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서울 주거지의 조성시기별 도시구조에 관한 연구 : 토지구획 정리사업지구를 중심으로

Title
서울 주거지의 조성시기별 도시구조에 관한 연구 : 토지구획 정리사업지구를 중심으로
Authors
장미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과학기술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families houses since the 1990 s, the rebuilt is booming. Multi-families houses command a majority of the housing-market. They have been replaced old houses and changed the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The replacement occured without redesign of streets or lots because it was a parcel-by-parcel infill development. The numbers of households have increased due to mass construction of multi-families houses. However, urban-infrastructure couldn t support upon rapid increase of multi-families houses. At the end, there have been several problems; the disharmony between small houses and large ones, the lack of parking lots, the traffic congestion, the lack of open spaces, and the lack of privac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of residential areas and improve in the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specific feature of urban structure on residential areas. For that, four areas have been selected, where the Land Adjustment Project have been conducted. These areas are Bo-mun dong developed in the 1940 s, Guee dong in the 1960 s, Non-hyun dong in the 1970 s and Mun-jung dong in the 1980 s. Four sit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llow aspects - the hierarchy of streets, the sizes of blocks, the arrangement of lots on blocks, the sizes and features of lots, the types of buildi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spaces on the lot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streets system is basically composed of subsidiary streets - local streets - access roads to lots and the access roads to lot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 type of a through road, a type of the cul-de-sac(the dead end of a road), a type of a loop road and a type of mixing other types. For the areas developed afterwards, the access roads to lots are on an disappearing trend. Second, the arrangement of lots in the areas which is developed first is in 4-6 lines and the lots of the areas developed afterwards show the tendency to be arrayed in two lines on blocks. Third, the sizes of the lots has increased and the shapes of lots are either squares or rectangles. Forth, the residential areas, lately developed, usually have large open. And the open spaces were nearly located on the south and east corners of the lots. As results of synthetic analysis, my thesis defines urban structure on four residential areas; Bo-mun dong is a type of small lots, Guee dong is a type of large blocks, Non-hyun dong is a type of transition and Mun-jung dong is a type of completion. The study co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structure on residential areas in Seoul is defined as follows; a type of small lots → a type of large blocks → a type of transition → a type of completion. And the entire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has been improved. But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residential districts, such as a rich hierarchy on an existed residential street, are disappearing should overlooked. Future studies should look for community plans of urban residential areas based on good characteristics of existing residential districts.; 1990년 이후 서울의 주택 공급을 주도하고 있는 다가구 주택, 다세대 주택은 기존의 노후한 단독주택을 대체하며 서울 주거지의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대지 주변의 가로나 필지 체계상의 변화 없이 대부분 필지별 재건축을 통해 일어난다. 다세대/다가구주택의 건설은 세대수를 증가시키지만 이에 따른 기반시설의 뒷받침이 이루어지지 않아 건물간의 부조화, 주차공간부족으로 인한 주거지 가로의 혼잡, 오픈스페이스의 소멸, 프라이버시의 침해 등 주거환경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다세대/다가구주택의 증가로 인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는 먼저 주거지의 도시구조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며, 그 특성에 따라 주거지의 환경 개선의 밑바탕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주거지 개발 사업 중 시행면적이 가장 큰 토지구획사업으로 조성된 단독주택지역의 도시구조를 분석하여 서울 주거지 도시구조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지로는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해 조성된 지역 중 조성시기별로 대표적인 곳을 한 곳씩을 선정하였는데, 각각 40년대, 60년대, 70년대, 80년대에 조성된 보문동, 구의동, 논현동, 문정동이 이에 해당한다. 각 대상지 도시구조의 물리적인 특성에 관하여 가로의 체계를 살펴보고, 가구 내 진입로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가구의 크기와 가구 내 필지의 배열, 필지의 규모와 특성, 건물의 유형과 대지 내 공지의 특성을 조사하여 이를 종합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로는, 1) 가로의 체계는 중로 - 소로 - 가구 내 진입로에 이르는 단계를 기본으로 하고, 가구 내 진입로는 통과도로형, 루프형, 칼데삭형, 혼합형 등으로 구분되는데, 조성시기가 늦을수록 가구 내 진입로가 소멸되고 가로의 폭이 넓어지는 추세를 보인다. 2) 가구의 배열은 4-6열의 필지 배열에서 2열 필지 배열의 가구로 변해가는 경향을 나타낸다. 3) 필지는 조성시기가 이를수록 과소필지였던 것이 점차 면적이 증가하고, 형태 자체는 대부분 정방형과 정방형에 가까운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4) 건물의 형태는 조성시기에 상관없이 대부분 ―자형이나 ㄱ자형의 비율이 가장 많으며 조성시기가 늦을수록 필지에 얽매이지 않고 건물의 배치가 자유롭다. 5) 대지 내 공지의 향은 대부분 남향과 동향을 하고 있으며 간혹 인접도로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다. 조성시기별로 도시구조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각 대상시의 도시구조를 규정하면, 1940년대에 조성된 보문동은 과소필지형, 60년대에 조성된 구의동은 거대가구형, 70년대에 조성된 논현동은 과도기형, 80년대 조성된 문정동은 완전형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서울 주거지의 도시구조는 과소필지형 → 거대가구형 → 과도기형 → 완전형으로 그 특성을 규정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주거 환경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풍부한 가로의 위계가 사라지는 등 단독주택지 고유의 특성이 소멸되고 있는 것은 지적하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다. 서울 주거지의 도시구조의 특성을 살펴본 본 연구를 바탕으로 주거지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단독주택지 도시구조 고유의 풍부한 위계를 살릴 수 있는 주거지의 개선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과학기술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