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중등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실태 분석

Title
중등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실태 분석
Authors
안미연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종립학교에 운영되고 있는 종교교육의 실태를 분석함으로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운영현황은 어떠한가? 종교교육 운영의 현황은 종교교육의 목적, 종교교과의 편제, 교육 대상 학년 및 주당 시수, 종교교육 담당교사 등을 중심으로 확인한다. 둘째, 종교수업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종교수업 운영 실태는 종교교과서 및 교수·학습 자료, 수업의 내용과 주제, 교수·학습 방법, 평가방식, 종교교육의 효과 등을 중심으로 확인한다. 셋째, 교과 외 종교활동 실태는 어떠한가? 이 연구 문제는 학교별 종교행사와 종교동아리 운영실태를 중심으로 확인한다. 넷째, 타종교에 대한 이해와 배려 실태는 어떠한가? 이 연구 문제는 학교선택의 과정과 종교활동 참여에 대한 자율권 부여여부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섯째, 종교교육과 관련된 장애요인은 무엇이며 발전방향은 무엇인가? 이 연구문제는 종교담당 교사들이 갖고 있는 장애요인과 발전방향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종립 고등학교로 개신교 3 개교, 천주교 2 개교, 불교 1 개교이며, 연구방법으로는 각 학교의 종교교사와 면담을 실시하였고, 종교수업을 받고 있는 각 고등학교 학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종립학교 종교교육의 특징과 실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립학교의 종교교사들이 지향하는 종교교육의 목적은 해당 종교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그것을 바탕으로 삶의 지혜를 얻고,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경심을 기르는 도덕적·인격적 교육이었다. 이러한 목적 하에 종교교육은 성직자인 종교교사가 담당하고 있으며 학교에 따라 1~3학년 까지, 일주일에 1~3시간 종교수업을 하고 있다. 국가교육과정에서는 종교과목 개설시 반드시 다른 교양선택과목을 개설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다수의 학교가 복수과목을 설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수업은 각 학교 종교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목적에 대한 소신에 따라 내용이 구성되고 있다. 연구를 통해 드러난 한 가지 사실은 종교수업시간에 교과서의 활용 정도가 매우 낮다는 것이었는데, 그 주된 이유는 종교교과서의 분량이 많고 내용이 어렵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종교수업을 통해 이루어진 교육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성세대의 통계적이고 근시안적인 평가방식에서 벗어나 시간을 두고 그 효과를 지켜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셋째, 교과 외 종교활동은 크게 채플 등의 종교집회나 종교절기행사와 같은 집단활동과 종교동아리 활동,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뉘어 진다. 채플과 같은 정기적인 종교집회는 연구 대상학교 6개교 중 개신교에서만 실시되고 있었으며 그 외 학교는 절기에 따른 행사가 있지만 대상이나 참여의 의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학생들은 종교수업이나 집회 등의 단체활동 보다는 동아리 같은 소그룹 종교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의 종교와 학생의 종교(타종교)간에는 직·간접적으로 종교적 갈등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교사와 학생간의 타협과 이해로 해결하고 있었다. 최근에 와서는 이러한 학내 종교적 갈등문제가 점차적으로 약화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현상은 학교배정이 선지원·후추첨제 로 바뀌면서 거의 모든 학생들이 학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지원하기 때문이었다. 다섯째, 종교교육에서 장애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학생과 학부모 등의 인간적인 관계에서 오는 장애와 시설이나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장애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종교교육이 그 본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학교의 자율권이 보장된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립학교 종교교육의 실태를 감안해 볼 때 더 나은 종교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자면 (1)학교와 학생간의 종교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생에게 학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2)종교교과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의 삶의 태도에 대한 요소가 교과서에 반영되어야 하며, (3)종교수업에서도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신앙적 배경에서 오는 학생들의 이해 수준차를 수업에 반영하고, (4)종교교육에 있어서 협력체제를 마련하여 각 종단별로 종교교육에 대한 자료와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 Religious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part, which could not be expected from other common subjects, in the growth of juvenile s morals and values. When we consider our educational system which does not allow juvenile to introspect his life, religious education will be able to make up for this weak points in common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tatus of religiou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s and tries to find out the developing factors for future religious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answered in this study are: 1) How is the situation of religious education management at the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s? 2) How is the religious class management? 3) What are the religious extra curricular activities? 4) What is the attitude of school toward different religion? 5) What are the impeding and developing factors in religious education? To find our answers to these questions, seven teachers from six different religious schools were interviewed: four from Protestant, two from Catholic and one from Buddhist. A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from these school are conducted and 229 answered to i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understand and characterize the aims of religious education as education for developing student s morals and value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religion of their school and get the wisdom of life and others(religion). For this goal the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s are managed as follow: all the religious subject teachers are clergies. According to the school students have religious class from once to three times in a week. Second, the religious class are managed related to every teacher s convictions. A fact found from this study is that text book is rarely used in religious class. The main reason is that religious text book is too difficult for the students so it is hard to arouse the interest of learners. Third, the religious extra curricula activities can be divided to two: one is group meeting like chapel or religious ceremonies and the other is student s club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is higher in extra curricula activities than the religious class. Fourth, there is a religious discord between school and students. When it happens, religious teachers try to take a conciliatory attitude toward the students. However currently religious discord in school is getting low due to the change of high entrance policy. Fifth, the impeding factors in religious education can be divided to two phases: human relations and educational system. For activation of religious education it is required that freedom in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given to schools established by religious foundations. In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religious education is the accord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eeds of the teachers in field. And in religious class, to reflect of student s understanding difference due to various religious background and to meet the needs and interests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is required for development of future religious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