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하지완-
dc.creator하지완-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4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4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443-
dc.description.abstract기능적 조음장애는 해부학적, 생리학적 또는 신경학적으로 밝혀진 원인없이 나타나는, 표준에서 벗어난 부정확한 말소리의 산출로 정의된다. 이러한정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기능적 조음장애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는 것이지원인이 없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능적 조음장애의 원인을 알기 위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말소리 오류와 관련된 요인들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왔다. 그중 조음능력과 구강운동능력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는데, 이것은 말소리 조음이 복잡하면서도 정교한 소근육운동을 요구하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임상적으로 그리고 실험적으로 구강운동능력을 측정하는 가장 흔한 방법 중의 하나가 교대운동속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조음장애로 진단을 받은 아동들과 정상아동들의교대운동 수행력을 비교해 봄으로써, 원인을 알 수 없는 조음장애아동의 구강운동기능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기능적 조음장애아동 20명과 정상아동 20명이었다. 40명의 아동들은 검사항목 /파/, /타/, /카/, /바/, /다/, /가/, /버/, /더/, /거/, /파타/, /타카/, /파카/,/파타카/ 및 /바다가/에 대한 교대운동을 수행하였다. 모든 검사과정을 녹음한후, Dr. Speech를 이용하여 교대운동속도 및 가변성을 측정하였다. 교대운동속도 및 가변성에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각 집단 내에서 검사항목의 말소리 특성에 따라 교대운동속도가 다른지 살펴보았다. 두 집단 간 교대운동속도 및 가변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독립표본의 t검정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 내에서 말소리 특성에 따른 교대운동속도의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재설계를 이용한 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검정을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검사항목에서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교대운동속도가 느렸다. 검사항목 /타/와 /파타카/에서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교대운동 간 가변성이 더 컸고, 검사항목 /파/, /타/, /카/에서 기능적조음장애아동은 정상아동보다 교대운동 내 가변성이 더 컸다. 두 집단 모두 조음방법 및 모음환경은 교대운동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조음위치는 교대운동속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의미가 있는 친숙한 말소리의 반복은무의미 말소리의 반복보다 빨랐다. 본 연구결과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의 교대운동 수행력은 정상아동보다 더느리고 불규칙적이었다. 본 연구는 기능적 조음장애아동들에게서 운동기능장애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그러므로 “특정한 원인이 없고 감각기능이나 운동기능장애가 없으면서 나타나는 음운장애”라는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능적 조음장애의 정의는 좀더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differences in diadochokinetic performances between children with normal and disordered articulation. For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control group of twenty normal children and an experimental group of twenty children who were previously diagnosed as having functional articulatory disorders. Each subject was instructed to repeat fourteen sounds and sound combinations (/p^h a/, /t^h a/, /k^h a/, /pa/, /ta/, /k□, /p□/, /t□/, /ka/, /p^h at^h a/, /t^h ak^h a/, /p^h ak^h a/, /p^h at^h ak^h a/, and /pataka/) as rapidly as possible until he was ordered to stop.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ory disorders displayed significantly slower diadochokinetic rates than normal children, (2) for both group of subjects, the differences in the places of articulation showed differences in the diadochokinetic rates when the consonants were unaspirated, (3) only for articulatory disordered subjects, the differences in the places of articulation showed differences in the diadochokinetic rates when the consonants were aspirated, (4) for both groups of subjects, when the token was meaningful, the diadochokinetic rate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when it was meaningless, (5)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ory disorders displayed significantly more variable diadochokinetic performances than normal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질문 = 4 II. 이론적 배경 = 6 A. 교대운동속도 측정에 관한 연구 = 6 B. 정상인의 교대운동속도에 관한 연구 = 9 C.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의 교대운동속도에 관한 연구 = 14 III. 연구방법 = 20 A. 연구대상 = 20 B. 검사항목 = 21 C. 연구절차 = 23 1. 예비 실험 = 23 2. 본 실험 = 25 D. 자료의 통계적 처리 = 30 E. 신뢰도 = 30 IV. 결과 = 32 A. 조음장애 유무에 따른 교대운동속도 분석 = 32 B. 검사항목의 말소리 특성에 따른 교대운동속도 분석 = 32 1. 조음위치에 따른 교대운동속도 분석 = 32 2. 조음방법에 따른 교대운동속도 분석 = 36 3. 모음환경에 따른 교대운동속도 분석 = 39 4. 말소리 친숙도에 따른 교대운동속도 분석 = 39 C. 조음장애 유무에 따른 교대운동의 가변성 분석 = 41 1. 교대운동 간 가변성 분석 = 41 2. 교대운동 내 가변성 분석 = 42 V. 결론 및 논의 = 44 A. 결론 및 논의 = 44 B. 연구의 제한점 = 47 C. 제언 = 48 참고문헌 = 49 부록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358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능적 조음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교대운동속도 및 가변성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