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Title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Authors
권태연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청소년기는 심리적으로 독립된 존재가 되며 신체적으로는 완전한 성인이 되며 사회적인 역할을 맡기 시작하면서 성숙한 사회적 역할과 문화가 있고 달성해야할 발달과업이 성인기의 인생항로를 결정하는 시기이므로 중요하다. 또한 이 시기는 학업상의 문제로부터 자신의 문제, 가정, 친구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와 스트레스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소아당뇨 청소년들은 위와 같은 다양한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당뇨라는 만성질환을 관리하면서 이러한 문제들을 감당하기에는 그동안 미처 알아내지 못한 많은 문제점이 청소년들 내면에 누적되어 있으리라 생각된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은 지속적인 자가관리가 요구되는 만성질환의 특성상 우울, 불안, 공격성, 위축 등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당뇨 관리와 함께 청소년기의 올바른 발달 과업들을 잘 성취하여 심리사회적으로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이들에 대한 심리사회적 개입은반드시 필요하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을 알아보고, 개인특성 변인(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 당뇨에 관한 지식)과 가족관련 변인(가족기능, 가족지지, 부모의 양육행동)에 의해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소아당뇨인과 가족을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에 유용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갖는다. [연구질문1]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질문2] 개인특성 변인들(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 당뇨에 관한 지식)과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과는 어떠한 상관 관계가 있는가? [연구질문3] 가족관련 변인들(가족기능, 가족지지,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질문4]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하였을때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예측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종합병원에서 외래 진료를 받고 있는 13-18세의 청소년기 소아당뇨인 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 다차원 건강통제위 척도, 당뇨 지식에 대한 척도, 가족기능 척도, 가족지지 척도, 부모의 양육행동 척도, 심리사회적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0.0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단순적률 상관관계,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측정 변인의 차이 연구대상자 가운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유병기간은 4년 이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에 있어서 아버지 평균연령은 44.5세, 어머니의 평균연령은 42세였으며, 아버지의 학력은 대졸이상이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아버지의 직업 분포는 골고루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절반이 전업주부였다. 경제수준은 대부분이 중류에 속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경제수준만이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건강통제위 수준은 내적통제위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건강통제위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당뇨지식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가족기능 수준은 전반적으로 역기능적인 가족기능군에 속해 있었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기능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대상자의 전체 가족지지 평균은 중간 정도였으며, 치료적 지지를 정서적 지지보다 좀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전체 가족지지 수준을 살펴보았을 때, 경제수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변인이었다. 연구대상자의 부모 양육행동 수준은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병리적인 양육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연령, 경제수준에 따른 아버지 양육행동 수준이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어머니의 양육행동 수준에는 성별과 경제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심리사회적 적응 가.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 본 연구대상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문제정도를 살펴보았을 때, 총 문제행동은 표준화된 점수 63T점 이상이 전체의 61.5%를 내재화 문제는 62.5%, 외현화 문제는 39.6%로 나타났다.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 문제도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과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성별과 경제수준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년, 유병기간, 부모의 연령, 부모의 학력,부모의 직업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성별과 경제수준에 따라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년, 유병기간, 부모의 연령,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나. 독립변수들과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개인특성 요인들(자아존중감, 건강통제위, 당뇨에 관한 지식)과 심리사회적 적응,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특성 요인들 중 우연 통제위를 제외한 모든 요인들은 심리사회적 적응,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각각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는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자아존중감이 높고 내적통제위 성향과 타인통제위 성향이 높고 당뇨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족관련 요인들(가족기능, 가족지지, 부모의 양육행동)과 심리사회적 적응,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족기능과 가족지지는심리사회적 적응,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가족기능이 높은 건강한 가족에 속하며 가족지지를 높게 지각하는 소아당뇨 청소년일수록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이 높고 우울, 불안 등의 내재화 문제와 비행, 공격 등의 외현화 문제가 적게 나타남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심리사회적 적응,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내재화 문제보다 외현화 문제와 좀 더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버지 양육행동의 하위요인 대부분이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심리사회적 적응,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외현화 문제 보다 내재화 문제화 좀 더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소아당뇨 청소년이 아버지가 애정과 적절한 감독, 합리적 설명을 해준다고 지각할수록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나며, 과잉간섭, 과잉기대, 학대, 방치를 한다고 지각할수록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하위요인들 중 과잉기대를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심리사회적 적응,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소아당뇨 청소년이 어머니가 애정과 적절한 감독, 합리적 설명을 해준다고 지각할수록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은 높고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가 적게 나타나고, 비일관적이고 과잉간섭, 학대, 방치를 한다고 지각할수록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이 낮고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가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 심리사회적 적응을 설명하는 예측 요인 본 연구에서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설명하는 예측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특성 요인 중에서는 자아존중감과 당뇨에 관한 지식이, 가족관련 요인 중에서는 가족 기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통제 변수 중에서는 연령과 경제수준이 심리사회적 적응을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변수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아당뇨 청소년이 건강한 가족기능을 하고, 어머니의 병리적인 양육행동이 적으며, 자아존중감이 높고 당뇨에 관한 지식이 많다고 지각할수록 연령이 어리고 경제적 수준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이 높다는 것을 제시해준다. 