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0 Download: 0

노년기 결혼만족에 기여하는 요인

Title
노년기 결혼만족에 기여하는 요인
Authors
김연수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현경자
Abstract
본 연구는 노년기의 결혼생활만족에 기여하는 요인을 살펴봄에 있어 노년기 현재의 결혼생활 특성 뿐 아니라, 노년기 이전의 결혼생활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결혼만족에 기여하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부부상호작용 및 대인관계 요인의 3가지로 나누고, 이들을 노년기 현재와 노년기 이전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았다. 개인적 요인에는 성별, 교육수준, 본인 및 배우자의 건강상태, 결혼에 대한 태도, 동거가족 유형이 포함되었으며, 사회경제적 요인에는 경제적 수준과 직업유무가 고려되었고, 부부상호작용 및 대인관계 요인에는 부부간 의사소통, 성관계만족, 애정표현 만족, 부부의 의견 일치, 여가활동 일치, 종교활동 일치, 배우자에 대한 의지정도, 자녀, 친척, 친구와의 관계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노인복지관 및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기혼 노인 1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노년기 결혼생활만족에 기여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기분석 등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노인들은 현재 자신의 결혼생활에 대해 대체로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년기 결혼만족에 기여하는 개인적 요인은 성별과, 동거가족유형, 노년기 이전 배우자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남성일수록, 배우자 외에 자녀 혹은 친척과 함께 거주하는 경우일 수록, 노년기 이전에 배우자의 건강이 좋았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노년기 본인의 건강상태, 노년기 현재 배우자 건강상태, 교육수준, 결혼에 대한 태도는 노년기 결혼만족과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혼만족에 기여하는 사회경제적 요인으로는 현재 수입에 대한 만족도로, 만족도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상호작용 및 대인관계 요인 중에서는 배우자 상호작용 요인만이 결혼만족에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 부부간의 애정표현이 만족스러울 수록, 부부간 의견일치가 잘 될 수록, 부부간 의사소통에 만족할수록, 성관계에 만족할수록, 여가/취미 생활을 배우자와 더 잘 공유할 수록 노년기 현재의 결혼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배우자 외의 대인관계보다는 배우자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노년기 결혼만족에 보다 많이 기여함을 시사해 준다. 셋째, 노년기 결혼만족을 설명해주는 노년기 현재 및 노년기 이전의 요인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노년기 결혼만족을 설명해주는 현재 요인으로는 배우자 의지정도, 부부간의 의견일치, 동거가족유형, 성관계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고, 노년기 이전의 요인 중에서는 배우자 의지정도, 부부간의 의견일치, 성관계 만족 순으로 나타나 노년기 현재 설명 요인 중 동거가족을 제외하고 동일했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결혼만족도에 노년기 현재의 특성 및 노년기 이전의 특성이 모두 반영될 수 있음을 나타내주며, 특히 노년기 이전과 노년기 현재 부부간의 상호관계의 중요성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사회사업적 함의는, 노년기 결혼생활 만족에는 노년기 현재 요인 뿐 아니라 노년기 이전의 결혼생활 특성이 반영될 수 있으므로, 노년기 결혼생활과 연관된 개입에는 노년기 이전의 결혼생활의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노년기의 결혼만족을 평가하거나 결혼생활에 개입하는 데 있어 노년기 배우자와의 상호작용 요인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발견된 결혼만족 기여 요인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노년기 결혼만족증진에 대한 개입을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 This study examined contributing factors to the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and explored how the evaluation of the elderly s past marriage influenced on the present marital satisfaction.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116 elderly men and women, aged over 60 and participating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participat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ndividual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relational factors, in consideration of past and present time evalu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most respondents were somewhat satisfied with their present marital life. Second,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gender, type of family member, and the past health status of spous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nt marital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monthly income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among socio-economic variables, and, satisfaction of the affectional relationship with spouse, agreement with spouse,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with spouse, satisfaction of the sexual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enjoying leisure time with spouse were significant among relational factors. Third, past predictors and present predictors of elderly s marital satisfaction were almost the same; dependence of spouse, agreement between spouse, and satisfaction of sexual relationship with spouse were the significant past and present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 of the implications for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from this study were provi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