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4 Download: 0

정신장애인의 결혼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장애인의 결혼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Authors
조혜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1995년 정신보건법 재정과 더불어 정신장애인을 병원에서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적응하면서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치료적 관점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치료적 관점을 기초로 하여 지역사회 정신재활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들에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용대상자는 결혼한 비율이 낮으며 결과적으로 미혼정신장애인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결혼한 정신장애인들이 결혼생활을 하면서 겪게 되는 문제에 대한 관심과 결혼생활에 적응과 유지를 위해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상담서비스의 개발은 부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혼한 정신장애인이 인지하는 결혼생활인 결혼관, 결혼과 성의식, 결혼생활과 정신장애의 관계, 부부의사소통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정신장애인이 행복한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개선하는데 필요한 결혼생활의식과 결혼만족부분을 점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결혼한 정신장애인의 결혼생활에 대한 이해를 넓힘으로써 지역사회재활 치료와 프로그램의 접근에 있어서 결혼한 정신장애인에게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의 대학병원에서 진료를 받고있는 환자와 개인병원과 낮병원, 사회복귀시설 및 정신보건센터에 다니며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회원 중 정신장애인으로 진단받은 남, 녀 기혼자가 설문조사에 협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장애인의 결혼만족도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30대가 가장 높았고, 학력에서 대학교(중퇴)졸업이 가장 높았다. 또한 결혼상태는 재혼의 경우 가장 높았으며, 초혼 , 동거 , 별거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혼형태에서 연애결혼이 결혼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료기관별로 살펴보면 사회복귀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낮병원 등 사회복귀시설에서 프로그램을 받고 있는 정신장애인이 결혼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종합병원이 개인정신병원에서 보다 결혼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유병기간은 1년~5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명에 정동장애가 정신분열보다 높게 나타났다. 의료보장형태에서는 의료보험, 의료보호 순으로 나타났다. 2. 정신장애인의 결혼생활에 관한 특성 결혼의 동기는 일반적으로 사랑이며, 부모의 권유 순이라고 응답하였다. 배우자선택 시 중점을 두었던 점에서는 성격을 가장 우선 순위로 보았으며, 결혼의 결정주체는 자신의사가 우선이 높게 나타났다. 결혼 할 때 책임져야 할 의무에서 경제적 안정과 자녀양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혼을 하기위해 갖춰야 조건에서 사랑, 경제력, 직업 순으로 응답하였다. 배우자상 일치정도는 일치한다 50.0%고 응답하였다. 결혼선택에서 초혼보다 재혼에서 이상에 맞는 배우자가 있을때만 한다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는 결혼 전 성관계 경험이 있는 경우가 전체의 46.8%에 해당되었다. 결혼 전 성관계 경험이 있는 대상자에게 성관계 빈도를 알아본 결과 결혼 전에 성관계를 정기적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후 부부성관계는 주 1~2회 정도라도 응답이 대부분이었고, 23.6%는 월 1회 이하라고 응답하였다. 성관계 후 대화에서 정신분열이 정동장애에 비해 성관계 후 대화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만족도는 결혼형태에 의한 차이는 정신분열보다 정동장애에서 성만족도에 있어서 만족의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성교제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혼을 할 때 배우자에게 자신의 질환을 말했습니까라는 질문에 ‘발병하기 전이었다’가 가장 많았고, 말하였다’ 순로 응답하였다. 배우자를 선택할 때 정신장애인 또는 다른 장애를 가진 배우자를 선택하겠냐는 질문에 선택하지 않겠다고 각각 80%정도 응답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내가 아프니까라고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재발하여 입원한는 경우 결혼생활에 가장 큰 어려움에서 경제적 부담을 많은 어려움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발입원 시 배우자가 이혼을 요구할 때 어떻게 하겠는가에서 이혼한다 41.0%, 이혼하지 않는다 59.0%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부부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40~50대에서 부부간에 의사소통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에서 재혼이 가장 높았다. 결혼형태에 따른 부부의사소통에서는 중매반연애반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명에 따른 부부의사소통은 정동장애가 정신분열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정신장애인의 결혼생활에 따른 결혼만족도 결혼의 동기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차이검증한 결과는 결혼만족도는 독립된 가정형성, 사랑, 경제적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조건에서 사랑과 종교 및 장애유무를 결혼의 조건으로 둔 집단이 경제력 부분을 결혼조건으로 한 집단보다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배우자와 이상적으로 생각했던 배우자가 일치하였을 때 결혼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결혼선택에 따른 결혼만족도에 따르면 결혼의 필요성이 긍정적일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성관계 후 대화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차이검증한 결과는 자주(거의매번)한다, 가끔한다, 전혀(거의)하지 않는다 순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의 성만족도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입원시 결혼생활의 가장 큰 어려움에서 결혼만족도에서 자녀양육에 큰 어려움이 있다는 응답자가 배우자와의 관계소원과 경제적 부담이라는 응답자에 비해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부부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부의사소통이 잘 될수록 결혼만족도가 높다는 결과이다. 정신장애인의 결혼생활만족과 관련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결혼생활에 대한 욕구와 일반 비장애인들의 욕구를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관이나 성의식, 부부의사소통 등이 정신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기준이 비슷하다고 추정하였을 뿐 정확한 비교 자료를 제시하지 못해서 타당도나 신뢰도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두집단간의 비교 연구를 통해 정확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정신분열과 정동장애의 병명에 따라 결혼관과 성의식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분열과 정동장애 각각의 욕구에 맞는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부부의사소통에 있어서 갈등이 생겼을 때,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화를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상대방의 약점을 언급하고 비난하는 말을 하며, 혼자 속으로 참는 등 부부간의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갈등이 더욱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결혼한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갈등해소를 위한 의사소통방식을 교육하거나 부부관계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들의 부부생활에 도움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 A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sychiatric Patient s Marital Satisfaction,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 that influence Marital Satisfaction with mental illness for the better marital relationship. The subject of this survey are psychiatric outpatients, mental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mental patients who use the day care center, foundtain house. The data of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109 mental patients by means of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such as, percentile, frequency, crosstabs, t-test, Anova, regree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psychiatric patients have through that love must be set forth as as a premise and economic ability and occupation were important for their marriage. Concerning psychiatric patients conception, they consider marriage as a fruit of love, having children, and bringing up the children. The result showed some difference with their academic level. They thought that the duty of marriage was economical stabililty and looking after their children. Concerning marriage, their sexual attitudes are as follows. They show conservative tendencies as to premarital relation with partner. Man s chastity could be ignored inconparison with woman s. 65.7% of them experienced the premarital relation and 37.8% of female did. Most of them did not want to marry the disabled including psychiatric patients. 80.0% of them wanted not marry the disabled. Fewer wanted to marry the disabled. If their partners would have a relapse of the disease, they want to keep on their marriage life. For the next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1. Some researches and analysis are needed between psychiatric patient s and normal people s marriage lives.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marriage thought, desire, and anticipation of the psychiatric disabled are almost same as the normal. But it did not propose the exact comparision materials between the two groups and it is possible to make some credibillity and adequacy. 2. There was significance according to name of disease betwee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Some distinguished studies about their marriage lives are needed each appiciate approch method to maintain betwee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3. Some programs communication for their marriage must be developed. Thu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approapriate social work skill and approach should be used for the psychiatric patient s coup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