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신옥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이신욱
Abstract
This study begins with the seriousness of adolescents' school violence and focuses on juvenile, having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most vulnerably exposed to the danger of school violence. However, some recent studies have shown violence in family can be a cause of school violence caused from junior students experienced in family violence, but probably peacemaking is possible with social support and sound raising method. Their opinions are very inspiring. Thus this study highlight protective factors with the peacemaking possibility of school violence as well as school-associated violence by adolescents suffered from domestic viole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dolescents'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degrees as well as school violence degree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omestic violence on the adolescents' school-associated violence and to search protective factors that can arbitrate school violence. Therefore, the study will exhibit social work practice guidelines to help family violence experience adolescents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ves. In this study, school-associated violence was defin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t includes compelling errands, money carrying-off, physical violence, violent language, standover or threat, shunning. Experience in domestic violence and personal inside protective factor, interpersonal protective factor and social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 are set to b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y affect to school-associated violence, the dependent variable. Family violence experience consists of watching violence between parents and abuse experience from parents and personal protector, interpersonal protector and social protector are defined as self-esteem and self-control,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social support, positive outlook about school and participating degre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respectively. Namely, protector verifying was tried through certifying influence of adolescents family violence experience on school violence and checking the influence on school-associated violence from adolescents self-esteem, self-control, relationship with parents, social support, positive outlook on school and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by studying junior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 this study, study pollee are middle schoolers in Seoul. First, questionnaire was modifi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randomly selected a school from 4 districts of Seoul respectively and surveyed one class for each school year. The research was done from Oct. 21st 2002 to Nov. 4th 2002 and the number of pollee amounts to 412. 31 questionnaires, invalid to study, were excluded and 381 withdrawn paper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result is like following. First, proportion of family violence experience. 58.8% of students watched violence to wife from husband, 45.0% of them watched violence to husband from wife. Child abuse from father is 62.7% and 60.6% from mother. It shows one out of two witnessed violence between parents and two out of three experienced child abuse by estimate. Adolescents experience degree of family-associated violence is very high. Second, 54.9%, 209 students from total 383 students, of students suffered from any kind of school-associated violence. Violent language shows the highest incidence both boy and girl students. And physical violence, shunning, compelling errands and threat followed violent language. All the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is higher from boys than from girls except shunning. Third, the result of comparing school violence from young students experienced in family viol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ll the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is higher from boys than from girls except shunning. Compelling errands happen more often in second year than in first year and low grade students do more school-associated violence than high grade students. Fourth, students who suffered from violence between parents shows favorites to compelling errands and shunning. Abused students from parents shows more incidence in compelling errands, physical violence, violent language, shunning except money extortion and threat than those who didn t experience in child abuse. Fifth, double experienced student group who suffered from violence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from child abuse does more violence than student group who only suffered one of them. This shows the more students experience in domestic violence, the more they do violence in school. Sixth, Through investigation on comparative influence between factors having influence on school violence, following results can be expected. From male adolescents and in case of more experience in abuse from parents appears higher incidence of school violence. And related to protective factors, high self-control and positive outlook on school lower the violence in school. On the contrary, more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higher school-associated violence. Through these results, following clinical proposals can be raised. First, comprehensive domestic violence service with consideration about bilateral relationship and duplicate happening of family violence. Second, to prevent family