from the mentally challenged individuals point of view. Accordingl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ntally challenged individuals experience with the state unemployment and their inability to cope with todays job market.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o allow the researcher to directly interact with the subjects of research to gain a realistic, hands on experien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with four subjects suffering from chronic mental illness. Subjects had participated in various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nd had shown signs of recovery in their symptoms, even to the level that they were at before they became mentally afflicted. However, at the time of research, they had returned to the rehabilitation institution after couple of job-hunting attempts fai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mployment related experiences of highly functional, mentally challenged individuals. Emphasis is on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while searching for jobs and on the reasons they discontinued their effort to do so. Key questions were what are the major obstacles they faced and what are their experiences at the rehabilitation centers like once they discontinued their job search efforts. As result of the study, keywords such as fear, desire, helplessness and rationalization stood out. Implications drawn from each keyword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started to fear and to shun subsequent attempts due to unpleasant experiences in the past associated with their mental illness, social bias against the mentally challenged, self-imposed stigma and limitations experienced during employment due to their mental state. Secondly, once afflicted with fear, subjects started feeling the desire to lead a life of normalcy and conformity. However, they feel frustrated when they realize that their yearnings cannot be easily fulfilled, and in turn their frustrations are fed into their fears - a vicious cycle through the mutual interaction of fear and frustration. Thirdly, subjects feel incompetent and helpless regarding employment due to the confusion resulting from the seemingly massive gap between of the sense of fear and desire. Lastly, subjects begin to feel anxious due to the said gap and start to rationalize through defense mechanism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tudy, the following set of suggestions was developed from the social welfare point of view. First, need to develop jobs and to offer service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mentally challenged individuals present functions. Secondly, need to develop a more expanded and comprehensive occupational services. That is, expand the scope of existing employment related services at the rehabilitation facilities to address most, if not all the stages of employment. Thirdly, need to build a sound support system, not limited to job placement efforts, but also applicable to the instances where individuals return to the rehabilitation facilities after failure. These support systems should be able to help them cope with resulting fear and frustrations. Fourth, there is a need to vitalize groups of normal individuals who can help mitigate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mentally challenged during the job search and adaptation stages. Because the mentally challenged fear employment and the society in general, normal individuals step-by-step support and guidance during the assimilation period will help alleviate their fear of the society, employment and the feeling of displacement. Fifth, there is a need to adopt an emotional support service to deal with the sense of frustration and fear in case of failure. Emotionally hurt human beings tend to become prisoners of their own pain, and lose sense of objectivity when they need to develop solutions to their problems. Thus, a healing opportunity is needed to help the mentally challenged deal with their situations in an objective manner and to be able to plan out their future. Sixth, increased promotion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are needed to break down the stereotypes associated with the mentally challenged. The said research has room for improvement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could be used for the subsequent, comprehensive study. First, the research targets a limited pool of highly functional individuals with mental disorders, at a single rehabilitation facility. Therefore, consideration of addi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localities is suggested for the sequel. In other words, a more objective data could be generated by a careful selection of subjects registered at various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rehabilitation institutions. Secondly, number of interviews with subjects should increase. Total number of interviews in this particular study was four. If the pool of interviewees and the frequency of interviews were to increase, a mo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data regarding barriers to employment acquisition and retention could be gathered. Thirdly, the topic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the employment of mentally challenged individuals with high functionalities. Additional work on the critical factors that impact the retention of employment should be conducted. Research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challenged becomes more effective when a carefully balanced understanding of both success and failure employment retention cases are addressed. Lastly, comparison of existing research on the difficulties and the mental state of normal individuals who lose their livelihood versus mentally challenged individuals employment and job retention should be interesting. ;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및 정상화는 지역사회 내 직업을 갖고 유지하는 것에서 그 핵심을 찾을 수 있다. 