심리사회적 적응의 하위 요인인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설명하는 예측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내재화 문제를 살펴보면, 개인특성 요인 중에서는 자아존중감이, 가족관련 요인 중에서는 가족 기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통제변수에서는 성별과 경제수준이 내재화 문제를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변수로 채택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역기능적인 가족 기능을 하고, 어머니의 병리적인 양육행동이 많고, 자아존중감이 낮으며, 경제적 수준이 낮다고 지각할수록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내재화 문제가 더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제시해준다. 다음으로 외현화 문제를 살펴보면, 개인특성 요인 중에서는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위, 타인통제위가, 가족관련 요인 중에서는 가족 기능이, 통제변수에서는 성별, 연령, 경제수준이 외현화 문제를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변수로 채택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내적통제위와 타인통제위 성향이 낮고, 역기능적인 가족 기능을 하고, 자아존중감이 낮다고 지각할수록, 연령이 증가하고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내재화 문제가 더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제시해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개인특성 요인 중에서는 자아존중감과 당뇨에 관한 지식이, 가족관련 요인 중에서는 가족기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는 연령과 경제수준이 심리사회적 적응을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관련 변인이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설명력이 큰 변인이었다. 이는 곧 청소년기 소아당뇨인 당사자에 대한 개입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개입으로 청소년기 소아당뇨인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본 연구결과 갖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개인특성 변인보다 가족관련 변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음을 밝힌바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사회사업가의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사정과 개입이 소아당뇨 청소년 개인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지기보다는 전체 가족체계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좀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팀내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청소년기 소아당뇨인 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과 개입효과성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를 마련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2. 본 연구는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을 개인특성 변인과 가족관련 변인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화에 기여한다. 3.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연령은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은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국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심리사회적 적응 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여학생은 우울, 불안, 위축 등의 내재화 문제에, 남학생은 비행, 공격 등의 외현화 문제에 취약한 대상이라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전문적이고 개별화된 개입이 이들에게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4. 소아당뇨인의 치료비 부담 지원을 위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 경제수준이 측정변인들과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에서의 평균차이를 가져오는 유의미한 변인이었으며, 또한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아당뇨인의 경제적 요인이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가족지지, 부모의 양육행동, 청소년기 소아당뇨인의 심리사회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아당뇨인의 가족이 경제적인 부담으로 인한 이중적인 부담을 갖지 않도록 정책적 지원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Adolescence is psychologically independent period and physically complete adult. And adolescence is important because it is period to play a social role, to have its own culture and for dovelopmental tasks to determine life course of adulthood. Also this period has diverse problems and stress from study problems to problems of one`s own, family and friends. Therefore diabetes mellitus adolenscents may have more internally accumulated problems caring for cronic disease such as diabetes mellitus as well as various stress above.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have troubles in psychosocial adjustment such as anxious/depressed, withdrawn, aggressive and so on owing to feature of cronic disease requiring lasting self-care. Therefore psychosocial intervention about them is very necessary and important in order to do psychosocial adjustment well as achievintg proper developmental tasks and diabetes metabolic control.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of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 of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and to examin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related facors(self-esteem, health locus of control, knowledge about diabetes mellitus), family facors(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parenting behavior) and psychosocial adjustment. For the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of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of diabetes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factors? 2. What is the relation with individual related facors(self-esteem, health locus of control, knowledge about diabetes mellitu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3. What is the relation with family facors(family function, family support, parenting behavior)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4. What is predictive factor to explain psychosocial adjustment of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well as demographic factors are controll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96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who ranged in age from 13 years to 18 years. To test research questions, self-esteem inventory, MHLC, MDRTC diabetes knowledge test, family APGAR, family support scale,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K-YSR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PC+ 10.0.