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정소영-
dc.creator정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8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3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4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390-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는 현재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노년기가 장기화됨에 따라 노후를 성공적으로 보내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상태와 사회적 활동이다. 노인의 사회적 활동 중 자원봉사활동은 노인층의 의식과 가치관의 변화와 함께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노인자원봉사활동은 노년기의 고독감을 극복하고, 상실된 역할의 대체를 통해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타인과의 교류기회 등을 제공하여 심리사회적 안녕에 기여한다. 자원봉사활동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상태와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노인의 심리적 안녕상태를 반영하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인식되어 성공적인 노년기 적응을 예측하게 하는 자아통합감과 자원봉사활동을 살펴본 연구는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자아통합감과 사회적 활동의 관계를 살펴본 기존 연구들에서도 생활체육 참여, 종교활동, 여가활동의 일부로 자원봉사활동을 살펴보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자원봉사활동과 자아통합감에 초점을 둔 연구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자원봉사자들의 자아통합감 수준을 살펴보고, 노인자원봉사자의 개인특성요인과 자원봉사관련 요인에 따른 자아통합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자아통합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노인자원봉사활동을 고양하여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아통합감 향상을 위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는 서울시 자원봉사센터를 통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55세 이상 노인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72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10.0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 검증 및 One-way ANOVA, 단순적률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중 교육수준과 가족 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자아통합감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의 자아통합감 수준이 높았고, 동거가족이 없는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아통합감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수준과 건강은 자아통합감 수준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요인에 따라 자아통합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 및 One-way ANOVA를 실시한 결과 참여동기, 활동내용, 성취내용, 동기충족도, 활동부합성, 동료자원봉사자 관계, 자원봉사 담당자와의 관계, 대상자 만족, 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각 변수들이 전체적으로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종합적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Backward 방식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건강상태, 경제수준, 가족형태, 동기충족도, 성취내용, 동료자원봉사자와의 관계, 자원봉사담당자와의 관계가 자아통합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에서 본 연구에서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아통합감 수준과 자아통합감의 여섯 가지 하위영역의 수준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이론적 함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결과에서 보여진 노인자원봉사자의 높은 자아통합감 수준은 자원봉사활동이 자아통합감 수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노년기 삶의 질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결과는 노인층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자원봉사참여가 지속되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노인자원봉사자의 개인특성요인과 자원봉사요인에 따른 자아통합갑 수준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자원봉사자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시점부터 활동을 지속하는 과정에 있어서 노인자원봉사자의 욕구가 충분히 반영되어 설계되고, 자원봉사활동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이에 대한 실천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orea is currently witnessing a drastic rise in the proportion of the aged in the total population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elongates. As old age is longer, it is on the increase concern of successful aging. Study on successful aging and improvement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it is important factor both elderly s well-being and social activ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easure the degree of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volunteers and to explore the meaningful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volunteers. By shedding more lights to the positive aspect of ego integrity and voluntary activities to the demented in the paper, I would like seek ways to come up with better ways to bring up the degree of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volunteers.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by using survey questionnaires over 55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voluntary activities and selected as subjects randomly from 21 Volunteer Center in Seoul. Among the survey questionnaires, 172 cases were used as final material for the study. The subjects were analyzed with statistics includ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based on SPSS 10.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mographic variable,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status, type of family had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go integrity. Those who had high educational status showed the high ego integrity and those who live alone showed the low ego integrity. 2.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activities was shown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go integrity. According to the following factors-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fields of voluntary activities, correspondence of aptitude, peer volunteer s relation, volunteer supervisor s relation, satisfaction of recipient, compensation-showed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go integrity.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degree of elderly volunteers was their degree of fulfillment of motivation, accomplishment through the voluntary activities, peer volunteer s relation, volunteer supervisor s relation, health status, financial status, type of family. These finding have provided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for social work Practice. 1. As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didn t focus on the information of the degree of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volunteers, it was short. This study shows the degree of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volunteers, so this result will contribute not only study on ego integrity but also study on successful aging. 2. This study shows that participating in voluntary activities had a positively influence on the degree of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volunteers. It is needed that more elderly people would pro-actively participate in voluntary activities. 3. As stated above resul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activities make difference degree of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volunteers. It is needed that the manage system and professional coordinator in order to reflect elderly volunteer s desire and competence and to manage the process of voluntary activities effe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 3 II. 이론적 배경 = 5 A. 노인자원봉사 = 5 1. 노인자원봉사의 개념 = 5 2. 노인자원봉사의 필요성 및 의의 = 7 3. 노인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선행연구 = 9 B. 자아통합감 = 12 1. 자아통합감의 개념 = 12 2. 자아통합감과 관련된 요인들 = 15 3.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 = 17 III. 연구방법 = 21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21 B. 연구질문 = 21 C.변수의 설정 = 22 1. 종속변수 = 22 2. 독립변수 = 22 D. 연구모형 = 25 E. 측정도구 및 설문구성 = 26 F. 자료분석방법 = 27 IV. 연구결과 및 분석 = 28 A. 조사대상자의 특성 = 28 1. 노인자원봉사자의 일반적 특성 = 28 2.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특성 = 30 3.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아통합감 = 35 B. 독립변수와 자아통합감의 관계 = 37 1. 일반적 특성과 자아통합감 = 37 2. 자원봉사특성과 자아통합감 = 41 C. 종합검증 = 47 V. 결론 = 53 A. 연구결과 요약 = 53 B. 연구의 함의 및 제한점 = 58 1. 연구의 함의 = 58 2. 연구의 제한점 = 60 참고문헌 = 62 부록 = 67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55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subject.ddc300-
dc.title노인자원봉사자의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