그의 일환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과 관련하여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및 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서는 취업 프로그램 실시와 취업 관련 학술대회를 열고 있으며 최근 들어 다양한 주제의 학위논문도 나오고 있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는 직업이 정신장애인에게 주는 긍정적 효과에 대해서 발표를 하고 있지만, 실제 낮은 취업율이 조사되어지고 있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생각하여 볼 수 있겠다. 첫째 서비스 제공자 중심의 직업재활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지역사회정신보건의 이념은 정신장애인을 환자에서 소비자로 여기는 사고의 전환을 가져왔으며 그들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 주체로까지 여기고 있다. 그러나 이념의 실천에 있어서 정신장애인은 서비스를 받는 객체로만 존재하며, 취업을 못하고 재활기관에 머물러 있는 것에 대한 평가와 그에 따른 해결에 대해 관여하지 못하고 있다. 정신장애인들의 경험과 그것에 대한 그들의 입장 및 욕구를 파악하지 않은 상태에서 취업 서비스의 제공은 정확한 사정없이 진행되는 것이므로 취업 활성화에 장애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둘째 정신장애인 취업에 관한 연구가 성공요인을 다루는 것이 주된 동향이였던 점을 들 수 있다. 기존의 연구자료는 취업의 성공요인을 조사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성공요인의 반대되는 부분을 취업의 저해요인으로 추측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정신장애인이 취업을 시작하고 유지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어려움에 대해서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역시 한계를 지니게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는 정신장애인의 독립취업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그들의 관점에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정신장애인이 취업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한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대상자의 체험을 그들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질적 연구를 활용하였다. 특히 연구자가 대상자의 생활세계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생생한 삶의 경험을 기술할 수 있는 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기간은 4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다양한 취업 관련 재활프로그램을 참여한 뒤, 증상호전과 병 전 작업기능수준으로 회복되었으나 여러 차례 시도한 취업이 모두 실패하고 재활기관에 머물러 있는 만성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는 정신장애인 4명 이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이 높은 정신장애인의 취업과 관련된 경험, 특히 취업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취업 재시도를 하지 않고 재활기관 내 머물러 있는 그들의 경험과 그 이유를 깊이 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기능이 높은 정신장애인이 직장을 유지하는데 어려웠던 경험은 무엇이고, 취업 재시도를 하지 않고 재활기관에 머물러 있는 그들의 현재 경험은 어떠한 것인가를 알아보는 것이 연구문제였다. 본 연구 결과 기능이 높은 정신장애인의 취업과 관련한 경험에서 나타난 주제어는 두려움, 갈망, 무력감, 합리화였다. 각 주제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정신분열증을 앓게 되면서 겪은 불쾌했던 과거 경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스스로에 부여한 낙인, 취업 시 겪었던 정신장애인으로서의 한계 등으로 취업을 재도전하는 것에 두려움을 갖게 되었다. 둘째, 두려움에 영향을 받은 연구대상은 정상인으로 살고 싶은 갈망과 높은 준거집단에 속하고 싶은 갈망을 갖게 된다. 그러나 그 갈망이 현실화되기 어려운 이유로 좌절감을 겪게 되고 이 좌절감은 두려움에 다시 영향을 미치는 상호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다. 셋째, 두려움과 갈망 그리고 두 감정이 주는 격차로 인한 혼란으로 현재 연구대상은 취업을 하는 것에 대한 무력감이란 심리적 상태에 빠지게 된다. 넷째, 두려움과 갈망 그리고 두 감정이 주는 격차로 불안감을 가지게 되는 연구대상은 이를 없애기 위한 방어기제로 합리화를 사용한다. 이상의 결과에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여본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능을 고려한 서비스 제공 및 업종개발을 제언한다. 둘째, 취업서비스의 포괄성과 확장성을 가질 것을 제언한다. 기존 재활기관에 머물러 있는 취업 서비스를 정신장애인의 취업 초기와 유지 단계에까지 확장하여야 될 것이다. 셋째, 건강한 지지체계의 확보를 제언한다. 건강한 지지체계의 확보는 직업유지만이 아니라 실패 후 재활기관으로 돌아왔을 때 그들이 경험하는 각종 두려움과 좌절감등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정신장애인 구직과정시 재활기관과 취업장이 있는 사회 중간에 완충지역을 형성할 것을 제언한다. 사회에 나가 구직을 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에게 보다 세분화된 단계가 요구되어진다고 보여진다. 다섯째, 취업실패 후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좌절감과 두려움을 다뤄주기위한 정서적 지원서비스를 갖출 것을 제언한다. 상처받은 인간은 그 상처에 몰입이 되어 객관적으로 자신의 상황을 바라보고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힘을 얻기가 어렵다. 정신장애인들에게도 자신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구체적으로 미래 계획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직장유지 실패 후 겪는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기회 마련이 요구되어진다. 여섯째,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 홍보와 교육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한 재활기관에 등록하여 서비스를 받고 있는 기능이 높은 정신분열증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다음 연구는 다양한 재활기관과 지역을 고려하여 질적 연구 할 것을 제언한다. 즉,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에 등록되어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객관적인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보여진다. 둘째, 연구대상자 수와 면접횟수를 본 연구보다 많이 확보할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대상자의 수는 4명이였다. 연구대상자의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하고 인터뷰 횟수를 높인다면 구직과 직장유지에 어려움에 대해 보다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셋째, 본 연구는 기능이 높은 정신장애인의 취업과 관련한 어려움만을 연구하였다. 이에 정신장애인이 직장을 유지를 하는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내용에 대해서도 연구되어지기를 제언한다.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은 실패 외에도 성공, 즉 유지에 대한 이해가 함께 논의되어질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넷째, 기존 연구되어진 비장애인 실업자들의 어려움 및 심리상태를 정신장애인의 구직과 직업유지와 비교하여 보기를 제언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문제 = 6 제 2 장 이론적 배경 = 7 1. 현상학적 연구 = 7 2. 정신장애인 취업 저해요인 문헌연구 = 9 제 3 장 연구 방법 = 14 1. 연구 대상 선정 = 14 2. 자료 수집 기한 및 방법 = 14 3. 자료분석 = 15 4. 신뢰도와 타당도 = 17 5. 본 연구의 한계점 = 18 제 4 장 결과 = 19 1. 사례의 일반적 특성 = 19 2. 기능이 높은 정신장애인 취업에 관한 경험 = 23 3. 결과 내용 = 24 1) 두려움 = 24 2) 갈망 = 44 3) 무력감 = 53 4) 합리화 = 55 제 5 장 논의 = 61 1. 두려움 = 62 2. 갈망 = 65 3. 무력감 = 67 4. 합리화 = 69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71 1. 결론 = 71 2.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 73 1)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제언 = 74 2)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76 참고문헌 = 78 별첨 1 면접용 카드 = 84 별첨 2 연구참여동의서 = 90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39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기능이 높은 정신장애인의 취업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태화샘솟는집 회원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