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보경-
dc.creator김보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3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4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4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461-
dc.description.abstractThe research done here is to analyze survey research theoretically which is about creative problem-solv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ories of many scholars and generally theorize so that this could show possibility in the fields of education or programming for its use in science education in general. The following is the research done. First, what is creativity? Second, what are the steps to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or steps)? Third, what educational aids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problem-solving? In order to research the problems above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published books. magazines etc. were needed so that the questions above can be analyz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creativity has many meanings and possibilities of education can be made through different points of view. Second, every scholar has his or hers own way in creative problem-solving. But the step towards this is almost alike in general. ·Finding a problem. ·The preparations for a clearer solution. ·Gathering ideas without perfection. ·Checking & testing the ideas. ·Choosing a solution. ·Putting the solution to a test to see if it is good or not. Third, there are many ways to improve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This could be also used to make improvements in sensitivity, originality, fluency, elaboration and flexibil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for the students to learn about thinking process and the teachers should teach them step by step. The same could be said in the fields of science education. ;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문헌들을 고찰해본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이론적 근거를 살며보고 여러학자들이 제시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해 본 뒤교수 학습에 적용하거나 프로그램 계발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과학 교육에서의 활용성에 대하여 논의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란 무엇인가? 셋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위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하였다. 창의성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기법을중심으로 국내·외의 단행본, 연구보고서 및 논문 전문지에 수록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은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창의성을 바라보는 입장에따라 교육 가능성도 결정된다. 둘째,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은 학자마다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이것들은 공통된 과정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상 공통되는 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이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문제를 찾는 단계 · 문제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준비 단계 · 정교화 되지 않은 아이디어 산출단계 · 아이디어들을 평가하는 단계 · 해결책을 산출하는 단계 · 해결책을 실행하고 검증하는 단계 셋째,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신장하는 기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이는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 내에서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그리고 정교성을 기를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적절한 교수 학습 방법을 통해 실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서 학생들은 사고의 과정을 인식하고, 교사는 문제해결 기법을 적절한 교수 학습 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교육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과학교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그림목차 = iv 표목차 = v 국문요약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내용 = 4 II. 연구 내용 및 절차 = 5 A. 연구내용 = 5 B. 연구의 절차 = 6 III. 창의성, 문제 해결력,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문헌고찰 = 7 A. 창의성이란? = 7 1. 창의성의 의미와 중요성 = 7 2. 창의력의 본질 = 11 1) 창의성의 구성 요인 = 11 2) 과정론 = 15 3) 문제 해결론 = 17 4) 성격발달론과 성격특성론 = 17 3. 창의력의 저해요인 = 20 1) 부정확한 지식과 정보 = 20 2) 과거의 습관 또는 경험 = 20 3) 태도와 성격 = 20 4. 학교 교육과 창의성 = 24 1) 창의력 발달을 억제하는 학교 교육 현실 = 24 2) 창의력 개발 교육의 방법 = 24 B. 창의적 문제해결력 = 27 1. 문제해결과정 = 27 2.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 = 29 1) Wallas의 4단계설 = 29 2) Rossman의 창의적 사고단계 이론 = 30 3) Dewey의 창의학습모형 = 30 4) Osborn-Parnes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 = 32 5) Osborn의 창의적 문제해결방법 = 34 6) Feldhusen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 = 35 7) Bransford & Barry S. Stein의 IDEAL 문제해결 과정 = 37 8) Treffinger의 창의적 문제해결형 = 39 C.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 방법 = 44 1. 창의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개발하는 기법 = 44 1) 시네틱스(Synetics) = 44 2)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 47 3) 형태론적 분석(Morphological Analysis) = 50 4) 강제 결합법(Forced Relationships) = 51 5) 속성 열거법(Attributes listing) = 52 6) 체크리스트(Check list) = 54 7) 수평적 사고(CoRT 사고력 개발법 = 54 2.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 = 57 1) 신세호의 창의학습 이론 모형 = 57 2) Treffinger의 창의학습 모델(creative learning Model) = 59 3) Purdue의 3단계 모델(The three stage model) = 61 4) Renzulli의 심화학습 3단계 모델 = 63 IV. 결론 및 제언 = 67 A. 결론 및 논의 = 67 B. 제언 = 71 참고문헌 = 72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154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방안의 모색-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