violence experienced students from school violence effectively, primary intervention to male adolescents having high family violence experience. Third, self-control improving program and revising program for school perception aimed at adolescents experienced family violence. Fourth adults proper supervision to young stud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ddition, followings ar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set appropriate line of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proper to korean environment by CTS. Seco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home violence experienced students as victims as well as injurers of school violence. Third, theoretical verification on protective factors is necessary and related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studies for certifying their efficiency are needed. Fourth, follow-up studies have to be done through the flow of three consequences,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 failure in adaption or maladjustment - committing violence in school.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전제하면서 청소년 학교폭력의 위험에 가장 취약한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몇몇 연구는 가정폭력이 청소년 자녀의 학교폭력 조성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사회적지지, 건전한 양육방식 등의 매개변인으로 충분히 중재가 가능하다는 고무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뿐만 아니라 학교폭력을 중재할 가능성이 있는 보호요인에 대해서도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 정도 및 학교폭력 정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며, 청소년의 학교폭력을 중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는 보호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학교폭력으로 귀인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가정폭력경험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돕는 사회복지적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있어서 종속변수는 학교폭력으로서 강제심부름, 금품갈취, 물리적 폭력, 폭언, 협박이나 위협, 따돌림의 6가지 유형을 포함하여 정의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인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가정폭력경험 및 개인내적 보호요인, 대인관계적 보호요인, 사회환경적 보호요인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가정폭력경험은 부부폭력 목격경험과 부모로부터의 자녀학대 경험으로 구성되었으며, 개인내적 보호요인은 자긍심과 내적통제력으로, 대인관계적 보호요인은 부모와의 관계와 사회적 지지로, 사회환경적 보호요인은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과 교과 외 활동 참여도로 정의되었다. 즉,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에 주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가정폭력경험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자긍심, 내적통제력, 부모와의 관계, 사회적지지,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 교과 외 활동 참여도가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호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중학생에게 맞도록 수정·보완하였고, 2002년 10월 21일부터 2002년 11월 4일까지 서울의 4개 권역별로 1개 학교씩 임의표집하여 학년별로 1개반 씩 조사하여 총 412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총 412부 중 분석에 적절하지 않은 31부를 제외하여 총 38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분석에서 얻은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정도를 살펴본 결과, 아내폭력은 전체의 58.8%, 남편폭력은 전체의 45.0%의 청소년이 목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父)로부터의 자녀는 전체의 62.7%, 모(母)로부터의 자녀학대는 60.6%의 청소년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부폭력의 경우에는 2명중 1명이 부부폭력을 목격한 정도이고, 자녀학대의 경우에는 3명 중 2명이 경험한 정도로서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정도는 매우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학교폭력은 전체 대상 청소년 383명 중 54.9%에 해당하는 209명이 어떤 유형의 학교폭력이든지 행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의 유형 중에서 남녀 청소년 모두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인 것은 폭언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물리적 폭력, 따돌림, 강제심부름, 협박이나 위협으로 나타났으며 금품갈취가 가장 낮은 발생률을 보였다. 그리고 따돌림을 제외한 강제심부름, 금품갈취, 물리적 폭력, 폭언 그리고 협박이나 위협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을 비교한 결과, 따돌림을 제외한 모든 학교폭력에서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학교폭력을 더 많이 행사하며,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중학교 1학년 학생보다 강제심부름을 많이 강요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권 성적의 학생들이 상위권 성적의 학생들에 비하여 학교폭력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폭력을 목격한 청소년들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강제심부름과 따돌림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로부터 자녀학대를 경험한 청소년들은 금품갈취와 협박이나 위협을 제외한 강제심부름, 물리적 폭력, 폭언, 따돌림에서 자녀학대를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보다 많은 학교폭력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폭력 전체에 대해서 중복학대 경험집단이 자녀학대 경험집단, 그리고 부부폭력 목격집단에 비하여 학교폭력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이 가정폭력을 많이 경험할수록 학교폭력을 많이 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다섯째,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남자 청소년일수록, 부모로부터 자녀학대를 많이 경험할수록 학교폭력을 많이 하며. 보호요인과 관련해서는 내적통제력이 높을수록, 학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교폭력행동을 적게 하고, 반대로 교과 외 활동에 많이 참여할수록 학교폭력행동을 더 많이 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연구자가 얻은 사회사업 임상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의 상호 연관성과 중복발생을 고려하여 통합적인 가정폭력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학교폭력행동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정폭력경험 정도가 높은 남자 청소년에 우선 개입하여야 한다. 셋째,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을 대상으로 내적통제력 행상 프로그램이나 학교에 대한 인식 개선 프로그램 등을 제안한다. 넷째, 청소년의 교과 외 활동 참여도에 대해서 성인이 적절한 슈퍼비전을 줄 것을 제안한다. 이에 덧붙여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CTS에 의한 가정폭력경험의 적정선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가정폭력경험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가해뿐만 아니라 피해의 측면에 대해서도 살펴보아야 한다. 셋째, 보호요인에 대한 이론적 검증과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성을 검증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가정폭력경험-부적응-학교폭력행동이라는 연결선상에서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