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공적 자기의식 및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가치의 내재화와 신체상과의 관계

Title
공적 자기의식 및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가치의 내재화와 신체상과의 관계
Authors
문정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비만이 아닌 여자대학생 366명을 대상으로 공적 자기의식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가치의 내재화가 신체상의 하위측면인 신체 자존감, 신체왜곡증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 특성 중, 신체 자존감과 신체왜곡증상에 상관이 높았던 신체질량지수(BMI)를 통제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를 많이 내재화 할수록 자신의 외모나 몸무게에 만족하는 신체 자존감은 낮아지고, 자신의 신체에 대한 결점에 과도하게 집착하고, 그로 인해 사회활동까지 회피하는 신체 왜곡 증상은 많아지며,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자기의 측면에 주의를 더 많이 기울이는 공적 자기의식이 높을수록 신체왜곡증상이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서 두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첫째, 공적 자기의식과 내재화 변인 중, 내재화 변인만이 신체 자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고, 신체왜곡증상에서도 내재화 변인이 신체왜곡증상과 더 많은 관련이 있었다는 연구 결과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가치를 내재화 하는 것이 신체 자존감과 신체왜곡증상에 보다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이 연구에서 공적 자기의식은 일반적 정신 건강 측면을 나타내는 신체 자존감보다는 병리적 측면과 관련이 있는 신체왜곡증상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공적 자기의식은 일반적인 정신건강과 관련된 신체 자존감보다는, 신체변형장애, 섭식장애과 같은 보다 병리적인 측면과 관련된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신체변형장애, 섭식장애를 예측하고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거나, 이를 개선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때 개인의 자기의식 경향성인 공적 자기의식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search what the public self -consciousness and the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for the appearance have the relations to the body esteem and the body dysmorphic symptoms which are below aspect of body image as the subject of the 366 women college students who are not corpulent. In order to verify this, the BMI(Body Mass Index), which was shown correlation high to the body esteem and the body dysmorphic symptoms, was controlled among the research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was performed multi-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is results, the more socio-cultural attitudes for the appearance becomes internalized, the lower body esteem to satisfy with self appearance or weight becomes realized. And she becomes to stick to defect for her body excessively, then it causes to increase the body dysmorphic symptoms to escape the social life. And also the increasement of public self consciousness , which pays attention more to the appearance to be seen others, enables to increase the body dysmorphic symptoms. This study discussed the research results in view of two aspects as follows: The first, the internalization factor only, between the public self- consciousness and the internalization factors, showed the significance statistically to the body esteem. The result of study also showed the internalization factor had more relation with the body dysmorphic symptoms while the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attitudes for the appearance still meant the important factor to the body esteem and the body dysmorphic symptoms. The second, the public self -consciousness in this study showed the significance statistically to the body dysmorphic symptoms to be related to the pathology aspects rather than the body esteem to be showed the aspects of mental health gener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ublic self-consciousness can be considered that it is related to the pathology aspects just like the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the eating disorder rather than the body esteem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generally. Therefore, when the tool to predict and examine the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the eating disorder is developed or the program is made out to improve this, the public self- consciousness that is the individual self -consciousness tendency can be conside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