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1. The result of research question test 1)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of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 of their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In the case of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of the subject, standardized T point, 63T or more of the total behavior problems accounted for 61.5% , mean was 63.5729T. In the internalizing problems, 63T or more accounted for 62.5% and mean was 63.3229T. In the externalizing problems, 63T or more accounted for 58.3% and mean was 62.5313T.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is as follows. Boys showed higher degree than girls in total behavior problem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Girls showed higher degree than boys in the internalizing problems and boys showed higher degree than girls in the externalizing problem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tal behavior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conomical level.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duration period of disease, parent`s age, parent`s educational level, parent`s occupation. 2) overall analysis results about psychosocial adjustment When carrying out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each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accidental health locus of control variable correlates significantly with dependent variable, psychosocial adjustment.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f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re as follows. Self-esteem, and kowledge about diabetes mellitus among individual related factors, family function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among family factors, age and economical level among control variables were accepted as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the psychosocial adjustment.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accountability of psychosocial adjustment is 56.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with health family function, less pathological parenting behavior of mother, high self-esteem, abundant knowledge about diabetes mellitus, better ecomical level do better psychosocial adjustment. Self-esteem among individual related factors, family function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among family factors, sex and economical level among control variables were accepted as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the internalizing problems.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accountability of internalizing problems is 62.3%.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abetes mellitus girls with malfunctional family function, more pathological parenting behavior of mother, low self-esteem, low ecomical level reveal more internalizing problems. Self-esteem,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mong individual related factors, family function among family factors, sex, age and economical level among control variables were accepted as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the externalizing problems.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accountability of externalizing problems is 46.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gh school boys with malfunctional family function, low self-esteem, low inclination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low ecomical level reveal more externalizing problems. To sum up, research results show that self-esteem, knowledge about diabetes mellitus, family functi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ge, economical level were variables explaining psychosocial adjustment. Especially, psychosocial adjustment was explained well by family factors rather than individual related factors. This means that intervention on the family system as well as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alone can improve psychosocial adjustment level of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2. Implication in social work practice 1) Psychosocial adjustment of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was explained well by family factors rather individual related factors. This result suggests that effective assessment and intervemtion for psychosocial adjustment of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should include a focus on the entire family system as well as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alone. This provides a concrete basis for necessity and importance of family intervention and social worker`s role. 2) This study contributes to variety about psychosocial adjustment related programs as dividing variables influencing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diabetes mellitus adolescents into individual related factors and family factors and then offering them concretely. 3) Age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was significant factor explaining psychosocial adjustment and externalizing problems and sex was significant factor explaining internalizing problems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ddle students suffer more psychosocial adjustment problems than high school students, girls are more susceptible than boys in the internalizing problems and boys are more susceptible than girls in the externalizing problems. Therfore, social worker should provide them expert and individualized intervention with priority considering results abo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