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박주영-
dc.creator박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5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9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34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13-
dc.description.abstractToday, as a character of population changes in this country, the number of the old people is increased more than others. The average span of human life is expanding but the family function of caregiving for them is getting decreased. Above all,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the old people and their family in korea have got a big deal of stresses as the status of the old has been degraded and the caregiving function of family has been weakened.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 society has been become modernized and the type of family has been changed to the small type. In recent years, growing attention has paid to parents caring for adult children. Especially a stroke is one of the three causes of death in the world, and about 25 percent of the patients die within a month and the rest of them suffer from various sequelas. So the family has a many serious stress by taking care for the demented and that of the main caregiver can directly affect to his or her well-being. This study with the recognition about the mentioned points was designed to find the factors leading to main caregivers stresses in a sample of stroke family living in Seoul. For this study, I visited some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day care centers to interview main caregivers which was taken care for the stroke elderly in Seoul. The rest of survey was got back by mailing method and had done for about 5 weeks, from on 3, April to 31. The date were determined with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T-test, ANOVA, scheffe, multiple regression by SPSS WIN. The summary of thesis is as followings: 1. The characteristic of the demented stroke elderly and caregiving stress. As the level of ADL is more higher, the caregiving stress gose up. This factor explains the caregiving stress most affectively in the features of the stroke elderly. 2. The characteristic of the main caregivers and caregiving stress. As the level of subjective cognition of their health condition was worse, that of caregiving stress was became higher. It was the most powerful point to explain the stress in caregivers for the demented. And in family income level, as the subjective level became higher, the grade of their stress was became lower. 3. The individual and family supporting resources and caregiving stress. Three affective factors was explained the stress in the category. There were relation quality, negative coping strategy, friend and community supporting. As the relation quality of post storke between of the two was better, the level of the caregivers stress was lower. Their negative coping skills(avoidance/evase) was used more than positive coping skills and it was vice versa. In social support, the respondents have been got the friend and community supports more than that of family. Finally the enter and backward type of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termine the total effectiveness of the stress by the noted parameters. As a result, the affective factors leading to stress from caregivers for stroke elderly are the level of ADL, subjective health condition, subjective and objective family income, relation quality, passive copings, friend and community supports. Implications in my study are followings: First, for the caregivers health level, it s considered the health support service programs which can be decreased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y also help to go up better condition of caregivers health as well as well caregiving activities for the demented. Second, in supplying the cost of caregiving activities, the cost on public welfare system, nursing home, and day care center have to be thought again for them. So, the means of settling the problem such as subsidy for the practical uses of the public service should be more considered. Especiall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low- income levels should not be alienated from our society. Third, in social support system, this study shows that as the friend and community social support grade, the stress level of caregivers is less. So it s needed more active service network, family meeting with stroke elderly and self-help group. Through the meetings, they can get the useful information of the better caregiving methods and encouragements by interaction among members.; 본 연구는 뇌졸중이라는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을 돌보는 과정에서 노인의 주 부양자가 일상생활에서 부양역할로 인해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의 수준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을 부양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그리고 부양자의 개인 및 가족자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아직까지 뇌졸중노인 부양자에 관한 기존 선행연구가 대부분 뇌졸중의 초기단계의 부양자들을 대상으로 부양행동 및 부담감이 조사되어진데 반해 본 연구는 질병 발생 후 뇌졸중증상의 급격한 초기단계를 거쳐 재활을 시도하고 있는 노인의 부양자를 기준으로 부양스트레스에 보다 중점적인 초점을 두어 부양으로 인한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종합사회복지관 및 주간보호센터를 중심으로 주간 보호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뇌졸중노인부양자로 대상을 한정하였으며 자료검증을 위해 SPSS 9.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상관관계, t검증, ANOVA, 회귀분석등의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양스트레스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업이 없고 주관적 건강 수준과 주, 객관적 경제수준이 낮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과 비교하여 부양스트레스 수 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요약정리 될 수 있다. 첫째, 부양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주, 객관적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부양스트레스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노인의 질병기간이 짧을수록 일상생활수행의존도가 높을수록 부양스트레스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부양자의 개인 및 가족자원 중 소극적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부양스트레스는 더욱 증가되고 친구 및 지역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부양스트레스는 감소되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 노인과의 관계의 질 부분은 질병발생을 기준으로 병후 현재의 관계의 질이 좋지 않을수록 부양스트레스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대처전략에 있어서 부양의 역할이 현실적으로 생활의 의욕이나 적극적인 태도보다는 문제에 대한 대처반응으로서 회피 혹은 도피적인 행동으로 문제 해결하고 있는 부양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있다는 점을 파악함으로써 부양으로 인해 그들의 삶의 질 부분이나 생활 면에서 이미 많은 소진을 경험하고 있음을 미루어 짐작케 한다. 사회적 지지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가 가족지지보다는 친구 및 지역사회의 지지를 더욱 많이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부양스트레스가 감소함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표본이 지역사회 내에서 주간보호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자들의 집단으로 한정하여 조사되어진 점을 감안할 때 가족의 지지보다 상대적으로 지역사회서비스에 대한 지지가 더욱 강하게 인식되어짐으로써 나타난 결과일 수 도 있어 어느 정도의 한계점이 지적되긴 하나 뇌졸중 노인부양자의 경우 재활서비스가 무엇보다 중요시되는 질병의 특성임을 고려할 때 가족지지만으로는 불가능할 수 있는 일상생활 의존부담감소를 위한 보호서비스, 재활 및 치료서비스에 대한 외부자원 서비스가 부양스트레스감소에 더욱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언급한 외부자원서비스를 받고 있는 경우 가족체계를 통한 지지보다 지역사회복지관이나 주간보호센터에서 실질적으로 부양의 역할을 전문적으로 지원해 주는 서비스가 부양자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관계의 질 부분에서는 부양자와 노인과의 관계가 현재를 기준으로 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부양스트레스가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의 시작은 현실적으로 1990년대에 들어와서야 진행되었기 때문에 물론 지속적이고 보다 엄격한 측정의 과정이 요구되어지긴 하나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관계의 질은 부양자의 스트레스를 파악하는 주요한 변인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갈수록 가족내의 노인구성원과의 정서적, 도구적 소외감이 심각한 노인문제로 자리잡고있는 오늘날, 질병을 가진 노인과 부양자의 관계는 그들을 위한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더욱더 주의 깊게 고려되어져야 함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부양스트레스는 저소득층으로 갈수록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해 질 수 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바 특히 부양자들을 위한 지역사회서비스에 있어 보다 공적서비스의 개입이 적극적으로 제공되어져 그들의 건강 수준 및 열악한 경제수준을 가진 저소득층을 위한 공적지원의 양질적 증가를 비롯한 부양자의 대처능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환경의 기반을 제공함과 동시에 부양자와 노인간의 상호간 유대감을 긍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가족기능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전문적인 임상적 개입도 신중하게 고려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내용 = 4 II. 이론적 배경 = 5 A.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이론적 논의 = 5 1. 부양의 개념정의 = 5 2. 부양스트레스 = 8 3.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 = 9 4. 뇌졸중노인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 18 B. 개인 및 가족자원에 관한 이론적 논의 = 21 1. 대처 = 22 2. 사회적지지 = 26 3. 관계의 질 = 29 III.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 31 A. 연구 분석틀 = 31 B.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모형 = 33 C.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가설 = 34 D.연구방법 = 34 1. 조사대상 = 34 2. 자료수집방법 = 35 3. 측정도구 = 35 4. 자료분석방법 = 39 IV. 연구결과 및 분석 = 40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0 1. 부양자의 일반적 특성 = 40 2. 뇌졸중노인의 일반특성 = 44 3. 개인 및 가족자원 = 48 B. 부양스트레스 = 52 1. 부양스트레스 수준의 차이 = 52 2. 부양스트레스 연구가설검증 = 60 3.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검증 = 67 V. 연구결과 = 74 A. 결론 = 74 B. 제언 = 78 C. 연구의 한계점 = 81 VI. 참고문헌 = 82 VII. 부록 = 88 VIII.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59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뇌졸중노인 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